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재량-
dc.creator정재량-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7Z-
dc.date.issued198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6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4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614-
dc.description.abstract從來의 美術敎育을 支配해 온 藝術을 爲한 藝術이라는 理論이 近代에 오면서 점차 萬人을 爲術한 藝術이라는 生覺으로 바뀌게 되었다. 즉, 敎育的으로는 藝術이라고 하는 것이 才能을 가진 小數人을 爲한 것이어서는 안된다는 主張이다. 따라서 모든 學生은 美術敎育過程에서 美에 對한 感受性과 美術作品을 平家·感想하는 判斷의 能力을 平等히 啓發시키는 機會를 갖지않으면 안된다. 特히, 現代의 美術敎育이 以前과는 달리, 점차 産業美術의 分野에 置重하고 있는 것은 注目할 만한 傾向이다. 이런 傾向은 美術敎育의 感賞目的이 크게 重要視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는 것이다. 近代에 와서 美術評價, 디자인評價, 趣味等의 美的 鑑賞의 客觀的 測定을 爲한 試圖가 美術敎育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試圖는 極히 새로운 現像으로서 保守的인 立場을 取하는 사람들은 美的 感賞이란 決r코 測定u될 수 없는 것이라하여 强力히 反對하고있다. 그럼에도 不拘하고 이러한 方法의 硏究가 美國, 英國, 日本等에서 크게 發展하고 여러 가지 美術敎育段階에서 크게 應用되고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美術敎育의 思潮에 커다란 變化가 일어났다는 것과, 美術敎育에 있어서 鑑賞能力의 意義가 높이 評價되고 점차 注目되기 始作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美術敎育의 一般的 成果로서 重點이 두어지는 것은 첫째, 知識과 見聞, 둘째, 鑑賞과 美的 判斷, 셋째, 探究과 實驗이다. 特히 實際의 鑑賞은 大部分 廣範圍한 知識이나 見解에 基礎한다하더라도, 藝術作品은 어떠한 知識이나 見聞으로도 說明이 되지 않는 그 무엇이 存在하고, 美術鑑賞이란 반드시 가르쳐 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모든 學生은 各者 自己 內容에 감추어있는 지도 모르는 才能과 可能性을 發見할 權利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美術敎育은 이와 같은 權利를 尊重해 주어야 할 使命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소위 말하는 Art test나 디자인Test等의 必要性이 대두되는 것이다. 美術敎育을 爲한 美意識의 調査로는 多樣하고 폭넓은 Test가 實施되어야한다. 美術鑑賞이 사람의 心理面에서 어떠한 影響을 주며, 어떠한 感情을 불러일으키는가가 美意識의 調査에서는 重視되며, 그와 같은 學生들의 美意識의 調査結果의 分析을 通하여 그들의 世界를 더욱 理解하며, 밝고 健全한 創作表現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점에서 서울에 있는 두 地域의 中學生들을 對象으로 하여 디자인을 中心으로 한 그들의 美意識을 調査·分析한 結果를 要約해보면 다음과 같다. ① 男女 모두 상계동地域 中學生보다는 都心地域 中學生의 美意識이 높게 나타났다. ② 中學生의 美意識은 地域을 不問하고 男學生보다는 女學生이 높게 나타났다. 特히 이러한 男<女學生間의 美意識의 差는 상계동地域이 더 심하게 나타났다. ③ 中學生의 美意識과 그들의 美術成績과의 相關關係는 都心地域보다는 상계동地域 學生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性別로 보면, 都心地域에서는 男學生이 女學生보다 그 相關程度가 더 크고, 상계동 地域에서는 女學生이 男學生보다 相關程度가 더 크게 나타났다. ④ 中學生의 美意識과 그들의 學業成績과의 相關關係는 都心地域보다는 상계동地域 學生에게서 그 相關程度가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性別로 보면, 地域을 不問하고, 男學生보다는 女學生에게 相關程度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같은 性別間의 差異는 상계동地域의 境遇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⑤ 中學生의 美意識과 그들의 知能指數와의 相關關係는 地域에 따라 男·女學生間의 相關圖가 判異하게 나타났다. 즉, 都心地域에서는 男學生은 知能指數가 높을 수록 美意識이 높은 反面, 女學生은 知能指數가 낮을 수록 美意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相關程度가 그리 큰 편은 아니다. 反面, 상계동地域에서는 男學生의 境遇, 知能指數와 美意識은 거의 無關하나, 女學生의 境遇는 知能指數가 높은 學生일 수록 美意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以上의 分析에서 다음과 같은 結論에 이른다. 첫째, 中學生의 美意識에 있어 地域的 差異는 그들의 文化的 生活 環境의 程度에 起因하며, 이러한 差異는 特히 美術敎育의 方法的인 面의 改善으로 克服되어질 수 있다. 즉, 美術敎育에 있어, 視聽覺資料를 使用하는等 多樣한 鑑賞의 機會를 가지며, 實際的인 經驗을 通한 美意識의 고른 培養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中學生의 美意識의 性別 差異는 都心地域에서 보다는 상계동地域에서 더 심하게 나타났으므로(男<女), 그와 같은 差異를 좁히기 爲하여서는 地域間의 差異를 해소하기 爲한 方法과 마찬가지로, 美術敎育을 通하여 보다 積極的인 鑑賞의 時間을 많이 갖고, 工作等 實習의 機會를 풍부하게 가지므로써 보다 均等한 發展을 이루도록 해야 할 것이다. 서째, 美術成績, 學業成績, 知能指數와 같은 個人的인 能力과 美意識과의 關係는 都心地域에서는 別 差異가 없으나, 상계동地域에서는 어느 程度 相關關係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美意識은 學生의 個別的인 能力의 差異보다는 環境的인 要因이 더 많이 作用한다는 것에 注目하여야 한다. 즉, 그들의 生活環境은 그들의 美的 經驗이 이루어지는 하나의 場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높은 文化的 環境에서 美的인 對象과 接할 수 있는 機會가 比較的 많은 都心地 學生들의 美意識이 그렇지 못한 상계동地域 學生들의 美意識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것이다. 따라서 都心地域 學生들보다 상계동地域 學生들의 境遇, 그들의 美意識과 美術成積, 學業成積, 知能指數等, 個人의 他能力과의 相關이 뚜렷이 더 크게 나타난 것이라고 生覺된다. 