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8 Download: 0

한국 무신도의 도상학적 연구

Title
한국 무신도의 도상학적 연구
Authors
이정옥
Issue Date
197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은 최근 수년간에 이르러 여러 분야에서 부쩍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이 한국 고대종교인 샤머니즘(Shamanism)을 주제로 하게 된 것도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컸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주요 관심은 무신도의 미술양식에 국한된다. 그러나 앞에서는 무신도의 배경적 고찰로서 샤머니즘의 어원과 어의, 정의에 관한 제견해를 종합 정리하였다. 그 중에서 공통적으로 지적되는 사실은 샤먼(Shaman)이란 영혼을 다루는 기술자, 즉 영혼과 마음대로 통화하는 주술자라는 사실과 샤머니즘이란 이들(샤먼)을 중심으로 그를 에워싼 신자의 무리들에 의해 형성된 종교적인 현상으로 나타났다. 이를 원시종교로 보는 견해와 고도한 종교로 보는 입장이 있었으나,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샤머니즘은 기록에 의하면 무교로서 다영다신을 숭배하고 제했는데 삼국 초기까지만 해도 왕이 사제자인 무당으로서 제정일치의 시대였음을 말하고 있다. 그러나 신라 2대왕 남해차차웅부터 제정이 분리되어 왕매아노가 무당이 되어 조령제, 산천제, 기우제를 사제했으며 그 후 불교가 전래되어 무, 불이 습합된 신라의 화랑제도를 낳고 팔관회, 연등회 등 명칭은 불교행사이나 내용에 있어서는 고래로부터 전승된 샤머니즘 속에 외래종교인 불교를 수용한 혼합 상태였다. 조선시대에 있어서는 유교주의로 무당을 천시하고 탄압했으며 일제하에서는 많은 폐단과 비난의 대상으로 억제 당했지만 금무와 호무의 혼란을 겪으면서도 샤머니즘은 민간생활과 밀착되어 우리민족의 역사를 일관하고 있다. 즉 이러한 샤머니즘은 상고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줄곧 이어지는 종교적, 혹은 민속적인 사실이므로 단순히 원시적인 미개종교로 보는 서구적인 연구태도와는 달라져야 할 것 같다. 고려, 조선시대를 제외하면 왕이 곧 샤먼이었을 만큼 거의 샤머니즘이 정치에도 깊숙이 관계하고 있음을 알 수 잇는데 이는 지금 우리가 볼 수 있는 삼국시대의 화려한 문화유산들이 모두 그러한 샤머니즘 문명의 유산들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본다면 샤머니즘은 결코 미개민족의 종교가 아니었음을 한층 더 실감하게 된다. 이러한 견지에서 이 연구는 무신, 즉 샤먼신이 샤머니즘에 있어서의 신앙의 대상이 된다고 보고 이 샤먼시대의 인신이 사망함으로 인해서 그를 기념하는 의미에서부터 시작된 화상의 유래와 오늘날 무속에서 신앙되는 단군=산신=최영장군까지의 인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그와 함께 화상에 나타난 소재의 종교성과 특성을 도상학적 측면에서 색채와 아울러 고찰해 보았다. 우리나라의 무신도는 미술 양식적으로 중세 기독교적 종교화나 그 이전의 고대 벽화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펑면화법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결국 종교화가 지니는 보편적인 경향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우리들의 무신도는 단순히 민간신앙적인 차원에서가 아닌 하나의 고대종교도로서의 엄연한 가치가 인정 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아울러 무신도의 보다 더 체계적인 미술양식의 고찰과 또한 다른 나라의 신상들과의 비교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생각하며 이를 통해서 우리의 회화사를 체계화 하는데 보탬이 될 수 있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리라 본다.;Public interest in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sharp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in various fields. As absolute acceptance of Western culture smothered our spiritual ability, it is justifiable to have interest in things traditional. This thesis is aimed at defining shamanism, our ancient folk religion. Of course, this study is confined to artistic pattern of shaman folk painting. The first chapter is devoted to definition of shamanism and the origin of the word. it is understood that shaman is a psychromp who manipulates soul. in other words, shamans are sorcerers or sorceresses who take complete control of souls. Shamanism is a primitive religious phenomenon which was created by shamans and their followers. Some claim that it is a primitive religion and others a highly refined religion. From time immemorial, shamanism has main-tained its tenacity of survival as multi-spirit, cultic worship, a primitive religion of polytheism. According to historic records, in the early Three Kingdoms period, monarchs assumed parts of shamans to a greater extent. However, from Chachaung of the southern sea onward, religious functions were gradually separated- from politics. For instance, Ano, a sister of a king, became a shaman to officiate the ritual services to direct the communal sacrifices, escort souls of dead to other world, and to pray for rains. Thereafter, Buddhism was introduced into this peninsula from the continent and it gave a birth of ""Hwarang"" (Patriotic knights) system of the Silla Kingdom, a mixture of shamanism and Buddhism, Such Buddhist festivals as Yondunghoe (lantern festival) and. Palgwanhoe (ritual festival) is also a mixture of the primitive religion and the alien religion in a basic content. Although the religion was rejected by the ruling classes of the Confucianlsm-dominated Yi Dynasty and severely oppress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this country, shamanism has been dwelling in the heart of the Korean ancestors from the time of preliterate societies and has formed a wide basis for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Since shamanism is a religious and folkloristic tradition transmitted uninterruptedly from the ancient times, it is unrealistic approach that Westerners regard it as a mere primitive or uncivilized religious phenomenon. Shamans exerted a greater influence on poli-tics, except for Koryo and Yi dynasties, it is safe to point out that the brilliant cultural legac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s the outcome of the shamanistic civilization. In such context, shamanism is by no means a religion of a un-civilized people. Taking into consideration above statements, this thesis is to study the origin of ""image painting"" which began in commemoration of the death of human gods during the shamanism-influenced period and to clarify the change of human gods such as Tangun, mountain gods and Choi Yong, which have been much revered personalities in shamanism. Another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and coloring of image painting by means of painting diagram. Like religious paintings of medieval Christianity or ancient mural before the Christian era, the shaman folk paintings in Korea is in general dependent upon the horizontal method of painting, the common tendency of religious painting. Accordingly, our shaman folk painting must get due respect as an ancient religious paintings, not merely as a folk religious paintings, in conclusion, it is my sincere hope that more systematic approach to the pattern of shamanistic painting must be undertaken to open a new chapter to our history of painting by comparison of god images of other countries. And the core of folk religion in Korea is in fact shamanism underlying the fundamental stratum of Korean culture. Thus, shamanism infiltrated into every nook and corner of our society, dominates the way of thinking as well as the manner of behavior of the majority of Korean people, The shaman folk painting may have not orthodox artistic value to eyes that have been always refined by only the best qualities but other eyes that hunger to see true human beings, the shaman painting will show a slice of the past-in one of the most relishable way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