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2 Download: 0

자녀교육 방법으로서의 질책에 대한 연구

Title
자녀교육 방법으로서의 질책에 대한 연구
Authors
안순자
Issue Date
197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本 論文의 硏究目的은 子女들은 태어나면서부터 身體的, 知能的, 社會的인 모든 面에서 未開發 狀態이므로 그들이 장차 어떤形의 人間이 될것인가는 그들 스스로의 힘만이 아닌 다른 힘 그중 父母의 訓育에 의해서 많이 決定 지어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子女를 指導하는데 있어서 父母들은 健全한 訓育態度 로서 子女들이 바람직한 人間像을 形成 하도록 最善을 다하여야 한다. 本 硏究目的은 첫째로 子女訓育에 있어서 叱責이 잘못 使用될 경우 性格面에 막대한 支障을 招來한다는 前提下에 子女訓育에 對한 基礎的 理論을 確立 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둘째로 子女訓育에 있어서 叱責의 位置와 機能을 알아보고 어떤 叱責方法이 가장 바람직 한 가를 밝혀보고자 하는데 있다. 文獻硏究로 여러 學者들의 著書 卽 父母의 叱責이 子女의 性格形成에 어떤 影響을 주는 가에 對한 文獻을 通하여 子女訓育의 能度와 叱責의 바람직한 方法을 알아보았다. 調査硏究로서는 父母와 子女의 相互關係에 對한 觀察로서 세 子女를 키우고 있는 筆者와 周圍의 父母-子女를 對象으로한 一方的인 觀察과 副次的인 調査方法으로 1973年 11月 13日 서울시내 선일여자고등학교 1學年 學生 230名을 對象으로 質問紙法에 의한 自由記述形으로 그들의 意見을 물어보아 子女들의 態度를 알게되고 父母의 叱責方法의 改善이 급선무라는 점을 本 調査를 通해 알았다. 本 硏究에서 밝혀진 內容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Ⅰ. 子女訓育의 理論的 背景 A. 子女訓育의 槪念 訓育이라는 것은 子女의 社會的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動機들을 抑制 또는 除去하는 同時에 社會的으로 바람직한 動機의 發展을 鼓舞시키는데 必要한 것이다. 바람직하지 못한 動機들을 抑制시키는 데는 適切한 自己訓練이 必要하다. 自己訓練에 對한 基盤을 提供해주는 것은 바람직한 訓育이다. 自己訓練이란 自己가 할 수 있는것과 自制 卽 自己自身을 超越하는 힘을 기르는 同時에 訓練하는 일이다. 大部分의 사람은 訓育을 罰, 苦痛 그리고 두려움으로 生覺하기 때문에 苛酷하게 느끼고 否定的인 것이라고 生覺한다. B. 子女訓育의 目的 子女訓育의 目的은 子女가 規定된 어른의 役割을 해내어 祖上들이 물려준 文化的 價値를 保存하기 爲하여 自由를 削滅하려는 것이 아니라 다룰수있는 限度內에서 보다 큰 自由를 주려는 것이다. 그러기 爲해서는 어느정도의 制限과 統制밑에서 自由를 附與하여야 한다. 子女들이 그들의 能力을 最大限으로 活用하여 하는일에 대하여 責任感을 가지고 適切한 自由와 自己訓練을 通하여 他人에게 依存하지 않고 그들의 目標를 選擇하고 追求하며 滿足感을 가지도록 하는데 있다. C. 子女訓育의 形態 子女訓育의 形態는 父母들 自身이 가지고 있는 心理的인 要因 以外에 子女들이 처해있는 社會的, 文化的 및 經濟的인 背景에 따라서 다르다. 父母의 年齡, 敎育程度, 經驗程度와 種類에 따라서 다르다. 네가지 形態의 訓育이 使用되고 있다. (1) 낡은 權威主義的 形態 (2) 指導로서 忽耐하려고 하는 溫和한 方法을 使用하는 訓育 (3) 自由放任의 形態 (4) 進步的 敎育的 形態 進步的 敎育的인 形態가 民主的인 現代의 訓育으로 바람직하다. D. 子女訓育의 方法 父母는 우선 子女를 주어진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들 스스로가 價値있는 人間이 될수있는 可能性을 지니게 해준다. 子女訓育은 어디까지나 統制에서 指導로 바귀어져야 한다. 尊重과 사랑으로 對하고 冒險과 安全에 對한 子女들의 基本的 要求를 滿足시킬수 있도록 좋은 環境을 造成한다. 子女들이 當面하고있는 問題를 賢明하게 解決한다. Ⅱ. 子女訓育에 있어서의 叱責의 位置와 機能 A. 叱責의 目的 叱責의 目的은 父母가 願치않는 行爲를 子女들이 저질러 成長하는데 支障을 招來하므로 저질은 行爲를 制裁하는데 있다. 그리고 상대자의 成長 , 發展을 爲한 助言이나 指導가 包含되어 있다. B. 子女訓育 方法 으로서의 叱責의 意義 成人들이 그의 價値意識에 依據하여 年少者의 行動을 批判하고 주의를 환기시키거나 경계하거나 禁止하거나 罰을 暗示하거나 音聲을 높혀 命令하는 것을 意味한다. 꾸짖고 가르친다는 行爲에 重點을 둔다. C. 叱責의 種類 1. 批判 批判은 現代生活에서 子女를 容易하게 기르고 怠慢하게 하고있는 安易한 訓育方法 이라고 본다. 父母가 子女를 批判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行動自體에 對해서 加해져야하며 子女自身을 非難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認識시켜야 한다. 2. 特典의 剝奪과 類似種類 父母가 子女들의 바람직하지 못한 行動과 習慣을 是正 또는 없애기 爲한 手段으로 주어지는 罰의 한 形態로서 子女가 좋아하는 또한 이제까지 주어지던 權利를 剝奪하거나 저질은 行爲로 因하여 招來된 損失을 報償시키는데 그 目的이 있다. 그 方法으로는 잘못된 行爲에 對해 責任을 지게하여 사과하게 하거나 그 程度에 따라 隔離시키거나 優待나 즐거움을 一時的으로 빼앗는 일이다. 3. 體罰 이것은 叱責의 극단적인 種類로서 실제로 子女의 마음속에서 그가 이러한 가혹한 罰을 받게된 行爲와 그 程度에 있어 지나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장 不滿足스런 罰의 形態中의 하나라고 본다. 子女의 性格形成에 있어서 體罰을 效果的으로 하기 위하여서는 體罰뒤에 사랑이 따라야하고 그 程度에 있어 過誤에 相應하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體罰은 屈辱的인 體險이 되며 人格의 尊嚴을 損傷시키기 쉽다. D. 叱責의 方法 父母는 子女에게 效果的인 言語 行動을 取하기 前에 自信과 子女에 對한 性格을 詳細히 考慮해야 한다. 