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8 Download: 0

무용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일모형

Title
무용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일모형
Authors
위정희
Issue Date
197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resent study is intended to design a model of dance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standarization of dance education by means of literary investigation and interview.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cept of dance, value and goal of dance education are discussed elaborately. In addition, the substance of dance is systematized together with enquiry into the direction of modern curriculum. A basic principle for a pattern of dance education curriculum is suggested and a tentative scheme of dance education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is designe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dance representing the movement of human body is a spatial and time art which expresses our idea and feelings in accordance with the aesthetic law. The value and goal of dance education may be found in the intellectual,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physical movement. Second, the system of dance substance is classified largely into the basic theory and creative theory, respectively, the former of which is composed of the history of dance, substantiality and methodology of dance and the latter is composed of the basic theory, movement and creative practice. Third, from view of the current tendency that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he intellectual structure, the dance curriculum should be reformed in the direction of systematizing the basic concept of knowledge with special emphasis on emotional area and applying the principle of spiral curriculum Fourth, the general pattern of dance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composed on the basis of recurring consistency of the goal, substance, course of study and evaluation. Fifth, as the theoretical authority for the composition of dance curriculum as described above, the general and class goals of dance education of middle school are suggested and the substance of guidance is classified largely into theory, creative dance and appreciation. The substance of curriculum is so composed of basic course for the first year class, applied course for the second year class and creative course for the third year class as to be recurred with gradual expansion of their scope. It is hoped that the pattern of dance education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as discussed above will be further reviewed and reflected in the practice. For further study in this field the following are proposed: First, the dance education curriculum for primary and high schools should also be designed on a comprehensive basis. Second, in order to maintain proper operation of the curriculums, it is felt absolutely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learning subjects. Third, it is also considered imperative to compile a comprehensive dance text book for the standardization of dance education. Fourth, continuous study and research should be followed by licensed dance specialists and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dance education curriculum in due consideration of physical emotional and development of the students.;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교육의 정당화를 위하여 무용교육과정의 모형을 정립하여 무용교육과정 시안을 구안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무용의 개념, 무용교육의 가치, 무용 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2. 무용의 내용체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3. 무용교육과정의 개혁 방향은 어떠한가? 4. 무용교육과정의 일반모형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5. 합리적인 무용교육과정 시안은 어떻게 구성해야 할 것인가?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면접법을 실시하였다. 무용전문가 및 교육과정 전문가들과 면접을 통하여 자문을 구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 무용의 개념, 무용교육의 가치 및 목표를 밝혔고, 무용의 내용을 체계화 하였으며, 아울러 현대 교육과정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무용교육과정 모형을 위한 원칙을 제시하고, 그 원칙에 따라 중학교 무용교육과정 시안을 구안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의 개념은 무용이란 인간 신체가 이루는 운동으로서, 우리들의 사상이나 감정을 미학적 법칙에 의하여 표현하는 공간적이며 시간적인 예술이다 라는 것을 알 수 있고, 무용교육의 가치 및 목표를 신체운동을 통해서 지적 발달? 신체적 발달? 사회적 발달 및 감상적 발달 등에서 찾아 보았다. 둘째, 무용의 내용체계를 기초이론과 창작론으로 대별하고, 기초이론은 무용사, andydml 본질론, 방법론으로 구성하고, 창작론은 창작의 기초이론, Movement, 창작의 실제로 구성하였다. 셋째, 무용교육과정의 개혁 방향은 근래 지식구조를 중요시하는 교육과정 추세에 비추어, 무용교육과정에서도 정의적인 영역과 아울러 지적영역에서 지식의 기본 개념을 구조화 시키고 나선형 교육과정의 원칙을 적용시켜야 할 것이다. 넷째, 무용교육과정의 일반모형은 목표, 내용, 과정, 평가의 순환적 일관성에 의하여 구성되어져야 한다. 다섯째, 이상의 무용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이론적 근거로 중학생 무용교육과정 시안에서는 중학교 무용교육의 일반목표와 학년목표를 제시하고, 지도내용은 이론, 창작무용, 감상으로 대별하였으며, 일학년은 기초과정 이학년은 응용과정, 삼학년은 창작과정으로 내용이 반복되면서, 그 범위가 점차적으로 넓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지도상의 유의점으로는 전반적인 무용학습의 유의사항으로 진술하였다. 이상과 같은 중학생 무용교육과정의 모형을 제시하였으나, 앞으로의 이 모형이 계속 검토되고 현장에 반영되기를 바라며 아울러 앞으로의 연구를 위하여 다음 몇 가지를 제언한다. 첫째, 초등학교, 고등학교, 무용교육과정도 구안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운영을 위하여 목적에 따라 구성할 학습내용에 따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전개되도록 교수방법을 고안해야 할 것이다. 셋째, 무용교육의 정당화를 위하여 검인정 무용교과서가 편찬되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