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1 Download: 0

여자중학교 무용학습에 있어서의 민속무용 지도에 관한 일연구

Title
여자중학교 무용학습에 있어서의 민속무용 지도에 관한 일연구
Authors
박진희
Issue Date
197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는 고도로 발달된 과학문명과 각 나라간의 교섭이 잦아진 관계로 우리나라 고유문화가 점차 그 빛을 잃고 있는 현상이 두드러진 시대다. 따라서 학교교육에 있어서도 민족 주체성의 확립을 위한 교육의 실현을 민족의 생활 및 전통을 연면히 이어 오게 한 민속무용을 비롯하여 민족의 문화적 유산에서 추구하여야 할 것이라 믿는다. 또한 지금처럼 교육에 있어서 민족주체의식의 앙척이 요청된 때도 일찍이 없었으며 특히 민족문화에 대한 개발과 창조는 세계적인 교육의 추세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런 시대적인 필요성과 세계적인 흐름에 비추어 볼 때 학교무용의 중요성은 자못 크다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무용교육자들은 이런 중요성을 깨닫고 있으면서도, 구체적인 방법과 자료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아 민속무용 지도를 철저히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에 그 제목만이 수록되어 있는 강강술래와 농악무에 대한 이론의 체계적인 정립과 실제면에 있어서 기본적인 기능에 중점을 두어 단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학습계획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학습지도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주로 문헌을 통하여 그 이론적인 배경을 고찰하였으며 실기면에 있어서는 무용전문가와의 면접으로 기본동작의 구성에 참고로 하였다. 첫째, 1학년의 강강술래 학습내용은 이론, 기본동작, 응용동작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에 따른 학습계획은 다음과 같다. 1차시 ; 강강술래의 유래 및 특징 2차시 ; 강강술래의 주가 되는 장단과 가사의 내용 3차시 ; 기본 스텝 4차시 ; 팔의 기본 동작 5차시 ; 진 법 6차시 ; 분단 발표 및 평가 등으로 각 차시에 따라 학습계획을 설정했으며 이에 따른 학습지도 내용 및 방법을 살펴보면 강강술래는 그 기원에 관해서 두가지 설이 있다. 그 중 하나는 삼한시대 설이고 다른 하나는 임진왜란 설이다. 강강술래는 무용형태로 보나 단조로운 음악형태로 보아 농악과 더불어 삼한시대로부터 내려 온 원무형식인데 원무란 숭배물을 중심에 두고 그 둘레를 돌면서 노래하고 춤추는 것으로, 소원이 이루어지고 화를 면한다고 믿는 나머지 성행되었던 원시적이며 소박한 민속무용이라고 볼 수 있으며 특성으로는 야외무용과 실내무용의 장점을 아울러 지니고 있다. 또한 사사조의 리듬으로 음악은 단조롭지만 미운에 묘미가 있다는 것을 교사의 설명을 통하여 지도하도록 한다. 실기면에 있어서는 기초적인 기능에 중점을 두어 주가 되는 기본 스텝과 팔의 동작으로 구분하고, 풍부한 내용이 깃든 진법을 교사의 시범으로써 학생이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해 준다. 또한 정확한 장단을 익히기 위해서는 진양조, 중몰이, 잦은몰이 별로 구분하였으며, 교사는 직접 장고를 쳐서 학생으로 하여금 박자를 익히도록 하고 교재용 레코드를 듣도록 하여 박자를 구별하도록 한다. 둘째, 2학년의 농악무 학습내용도 이론, 기본동작, 응용동작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에 따른 학습계획은 1차시 ; 농악무의 유래 2차시 ; 농악의 12채와 농악듣기 3차시 ; 기본 스텝 4차시 ; 소고치는 법 5차시 ; 소고치는 법 6차시 ; 분단 발표 및 평가 등으로 각 차시에 따라 학습계획을 설정했으며, 이에 따른 학습 내용 및 방법은 농악무의 기원은 상고시대에 마한에서 있었던 씨뿌린 후와 가을 추수시의 괴신제, 예의 시월제천, 부여의 납월제천 등이 모두 신에의 제사로써 노동의 고충을 잊고 작업능률의 향상과 그 해의 풍년에 대한 기원과 수렵후의 기쁨과 환희, 그리고 수복강녕 등 오락적 요소의 삼위일체의 행사라고 본다. 삼한시절이라면 원시적 신앙심이 백성들을 지배하고 있었음을 미루어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을 교사의 설명으로서 지도하도록 한다. 기술면에 있어서는 기초적 기능에 중점을 두어, 주가 되는 기본 스텝과 소고치는 법을 구분했으며 이러한 동작은 교사의 시범으로서 학생이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해 준다. 셋째, 3학년의 농악무 학습내용도 이론, 기본동작, 응용동작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에 따른 학습계획은 1차시 ; 농악기의 종류와 역할 및 특징 2차시 ; 농악무의 구성과 기본연기 내용 3차시 ; 12채에 따른 기본 스텝 4차시 ; 진 법 5차시 ; 진 법 6차시 ; 분단발표 및 평가 등으로 각 차시에 따라 학습계획을 설정했으며 이에 따른 학습 지도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농악무는 상류사회와 인연이 먼 권농적 단체음악 무용으로 민간에서 자라고, 간직된 남자들의 춤이며 장고, 소고, 북, 징, 호적, 꽹과리의 리듬으로써 흥겨워 추는 춤으로, 상모에 매어단 털이나 띠를 돌리는 것이 특징임을 교사가 예을 들어가면서 설명해 준다. 실기면에 있어서는 2학년에서 익힌 기본 동작을 바탕으로 하여 12채에 따른 기본동작과 더불어 풍요한 내용이 깃든 진법을 교사의 시범으로써 학생이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해 준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체육과 교육과정에 의한 한국 민속무용의 단원 전개계획과 함께 각 차시별로 학습지도 내용과 방법을 제시 하였다.;The □□esent age is the time when our country's own culture is gradually growing dull in color owing to highly advanced scientism and frequent contacts between countries. Therefore, the investigator thinks that, for the establishment of each country's own identity including living conditions and folk dacne with a time-honored tradition, school education system should be studied more throughly on the base of the property of each country's culture. Furthermore, now is the time the election of the country's identity in education should be demanded. Considering that the development and recreation of folk education, the investigator believes that the importance of middle school dance should be given much more weight in the light of the needs of the times and the current of the world. Though the dance-educators of Korea realize the importance is not being taught thoroughly, more concrete method and materials of folk dance not being arranged systematically. The investigator puts stress on the practical talent related to kanggangsoolae and Nongakmoo dancing of instrumental music of peasants. The teaching-method of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ontains them. Consequently this study is : 1. To establish the teaching method and suggest the materials of it for the purpose of a systematic guide. 