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7 Download: 0

무용 즉흥법에 대한 실험연구

Title
무용 즉흥법에 대한 실험연구
Authors
김화숙
Issue Date
197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학교에서 무용을 배우는 데는 특수한 기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사와 학생들이 아직도 많다. 무용가의 원숙한 춤을 보고 감탄하는 나머지 재능이 없는 사람은 미리 소원감을 느낀다. 그러나 학교교육에서 무용을 가르치고 있는 이유 중의 하나는 무용의 본질을 이해시키고, 신체를 통하여 자기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을 습득케 하기 위함이다. 즉흥법은 무용의 창작능력의 기초가 될 뿐 아니라, 누구에게나 잠재하는 창조적, 미적 능력을 신체표현을 통하여 밖으로 나타내게 하는 데도 크게 도움을 주는 방법이다. 따라서 즉흥이 무용의 기초기능의 하나일 뿐 아니라 무용교육의 중요한 요소로서 받아 들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현재 중등학교 체육과 교과과정 중 무용의 창작과정 속에는 즉흥이 들어 있으나 중2에 배당되어 있다. 그러나 교사의 기법을 모방하여 반복연습하고 교사가 만들어 준 안무에 의존하는 무용이 아니라, 자기의 오감을 통하여 느낀 그대로를 표현하는 능력을 기른다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느꼈기 때문에 즉흥에 대한 이론과 지도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즉흥법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여 학년차를 두어 조금씩 반복하면 학생들의 잠재적 무용의 표현능력이 개발될 것이며, 둘째 즉흥에 대한 수업방법을 개발한다면 학생들의 무용의 이해와 흥미를 훨씬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며, 셋째, 직접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여 보면 기대하는 성과가 나올 것이다. 라는 가설적 목표를 가지고 출발하였던 것이다. 워낙 선행연구가 적은 분야이기 때문에 이론가들이 단편적으로 언급한 것을 간추려 즉흥의 정의를 “어떤 자극에 대하여 깊이 생각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사물을 보고 느낀 것에 대한 반사적인 신체의 표현”이라 내리고 이 즉흥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였다. 즉흥의 지도방법을 다음 6가지로 분류하여 그 안에 계열성을 두어 점차 차원을 높여가는 순위를 부여하였다. 1. 청각적 날극에 의한 즉흥 2. 시각적 날극에 의한 즉흥 3. 촉각적 날극에 의한 즉흥 4. 문학적 날극에 의한 즉흥 5. 운동 감상적 날극을 이용한 즉흥 6. 상상력을 이용한 즉흥 이 지도방법을 세분하여 체계를 세운 다음 여자 중학교 일학년에게 맞는 지도안을 짜서 실험수업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무용교사의 전문적인 지도를 받지 않은 신입생을 택하여 학년 초에 대상으로 잡았다. 3학급 210명 중에서 2학급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한 학급을 비교군으로 하였다. 즉흥을 8시간 안으로 엮어 수업을 실시하기 전에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고, 즉흥수업 4교시 후에 중간 검사를 하고, 즉흥수업 8교시 후에 최종 검사를 하였다. 처음에는 무용에 대한 자신이 없어 약 50%의 학생밖에 따라 오지 못하였으나, 중간 검사 때에는 90%까지 따라올 수 있었고, 개인차도 훨씬 줄어들었으며 흥미도는 날로 높아져 갔으며 최종 검사 때는 100%가 다 할 수 있었다. 여기서 얻은 결과는 1. 비교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은 무용의 창의적 표현력이 두드러지게 늘어났을 뿐 아니라, 이해와 흥미가 높아졌으며 2. 즉흥은 잘 조직된 계획에 의하여 매학년 5~8시간 정도만 가르치면 무용 교육에 크게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았으며 3. 일반 무용 학습에 비하여 개인차를 크게 감소시킨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즉흥은 창의력 개발에 도움을 준다는 것으로 창작에의 기초라고는 알려져 있었으나, 무용 교육에서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지는 못하였다. 이번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즉흥을 교육과정에 보다 더 효율적으로 반영시킨다면 무용교육의 목표를 보다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즉흥의 강조는 곧 시간수를 많이 배당하는 양적 팽창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즉흥 수업을 교육과정 속에 밀도 이TRp 조직화하자는 것이다. 그러면 무용교육의 일반화에도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며 이것은 남학생에게서도 저항을 받지 않는 체육교육으로서의 가치가 있을 것이다.;The number of students and teachers who regard a special technique is required to learn dance in school is still not a few. Those who were struck by a mature performance of dance become easily estranged if he does not take himself talented. However, one of main reason for dance education in school gymnastic is to teach student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dance and to train the ability to express their emotion and idea. The improvisation is not only basic to the creative power of dance but, a helpful way to reveal creative, aesthetic potent which is latent to most people through body expression. It is therefore considered that improvisation is one of basic function of dance and should be accept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dance education. The improvisation is as of now treated in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during creation leason in Che physical Eduoation curriculum. When we think the dance lesson which cultivates student's ability to express what they feel and what they sence through their own feeling is far more important, than the lesson depending on teacher's choreography immitating the motion and repeating its practi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theory and teaching method of improvisation. This study is started on the following hypothetical purpose: 1) Student's potential expression ability will be cultivated if the theoretically systemazed improvisation lesson continually imposed on the curriculum. 2) Student's comprehension and interest in dance would be increased by developing the teaching method on improvisation. 3) The expected result could be achieved if examining through direct experiment. Though previous study on this field is not sufficient, fragmentary references of theorist give definition on improvisation as "reflective physical expression of what he feels from fact and things by intuition, not, by consideration" and upon this principle, new approach to improvisation is attemped. Teaching method on improvisation is divided into six stage as follows and put gradual precedence in it: 1) Improvisation to the audial stimulus 2) Improvisation to the visual stimulus 3) Improvisation to the tactile stimulus 4) Improvisation to the literal stimulus 5) Improvisation by motor stimulus 6) Improvisation by imagination This teaching method, elaborated and systemized, for the first grade of girl's middle school and the guide was actually practiced in experimental class. Object students selected had no experience of dance master's special lesson and experimental period was the beginning of first seamaster. 3 classes (210 persons) were taken for experiment: two for experimental group and one for comparative group. In advance to the 8-hours courses for the improvisation lesson, creative ability of students were tested. Middle examination were taken after 4 hours of lesson and final examination done after hours. At first, students were diffident about, dancing and only around 50 percent of them could follow, In the middle examination, 90 percent of them could follow and the gap between students became remarkably narrower: During final examination 100 percent of students could follow. 1) Comparing with the comparative group, the creative expression ability of experimental group is outstandingly elevated and under-standing and interests were increased. 2) Well-planned improvisation lesson program is found to be considerable aid to dance education. 3) Improvisation lesson is discovered to diminish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comparing with the ordinary curriculum. Improvisation has been known as a fundamental of creation which give aid to creative development but not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of dance education. In view of the outcome of this study, if the improvisation is adopted to curricular more efficiently, the purpose of dance education will be far easily achieved. Emphasis on improvisation does not imply the expansion in quantity, i.e. the increase of schoolhours. The densely planned improvisation lesson in curricular will contribute to the generalization of dance education and also this will be valuable for the physical education which even boy students are not reluctant to tak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