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2 Download: 0

이조후기 목등기의 조형성에 관한 고찰

Title
이조후기 목등기의 조형성에 관한 고찰
Authors
이규항
Issue Date
197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Biography is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s follows: historical biography, family biography(家傳), describing biography(托傳), and hereditary biography(假傳). It started from a historical biography that described real achievements of Samachon and was developed in a good order of family biography(家傳), describing biography(托傳) and hereditary biography(假傳). The hereditary biography was created by literary persons of Goryeo period who experienced struggles of military persons. Its beginning was 〈Gooksunjeon〉 by Im Chun. Then Lee Gyu-bo created 〈Gookseonsangjeon〉 influenced by 〈Gooksunjeon〉. They have a common thing in that they personified alcoholic drinks. 〈Gooksunjeon〉 that was written by Im Chun in the middle of Goryeo period parodied wicked government officials through history of drinks and the rise and fall. It is a parodic and purposeful work which criticized groups who were indulged in drinks and pleasure and punished those who flattered to win patronage of the king and exercised the power. 〈Gooksunsaengjeon〉 by Lee Gyu-bo personified drinks to educate fidelity to the people and present how to behave of true gentlemen. Mr. Gooksunsaeng was loved and appointed as a government official because of his sincerity even though he was from the lower family, and exercised power but was expelled and reflected himself. He was not arrogant and kept his place, which emphasized social education. Common characters appear in the two works. They are real persons as follows: Seomak in Seomak narrative and Juklimchihyeon. However, 〈Gooksunjeon〉 describes heroes as negative and 〈Gooksunsaengjeon〉 described them positive. The background of the two works is China. They are roughly composed of three parts. The final part deals with subjective viewpoint of the author and summarized and reviewed the whole story, in which a theme was revealed. 〈Gooksunjeon〉 and 〈Gooksusangjeon〉 deserve to be noticed in that they provided a series of lineage for composition of work by personifying drinks. 〈Gooksunjeon〉 tak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novels. It has a firm position as a novel in creative composition beyond the existing expressive method of narratives or legends. It pinpointed defects of humanity, unreasonableness and contradiction of society, advocated social justice and attempted to write parody, which was a reform in the history of Korean novels.;근래 우리 전통의 재인식과, 전통적인 예술문화의 계승 및 새로운 예술문화의 창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이와 때를 같이하여 이조 전통공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등기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저조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본고에서는 단지 민구로만 생각되어 온 등기에 나타나는 비례감각을 중심으로, 등기에 나타나는 비례가 이조 가구류에 나타나는 비례감각과 서구의 합리적인 사고방식에서 나온 비례감각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나를 밝히고, 이조시대의 종교, 문화, 생활, 관습 등이 등기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나를 살펴봄으로써 목등기의 조형성을 고찰하였다. 등기의 변천 과정은 시대별로 고려이전과 이조시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조시대는 전기와 후기의 구별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고려시대까지는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고, 연료의 희귀로 주로 상류층이나 종교의식에 사용되었고, 귀족적인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조시대에는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고려시대와는 달리 실용적이고 검소한 멋을 지니게 되었으며, 연료가 보편화 되면서 등기가 일반 서민들에게까지 널리 보급되었고 따라서 서민적인 색채가 더욱 뚜렷이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등기는 그 기능에 따라서 등대, 등잔대, 좌등, 제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등대는 다시 의식용등대와 실내조명용등대로, 등잔대는 등경걸이, 등가, 소형등잔대로, 제등은 등롱과 등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그 기능에 따라 그 크기와 형태가 결정되어지며, 우리나라의 실내공간과 인체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이조시대의 등기는 매우 소박하면서도 실용적으로 제작되었고, 등기에 나타나는 비례는 안정된 형태의 규범으로 일컬어지고 있는 정사각형의 비, 황금비, 자승근비, 3:4, 4:5, 5:6의 비례와 매우 근사한 비례값을 보이고 있다. 규격화되지 않은 수치와 일정한 형식이 없이 제작된 우리나라의 등기에서, 서구의 합리적인 사고방식에서 나오는 비례감각과 흡사한 비례감각을 볼 수 있다는 것은 우리 선인들의 수준 높은 비례감각과 미의식을 엿볼 수 있다. 급격히 변모해가는 현시점에서 이러한 우리의 전통을 재인식하여, 우리의 전통을 토대로 새로운 것을 어떠한 형태로 재창조하여야 하는가는 큰 과제이다. 그러나 전통은 이루어졌던 것에서 벗어나 이루어 지는 것으로 끊임없이 발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