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5 Download: 0

지각차단효과에 관련된 변인으로서의 육아방식에 관한 연구

Title
지각차단효과에 관련된 변인으로서의 육아방식에 관한 연구
Authors
임계화
Issue Date
197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가정환경과 아동의 행동 사이의 관련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으로서, 이홍우 등(1973)에 의하여 개념화된 육아방식과 bruner et al.(1966)이 밝힌 “지각차단 효과”와의 관련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홍우 등은 육아방식을 “눈 앞에 보이는 구체적인 사물과 당장에 즉각적인 충동을 육아의 원리로 삼고 아동에게 이 원리를 일관된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촉진하는 정도”로 정의하고 이 정의에 따라 육아방식을 “사고중개”의 육아방식과 “감각우위”의 육아방식으로 양극화하였다. 본 연구와의 관련에서 위의 정의는 “언어를 사고와 행동의 통제수단으로 삼도록 촉진하는 정도”라는 말로 해석될 수 있다. 육아방식의 정의를 이렇게 해석할 때, 사고중개와 감각우위의 육아방식은 이론적으로 아동의 지각차단 효과와 반전효과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Bruner et al.이 말한 지각차단 효과란 riaget의 량의 보존 시험에서 아동의 지각을 차단했을 때 아동이 나타내는 지적 반응을 가르키며 반전효과란 지각차단을 제거했을 때 아동이 나타내는 지적 반응을 가리킨다. 결국 지각차단 효과와 반전효과는 량의 보존 사태에서 아동이 “언어를 사고와 행동의 통제수단으로 삼는 정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 3가지 가설을 검증하는 데 있다. 1. 사고중개의 육아방식은 감각우위의 육아방식에 비하여 지각차단효과와 반전효과를 더 많이 나타낸다. 2. 지능은 지각차단 효과 및 반전효과와 정적 상관을 타나낸다. 3. 육아방식은 가정의 사회경제문화적 질서 배경에 따라 다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Piaget의 량의 보존시험(사전검사)에 실패한 만 4~5세 아동 20명을 표집하여 그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이홍우 등의 육아방식 개념모형 중 6가지 영역에 관하여 육아방식을 알아보기 위한 면접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5단계 평정척에 의하여 평정하였다. 그리고 그 아동들을 대상으로 Bruner et al.이 실시한 3가지 지각차단 실험을 실시하고, 마지막으로 반전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Piaget의 시험(사전검사)을 되풀이 하였다. 가설1을 검증하기 위하여 육아방식 점수에 의하여 구분된 사고중개 집단과 감각우위 집단별로 아동의 지각차단 효과와 반전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사고중개의 아동은 감각우위의 아동에 비하여 지각차단 실험에서 대체로 량의 보존개념을 나타내며, 반전효과의 경우에는 사고중개의 아동 10명 중 4명이 량의 보존념을 나타낸데 비하여 감각우위의 아동은 단 한명도 량의 보존개념을 나타내지 않았다. 가설 2는 표집된 아동에 관한 한, 육아방식과 지능이 거의 완벽한 상관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가설로서의 의미를 가질 수 없었다. 가설3을 검증하기 위하여 육아방식별로 가정배경을 조사해본 결과 육아방식은 부모의 교육정도와 명백한 상관을 보이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상 본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 기대를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말하자면 사고중개의 아동은 감각우위의 아동에 비하여 즉각적인 지각으로부터 차단되었을 때, 언어에 의하여 량의 보존개념을 더 쉽게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경험에서 학습한 바를 기초로 지각내용을 통제할 수 있게된다. 이 결론은 자녀의 양육을 주로 책임지고 있는 어머니에게 중요한 시사를 준다. 본 연구는 표집의 크기가 충분히 크지 않다는 점에서 제한이 있다. 앞으로 충분히 큰 표집을 얻을 수 있으면 지각차단 효과(또는 그밖의 다른 지적 행동 변인)에 관련된 변인으로서 육아방식과 아동의 지능의 상대적 중요성을 비교하는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ward a more precise specification of commonly asserted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environment and children's behavior. The two variables to be related in this study are the types of child rearing as conceptualized by H.W.Lee et al.(1973) and the "" perceptual screening "" effect in the conservation experiment reported by J.S. Bruner et al.(1966). As conceptualized by H.W Lee et al., the child rearing practices are defined in terms of "" the degree to which the parents resort in their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to the description of concrete and immediate phenomena and immediate expression of momentary impulses, and positively reinforce such behaviors of their children,"" and are polarized into two modal types of "" sense-dominated "" type and "" mediated "" type, named after the two types of behavior construed by D.O.Hebb (1966).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study, the above definition can be aptly rephrased as denoting "" the degree to which the language serves as a control device of thinking and action."" The definition being thus rephrased, the two types of child rearing can theoretically explain the difference in the "" perceptual screening "" effect and the "" reversal "" effect among childred. The "" perceptual screening "" effect as identified by Bruner et al. refers to the intellectual response of children when they are shielded from immediate perceptual image in the standard conservation test by J.Piaget, whereas the ""reversal "" effect refers to their intellectual response when the screens are removed and they are exposed again to the immediate perceptual image. Therefore, both the "" perceptual screening "" effect and the "" reversal "" effect can be construed as indicating the "" degree to which the language serves as a control device of thinking and action "" in the children.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aims at teating the following hypotheses : 1. The mediated type of child rearing is more effective both in the perceptual screening effect and in the reversal effect of children in the conservation situation than the sense-dominated type. 2. The I.Q. of children i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perceptual screening effect and the reversal effect of children in the conservation situation. 3. The types of child rearing vary with the socioeconomic-cultural background of the family. To test the above hypotheses, a sample of 20 children of 4 to 5 years was obtained who failed in the standard conservation test(pre-test). Their mothers were interviewed by the present researcher with the 6 dimensions of the conceptual model of child rearing practicea developed by H.W.Lee et al., an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were scored in the 5-point scale. The three perceptual screening experiments were replicated to the 20 children, and finally the standard conservation test(post-test) was conducted to the children. The hypothesis 1 was tested by comparing the perceptual screening effect and the reversal effect of 10 "" mediated "" type children and 10 "" sense-dominated "" type children. The reults generally show that the "" mediated "" type children, as compared to their "" sense-dominated "" counterparts, manifest the concept of conservation in the perceptual screening experiments. As to the reversal effect, 4 out of 10 "" mediated "" type children manifest the concept of conservation, whereas none of their "" sense-dominated "" countparts do. The hypothesis 2 failed to serve as an alternative to the hypothesis 1, as far as the present sample is concerned, because of the almost perfect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of child rearing and the children's I.Q. The results of the test of the hypothesie 3 clearly indicate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s level of education and their child rearing practices. The above results seem to support the theoretical expectation of the present study, indicating that the "" mediated"" type children, as compared to their "" sense-dominated "" countparts, can easily grasp the notion of conservation, guided by the language, when they are shielded off from the immediate perceptual image in the conservation situation, and furthermore they can utilize their experience in controlling the immediate perceptual content. This conclusion can have a significant implication for the mothers who are mainly responsible in rearing their childred. The present study is subject to a serious limitation chiefly in that the sample is not large enough. A further study is suggested, with an adequately increased sample, to asses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types of child rearing of the parents and the children's I.Q. as the related variables to the "" perceptual screening "" effect(or some other variables of intellectual behavior) of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