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0 Download: 0

부모의 훈육태도와 자녀가 지각하는 훈육태도에 관한 일고찰

Title
부모의 훈육태도와 자녀가 지각하는 훈육태도에 관한 일고찰
Authors
노재영
Issue Date
197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사회 내면에 깊이 뿌리박힌 강력한 유교문화의 영향은 문화, 심리학적 측면에서 전통적으로 강한 남아선호라는 의식구조를 형성케하여 아들을 딸보다 더 중요시하는 남아존중사상을 갖게 하였다. 이의 영향으로 한국사회에 만연되어온 남아존중의 개념은 아직도 크게 변화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 놓여 있다. 인구문제연구와 가족계획연구와 관련된 많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남아존중사상은 초등학교 아동에게도 이미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남아에게서 더 뚜렷이 나타난다고 밝혀졌다. 여기에서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적인 의식구조를 배경으로 현 사회에서 부모와 아동에게 형성된 남아존중사상의 근간을 파악하기 위하여 아동의 사회화에 가장 근본적 담당자인 부모의 훈육(가정교육) 태도경향과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훈육태도경향을 알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세분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부모가 갖는 훈육태도의 경향은 어떠한가? 2.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훈육태도 경향은 어떠한가? 3. 부모가 갖는 훈육태도 경향과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훈육태도 경향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훈육태도와 자녀의 훈육태도 지각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반응을 모집하였다. 대상자는 남녀 332명(남자 160명, 여자 172명)과 부모 394명 이었으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모가 갖는 훈육태도의 85.8%는 아들, 딸의 구별을 두지 않으므로 부모는 대부분 성차가 없는 훈육태도를 갖는다. 자녀는 부모가 나타낸 훈육태도의 76.3%를 아들, 딸의 구별을 두지 않은 것으로 지각하므로써 부모와 상관된 결과를 보인다. 그러나 부모가 보인 반응과 자녀가 보인 반응에 차이를 가져온 것은 자녀는 성차를 둔 부모의 훈육태도를 예민하게 지각한 때문이라 생각된다. 2. 아들, 딸의 구별을 둔 부모의 훈육태도는 딸보다 아들을 더 존중하는 훈육태도의 경향을 보인다. 3. 자녀는 부모가 보인 남아존중의 훈육태도경향을 더 예민하게 지각하며 남아는 여아보다 더 짙게 남녀존중의 훈육태도를 지각한다.;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deeply rooted in Korean society, has formed preferential consciousness of boys to girls, which has been strongly fostered in the light of cultural and psychological aspects, leading to the boy-predominance thought, This thought is unchanged in every nook of society in Korea. A large and growing number of studies on population problems and family planning show that such thought begins to be formed from the early stage of education and this tendency is more conspicuously present in boys than girls. This study is intended ta clarify the parents' discipinary ( domestic educational) attitude which plays a heavy role in the socialization of children, and the children's percepts' toward their parents' disciplinary attitude. With emphasis upon the boy-predominance thought on the basis of traditional Korean consiousness. And the point of this study is to show what kind of consciousness the thought has come from and how the parents have influenced their children. Accordingly,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three questions as follows: 1) What is the parents' attitude toward discipline ? 2) What is the children's perception toward their parents' disciplinary attitude ? 3)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attitude and children's perception toward discipline? For this research, questionaires to which parents and children have responded were collected. The respondents consisted of 332 children (160 □oys and 172 girls) and 394 parents. The research shows that; 1) 85.8 percent of parents make no distinction between boys and girls. Most parents have an attitude toward discipline regardless of sex. 76.3 percent of children recognize that their parents have no distinction between boys and girls in discipline. Both the parents' and children's attitudes are cl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R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hildren are very sensitive to their parents' disciplinary attitude in distinguishing boys from girls. 2) The parents who make an abvious distinction between boys and. girls give preference to boys than girls. 3) Children are more sensitive to their parents' boy-predominance attitude and boys more clearly acknowledge such attitudes of their parents than do gir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