叱責할 때는 듣고있는 子女의 反應에 留意하여 되도록 權威主義에 치우치지 말고 明朗한 雰圍氣에서 叱責을 받도록 한다. 單純히 叱責을 꾸짖음 이라는 手段으로만 對하지말고 叱責後의 效果를 考慮한 後에 叱責한다. 꾸짖는 것은 좋으나 화를 내어서는 안된다. E. 叱責의 影響 叱責을 할 때 그 意味를 깨닫지 못하면 叱責하는 사람의 忿怒의 表現이나 그 原因이라고 生覺하게 되며 父母의 사랑이 결여되어 있다고 느낀다. 점차로 拒否現象이 나타나고 反抗의 表示로 울게되어 화를 내게되며 또는 빗나간 性格을 길러주게 된다. 자주 叱責을 받는 子女의 경우 누구에게나 服從k는 性格과 모든 社會體制나 權威團體에 反抗하는 性格을 나타낸다고 한다. F. 叱責과 稱讚 賢明한 稱讚은 子女로 하여금 스스로 잘못의 가책을 느끼게하고 自己自身의 行爲에 對하여 反省의 機會와 自責感을 갖게한다. 잘못한 것을 꾸짖는 것 보다 積極的으로 잘한 것을 稱讚함으로서 子女에게 自信感과 獨立心을 길러주게 된다. 子女가 보다 더 잘자라기 爲하여 꾸짖는 대신에 稱讚해주고 激動하는 態度가 子女의 圓滿한 性格을 育成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稱讚은 訓育의 가장 效果的인 手段이다.;There are many students of child behavior who are deeply interested in what the influance of parsnts' disciplinary measures would be on the formation of the children's persoralities. In this study, reproach as a means of disciplining childron is consicered in two parts, namely: disciplinin childeren and reproach. 1. Attituds that should be taken in discipliring children. Disciplining children is needed not as a means of punishment but as a way of healthful guidance and of encouraging desirable motivation of behavior, When children misbehave and cause trouble, parents should teach them to take aoction that would help them to solve the problem envolved by themselves. By giving them freedom and through healthy self-diseipline they should should be led to form their behavior pattern without relying upon someone also. Discipline should be such that without arousing attitude of antagonism and feelings of shame and inferiority complex should hilp attain disirable standards of behavior, and thereby improve their own behavier. The purpose of disciplire should be not to restrein their freedom but to give them greater freedom in controlling their behavior within the bounds of freedom socially allowable. It should help oper the ways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ith a sense of comradeship and understanding and constent guidance. Conscious effert should be made to dc away with the old nethod of discipline which is characterized by authoritarianism, load scolding and threat of punishment, Generous attitude should be taken on the part of parents toward children's unintentional and pccasional misbe havior,and for habitual misbehavior the reasons behind it should be carefully investigated and remove the cause or causes, or readjus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best corrective measure would be to place children in which they would not commit misbehavior. Standards of discipline should be constant, never vary from time to time, and to let children feel that they are being trusted by the use of praise and approval. As suppression Prohibition and order are 1ikeky to inhibit children's natural development of personality, more democratic, proggresive and educational methods of approach such as love, persuasion based upon sound reasoning and understanding should be taken. 