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3 Download: 0

통일신라시대 귀부 및 이수의 양식연구

Title
통일신라시대 귀부 및 이수의 양식연구
Authors
최상목
Issue Date
197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미술사는 예술의 본질에 그 바탕을 둔 조형 예술의 역사이다. 미술은 조형예술인바 미술에 있어서의 역사성은 양식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통일신라기(661년-935년)의 귀부 및 이수형식의 비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 양식의 변천을 살폈다. 이 귀부 및 이수형식의 비는 통일 직후에 만들어진 태종무열왕릉비:(661년)부터 말기의 봉엄사지정대사비(924년)까지 모두 22기가 있는데 그 양식의 변화가 뚜렷하여 통일신라 양식변천을 살피기에 적당하다. 더구나 비인 탓으로 절대 연도를 추정할 수 있어 정확한 시대에 근거하는 미술사를 체계화 하는데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 전기 엄부는 태종무열왕릉비를 대표로 살펴볼 수 있다.(도1-1) 그 전체 모습을 기운차게 앞으로 뻗어 나가고 있으며 실로 이상화 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에 반해 후기의 엄부는 전체가 화려해지고 추상적인 느낌을 보여주며 각 부분도 이와 함게 양식이 변한다. 엄부 및 이수의 각 부분을 특징적인 것만 비교함으로써 양식의 변천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머리 태종무열광릉엄부(도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머리는 쳐들고 있으며, 그 형태가 매우 조화롭다. 후기에 들어서자 쌍봉사엄부(도1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슴은 s자형으로 구부리고 머리를 수직으로 쳐들고 있으며 모양은 용머리로 변한다. 2. 엄갑 태종무열왕릉비엄부의 엄갑은 직육각형이 완전히 싸여있는데(도1-6) 후기의 엄갑은 그 양식이 무너지고 월광사지원랑선사탑비엄부(도17-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꽃무늬로 장식하기에 이르른다. 3. 비좌 양식의 변천을 가장 뚜렷이 볼 수 있는 것은 비좌이다. 태종무열왕릉비 비좌(도1-3)는 연화문이 정연하게 배치되어 있는데 후기의 성주사지랑급화상탑비엄부의 비좌(도16-5)나 월광사지원랑선사잡비엄부의 탑좌(도17-5)에서는 운문으로 바뀌고 있다. 4. 이수 태종무열왕릉비 이수(도1-2)는 6마리의 용이 서로 완전히 얽혀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이 용은 점차 풀어져 무장사지 이수(도7-3)를 거쳐 말기엔 용들이 모두 꿈틀여 구름을 헤치고 나와 (도17-2) 월광사지원랑선사탑비에서 보는 바와 같은 이수가 된다. 즉 통일신라 전기의 조화로운 시대정신은 점차 화려해져서 말기엔 추상적인 시대정신을 이루게 되니 조형품도 이러한 양식변천을 보이는 것이다.;The history of art is in other words a record of plastic art that is based on the essential nature of the art. As far as it is concerned that art is a plastic one, the idea of its history should be made in terms of the style. The turtle base and dragon cap of stele in Unified Silla (661-935) dynasty was taken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re are 22 stelae in total listed in chart which have the turtle base are dragon cap ranging from thc stele of the Cemetry of King TaeJong-Muyol (661) to the stele of Bongam-sa Temple(924) and these 22 stele appear to show clearly the stylistic changes in them. By examining them closely, it may be easy to inspect, the trends of Changes how they came to be, moreover, the stele helps us to eastmate absolute chronolagy which is fundamental to systematize the historical facts. ◁표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We can observe the earlier period turtle base from the stele of the cemetry of King TaeJong-Muyol. (Pic. 1-1) The entire shape posed like stretching forward extensively and the form is, in fact, very ideal. Contrary to this the turtle base of later time became luxuriant arousing fantastic impression and we're to see their partial stylistic changes in them. Comparing their partial characteristics with each other, the following summaries would be gained. 1. The shape of turtle head: As you see in the turtle base of the stele at the cemetry of King TaeJong-Muyol (Pic. 1-5), the head is directed upward having splendid figure. As time passed by, the chest bent down with a figure like letter ""s"". After that, the head was substituted with that of dragon's as it is shown on the turtle base of the stele at SangBong-Sa Temple. (Pic. 11-l) 2. Tortoise-Shell: Tortoise-shell of the turtle base of tomb stone of King Tae-Jong Muyol has a complete figure of hexagon, but the pattern came to be demolished in trortois-shell of later period, then it developed to ornament with flower designs. 3. Stele base: The stele base of the tomb stone of King TaeJong-Muyol(Pic. 1-3) has lotus designs arranged neatly. But stele base of the turtle base at Sung Ju-Sa temple or Wolkang-sa temple has a cloud-sharped patterns tn different way (Pic. 17-5). 4. Dragon Cap; The dragon cap of the stele at the cemetry of King TaeJong-Muyol (Pic. 1-2) has 6 dragons which are tangled with each other But the dragon cap of later period shoe's that the dragons were released their body from the tangle, then through the dragon cap of the stele at MuJang-sa temple (Pic. 7-3) they came into sight from the clouds slugging a little bit. All those changes came out of the spirit of the era. To this point, the harmonious spirit of the earlier of Silla grew to be more luxuriant, afterwards, and this trends was reflected directly on plastic art with its fanciful spirit of that tim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