結局, 多樣하고 特속的인 經驗의 機會를 갖는 美術敎育을 實施하므로써, 地域別, 性別, 個人的인 能力等의 差異를 克服하여 보다 높은 美意識을 啓發시키고, 나아가 敎育의 標準化를 이루도록 해야할 것이다.;Modern art education must cultivate the aesthetic senses of the students and have a responsibility to Lead them in order to show their right abiliy of aesthetic interpretation in the matters of various designs of life that they may meet in the future, in the real life. In this respect, this investigation study of aesthetic consciousness was attempted in the assumption that another direction of art education which has data of aesthetic conciousness judgement using Art Test can not be taken no account for and can help the students much improve their aesthetic consciousness. Therefore,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present circumstances for students'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o analyse them, and so to abotain the basic data with which we can develop effective art teaching methods with putting the results into practice in the real art education. In this study, Making-ug-direction-paper-investigation method by 'Graves' ""Design Judgenent Test"" measuring the degrees of aesthetic consciousness with the scorc abtained by the students, after selected 30 pictures of desigh-branch were seen and described -- was used. And in this study 1052 students (Boy and girL 2nd 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of center appartment district Yoido. and out skirt rediental district Sang-kai-dong of Seoul (the biggest city in Korea), 16 schools (4 classes in each school) were participated in the investigation. We can know following a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1st, the regionl differenc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aesthetic consciousness are basically caused by their culturalsurroundings. 2nd, In sex distinction differenc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aesthetic consciousness, They are much higher in outskirts than in the city, au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girl student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boy-students. 3rd, The corelation between aesthetic conciousness and other abitities (Art-score, schoolwork-score, intelligence quotient, etc.) is somewhat a lot in the outskirt, but in the center distincts there is not so mruch.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s, in its own way, the coanition forneed with storing up personal aesthetic experiences, but it i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more than personal abitities. And so, in the education equal experiences need to be given. For that reason, in the art education with more chances of appreciating art-works used audio-visiual materials and with more real experiences like handicraft, the appreciation by the students' own pure sensibility eliminated a certain wrong preceneption or a fixed idea should be studied and taught. Only through these art education methods, mutural unbalanced experiences can be supplemented, and with raising pure aesthetic consciousness, students can have an ability that can complete more desirable whole personal persona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연구방법및 범위 2 II. 미의식의 개념 12 A. 미의식이란? 12 B. 미술교육과 미의식 14 C. 미의식 측정에 대한 이론적 배경 16 1. 미의식 측정의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 16 2. Art test 를 사용한 미의식의 측정 17 III. 미의식에 대한 조사ㆍ분석 25 A. 자료의 분석방법 25 B. 자료의 분석결과 27 1. 지역간의 미의식 비교 27 2. 미의식의 성별간 비교 28 3. 미의식과 미술성적, 학업성적, 지능비교와의 상관관계 29 C. 집약 53 1. 지역간의 미의식 비교 53 2. 미의식의 성별간 비교 53 3. 미의식과 미술성적, 학업성적, 지능지수와의 상관관계 54 IV. 결과 56 참고문헌 59 ABSTRACT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853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서울시내 중학생의 미의식 측정을 위한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디자인을 중심으로-
dc.format.pagex, 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8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