2. Desirable methods of reproach The purpose of reproach is to help children to healtny growth and development of character and behavior. Reproach should not be just a means of punishment. it should include the function of education, pointing out undesiralbe consequences of misbehavior, and suppressing further repetition of such behavior. Reproach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just a way of scolding. The consequences of reproach should be fully considered before it is used. As reproach is most effective when there is goo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colding, when it is administered, should not be dons in anger. Since reproach is a means of help children to solver a problem, it should never be addressed to their charactor or a person as a whole. It should always be a way of communication and disussion, a means of establishing Just understanding. By respectiong their charactor, and giving them enough freedom, they should be given a chance to solve their problem by themsolves and voluntarily, and try to see their problem from their own standpoint, and guide them democretically. Thereshould always be consistency toward their behavior and in their attitude toward their behavior. Care should be taken not to feel on the part of children that parents' action is arbitrary, and to make them fully a understand why they are reproached. For smaller children, who cannot be made by vareal communication, to understand the reason for scolliar, it may be desirable to administer some form of physical punishment such as whipping, instead of repeating reproaching. Such a method would be more effective in letting them understand their parents' attitude toward their misbehavior in a direct way. For more arown-up children language is a more effective means of communicating parents' attitude. It this case, physical punishment is undesirab1e, In using the method of reproach, children's personality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and reproach should be administered accordingly, always observing their reaction. lnstead of being authoritative, care should be taken to create cheerful atmosphere in which they would listen to reproach in a receptive mood. A few points of care in using the method of reproach are listed here; 1. It should never be abused. 2. It should be consistent and objective. 3. It should he1p children to understand the reason why their bahavior is undesirable and point out the Ways of correcting it. 4. It should not be delayed and administered in a wholesale manner. It should be done immediately after the committment. 5. It should not be made in front of guests, their friends or brothers and aisters. Since praise is much more preferable than reprosching, effort should be made to praise good behavior than reproach misbrhavior. This way children will develop self-confidence &.nd, self-reliance. Praise shou1d be directed toward their efforts and achievements. It should never be a comparation with others, or exaggerated. I should be concise. It should not be discriminatory. It should be an expression of honesty. Reproach should not be for the sake of reproach. By means of reproach children should be made to learn to distinguish desirable behavior from undesirable behavior, and to reach their spiritual matur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