2. To research for the theoretical backgroud through the study of recordings on books. 3. To reference for the composition in basic motions by the help of interviews with professional dancers. First, the contents of teadhing-method of Kanggangsoolae are divided into theory, fundamental action and applied action in proportion of the standard of each grade year. In the first grade class is to be trained th tectics of Kanggangsoolae by the applications of the origins of folk dance, the fundamental steps. The second grade class is to be trained the comparisons of the two origins of folk dance, the fundamental skill, basic steps and arm-action following the tactics by the combination of arm-action. The third grade class is to be trained the contents of songs, the pecularities of Kanggangsoolae, Jinyanjo, Joongmoli, and Jajinmoli on the base of the a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 years. The fourth grade class is to be trained the basic motion of arms. The fifth grade class is to be trained the varieties in displaying. The sixth grade class is to be trained the group per formance and evaluation. Secondly, as to the contents of the teaching-method of Nongakmoo, which is devided into three parts, the theory, the basic motion and its applications. The teaching plans for it are as follows: The 1st class : The origin of the Nongakmoo (or the farming music and dance.) The 2nd class : The twelve forms of the Nongakmoo, and the listening to them/. The 3rd class : fundamental steps. The 4th class : How to beat hand-drums. The 5th class : How to beat hand-drums. The 6th class : Group performance and evaluation. More□ver, as to the thir□ grade class, all-around steps of practical talent are related to getting accustomed to the tactics containing colorful contents to be interested in dancing on the base of fundamental steps and the beating of a tabor,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of teaching-method are foloows: There are two opinions of the origin of Kanggangsoolae. One of them has ist origin in th games of racial chracteristics from Sam-han Dynasty, and the other is said to be from Yimjinwae-ran. Kanggangsoolae, along with from Samhan dynasty. Circle dance means that people in those days round an idol worship singing and dancing. They believed tht circle dance was a primitive and humble folk dance, realized their own wishes and drove away evil fortune. Accordingly, they were strongly interested in folk dance. Kanggangsoolae has the advantage of females dancing both indoors and outdoors. Besides, it has a monotonous rhythm of Sasajo and yet has an indescribable charm in its ending rhythm. Nongakmoo dated back to Mahan dynasty of acient times Siwoljecheon of Ye and Labwoljecheon of Booyo dynasty. There were festivals holding a superstitious service for sowing and thanksgiving. They were all festivals of Gods. On the occasions of those festivals, people forgot the sufferings of labor, prayed for th betterment of labor efficiency, celebrated a good harvest, pleasures of hunting, long life and happiness. It can be believed that people in samhan dynasty were influenced by primitive beliefs. Nongakmoo was far from high society and yet was group song and dance for farm-encouragement. In addition, it flourished among common people, was a kind of dance interested by males, keeping rhythm with Jang-gu, tabor, drum, gong, so-gum and Taepsung-so. It is also characterized that males turn feathers of sashs hnging from the hats. Thirdly ; the contents for the 3rd graders in the study of the Nongakmoo is devided -d th theory, th basic motions and its applications. And their teaching plans are as follows : The 1st class : The kinds, roles and peculiarities of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Nongak (or the farming music). The 2nd class : The composition of the Nongakmoo and the contents for absic-level performances. The 3rd class : The basic steps followed by the twelve forms. The 4th class : how to display The 5the class : how to display The 6th class : Group performance and evaluation. Practical skill of folk dance puts stress on fundamental function. It is divided into main fundamental steps, the rules of beating of a tabor, cites the tactics involving colorful contents and indicates applied action. As sean above, the materials of teaching-method are shown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of teaching-meth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