View : 5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崔信德-
dc.contributor.author金銀珠-
dc.creator金銀珠-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35Z-
dc.date.issued198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6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7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639-
dc.description.abstract일반적으로 여성의 역할은 직업활동을 통한 사회적 역할과 가정에서의 역할로 구분할 수 있는데 결혼하여 가정생활을 하면서 사회생활을 하고 있는 직업부인과 직업활동을 하지 않고 가정생활만 하는 가정부인이 있다. 가정부인과 직업부인의 직업활동에 대한 태도와 가정생활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가정부인과 직업부인의 직업에 대한 태도를 비교해 봄으로서 현 우리나라 여성취업상의 문제점을 파악해 보고 가정생활에 대해서 가정부인과 직업부인의 태도를 비교하여 직업부인이 안고 있는 애로점을 파악하여 여성지위 향상과 발전을 위한 방안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가정부인과 직업부인의 직업에 대한 태도와 가정생황에 대한 태도를 비교해 보기 위해서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가정부인 179명과 직업부인 158명(전문직 50명, 행정·사무직 30명, 판매직 45명, 서어비스직 33명)을 대상으로 1979년9월20일부터 10월6일까지 질문지에 의한 조사와 개별적 면접방법에 의해 조사했다. 조사결과 발견된 사항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대부분의 직업부인은 가정과 직장의 이중역할 부담에 갈등을 느끼고 있다. 2. 직업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가정부인보다 직업부인이 더 적극적이고 긍정적이다. 3. 우리나라 기혼여성 취업상에 있어서 기혼여성에게 적합한 일자리의 부족, 채용과정의 불평등, 직업환경이 좋지 못하다는 애로점이 있는데 이중 가장 큰 애로점은 가정과 직장병행에서 오는 시간의 부족이다. 4. 취업동기에 있어서 가정부인이 앞으로 직업을 가지려는 동기는 주로 자기발전이고, 직업부인의 현 직업에 대한 취업동기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경제적 이유로 나타나서 가정부인과 직업부인의 취업동기에는 차이가 있다. 5. 부인의 취업이 금전문제에는 많은 도움을 주는 것 같으나 자녀교육에는 별로 도움을 주지 못함을 호소하고 있고 한편, 부인의 취업이 부부관계에는 별로 갈등을 초래하지는 않으며 부부간 대화에 있어서 가정부인보다 직업부인의 대화의 빈도가 훨씬 더 많았다 6. 결혼생활만족도는 가정부인보다 직업부인이 훨씬 높았으며 부인의 연령, 교육정도, 남편의 수입, 자녀의 다과( 多寡 ), 가정부인의 일에 대한 만족도, 직업부인의 직장일에 대한 만족도 여부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7. 가족계획실시 여부와 아들선호에 대한 태도는 가정부인과 직업부인에 차이가 없지만 자녀양육에 있어서는 가정부인들은 주로 자녀의 건강문제 직업부인들은 자녀의 생활지도문제를 더 문제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8. 가정부인에 있어도 약간 ( 14% )은 부업으로 경제활동을 하고 있으며 대부분 직업부인의 경제적 위치는 남편의 보조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으로 우리나라 여성의 실질적인 지위향상을 위해서는 여성의 사회참여 기회가 확대될 것과 채용과정에 있어서 남녀 동등한 대우로 취업조건이 개선될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리고 직업여성들의 취업상 가장 큰 애로점으로 나타난 시간의 부족은 직업활동을 하면서 자녀양육과 가정일을 해 나가야 하는데에서 오는 이중부담때문이므로 이 이중부담을 다소나마 해소시킬 수 있는 제도적인 방안이 모색되어 직업활동과 가정생활을 조화있게 해 나갈 수 있게 되었으면 한다.;Generally speaking, we can compare with the social action through the vocation action and action in the house keeping people who married are living in their home and their social life, the others who don't have the vocational action are employed women. It will be distinguished in the house keeping life to see non-employed women and employed women's vocation action and the motion on the vo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ng with the motion on the vocation of the non-employed women and employed women, studying the problem of our modern country in women's employment, comparing with non-employed women and employed women and employed women on the keeping house life, and thinking on the difficult problem, that is, having the employed women, to look at the problem that is, thinking women's position and development. In order to compare with non-employed women and employed women's vocational action and the life of the house keeping life's action. Recently, living in Seoul: non-employed women (179), employed women (158), that is, expert (50), official(30), salery (45), service (33), on the question paper and dialogue with a person from September 20 to October 6, 1979. Following is the results of this study: 1. Most of the employed women is thinking about conflict their home and employed position. 2. On the motion about the vocation, employed women is more active and acceptant that non-employed women. 3. On the employment of women has problems in Korea, balance the worse of employ in married women, non equality in employ, the worce of job environment,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ime of lack in home and employed position. 4. The reason why non-employed women will have is really themselves' development, about the modern vocation of the employed women, to revel higher of employ movement is the economic's reason, this is not balance with non-employed women and employed those. 5. Women's occupation seems to help more money in the cash problem, they says that they didn't help their children, and the other times employed women really don't conflict with each other, in conversation of each other, employed women's conversation is more much than non-employed women. 6. On this satisfaction degree, that is, higher than this, women's age, education, husband's pay, number of children, they are proving that the satisfaction degree of employed women and that degree of non-employed women is familiar with. 7. There are not difference from non-employed women and employed women for the problem of the family plan attitude or their son's selection at all, but in their children's leading, we know that non-employed women is largely thinking their children's health, employed women is doing their children's life than that. 8. In non-employed women, some are doing their no-vocational economic action, we know that most of all employed women in the economic position have been helping their husband. In this analysis, for female position development in Korea, it must wide be able to the female's social action, in the employment problem, we hope the employ problem will be developed on the blance in men and women. The most important thing in employed women's action is time of lack, during their action as the double burden that is coming form their children's leading and their home work. Therefore wonderful plan that can be solved this problem come out, and we hope they will be able to do their vocation action and home life in harmon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ii 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Ⅱ. 이론적 고찰 = 5 Ⅲ. 연구목적 및 방법 = 13 A. 연구목적 = 13 B. 연구방법 = 13 Ⅳ.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5 A. 조사대상자 = 15 B. 결혼배경 = 20 C. 가족배경 = 22 Ⅴ. 조사결과에 대한 분석 = 27 A. 직업에 대한 태도 = 27 1. 만족도 = 27 2. 취업동기 = 31 3. 여성취업상 애로점 = 38 4. 여성취업에 대한 태도 = 47 5. 직업활동이 부인자신과 가정생활에 미치는 영향 = 58 B. 가정생활에 대한 태도. = 61 1. 만족도 = 61 2. 부부간의 대화. = 65 3. 가족계획상황 = 74 4. 자녀양육 = 77 5. 가사역활 = 83 6. 경제활동 = 86 Ⅵ. 결론 = 91 참고문헌 = 96 附錄 = 99 ABSTRACT =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137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都市部人의 職業 및 家庭生活에 對한 一考察-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Home-keeping Life and the Vocation of Urban Women-
dc.format.pageix, 1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198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