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9 Download: 0

한국 남녀의 가치관에 따른 사랑의 지각

Title
한국 남녀의 가치관에 따른 사랑의 지각
Other Titles
A Study on Perception of Love Based on Values of Korean Men and Women : Centering on teens and those in their 20s and 30s in Seoul
Authors
황미란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Centering on Korean teens and you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this study aims to examine first, what characterizes their perceptionof love, second, how their perception of love changes based on different values, and third,how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s and love changes by gender and age. To that end, the study also attempt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love, and how these components differ from one age group to another.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a total of 431 male and female teens and adults in their 20s and 30s residing in Seoul. Factor analyses were then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for values and love by using the SPSS program for PCs, in order to determine the level of reliability regarding the validity of measurement tools. Cronbach's αvalue was calculated in addition to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hich were calculated to discover general properties of the subjects. In addition, a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test,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performed on different themes covered in the study. Finally, a Scheffe test was conducted as a post-hoc 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of love identified by different age groups from teens to those in their 30s, asense of intimacy was found to increase with ag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passion by age, those in their 20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assion among all age groups. Commitment became stronger with age. The forms of love were examined based on Sternberg¡¯s triangular theory of love, revealing that teens and those in their 20s showed romantic love and had greater intimacy and passion compared tocommitment. Respondents in their 30s, on the contrary, were found to have all three components –intimacy, commitment, and passion –but they are relatively more inclined to intimacy. In other words, the love of those in their 30s is in the middle of a transition from liking/friendship to consummate love.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socio-demographic factors excluding age were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love: male respondents perceived higher levels of commitment and intimacy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and those with higher education perceived greater commitment and intimacy, while a group of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assion most strongly. Moreover, those who are employed perceived higher levelof commitment and intimacy compared to students or those who are unemployed. As for the existence of a specific person as the object of love, the group comprised of those in love hasa heightened perception of intimacy and commitment compared to the group made up of those not in love. Third,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s and the three components of love found that higher role-centric values led to greater commitment to loved ones, whereas higher equalitarian values led to more intimacy toward loved ones. Nature-oriented values and utilitarian value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love. Fourth, comparing the differencesbetween men and women on the correlation and effects of values and love by age, men were found to perceive a higher level of intimacy with greater nature-oriented and equalitarian values. In additio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ased on the level of nature-oriented values and equalitarian values was found to be greater among older age groups than younger age groups. As for women, the higher role-centric values were, the higher the level of commitment they perceived, and the difference of the level of perceived intimacy based on the extent of role-centric values was greater among older age groups than younger age groups.;본 연구 목적은 10대에서 30대까지 청소년과 성인전기의 한국 남녀를 대상으로 하여 첫째, 이들의 사랑의 지각이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둘째, 가치관에 따라 사랑의 지각이 어떻게 달라지며, 셋째, 가치관과 사랑의 관계가 성과 연령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들의 사랑의 구성요인을 알아보고, 이 요인들이 연령에 따라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서 거주하는 10대부터 30대까지 남∙녀를 대상으로 총 431명을 설문조사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도구의 타당도의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가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Cronbach's α값을 산출하고 연구 대상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그리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요인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e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대상인 10대~30대를 연령에 따른 사랑의 특성을 본 결과, 친밀감은 연령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정은 연령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으나 10대부터 30대 중에서는 20대가 가장 열정이 높았다. 책임감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Sternberg는 사랑의 삼각형 모형으로 사랑유형을 살펴보면, 10대와 20대는 책임감에 비하여 친밀감과 열정이 더 높은 낭만적 사랑유형이었다. 반면 30대는 친밀감과 책임감 열정 모든 요소를 가지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친밀감에 좀 더 치우쳐 있는 사랑 모형에서 본다면, 좋아함 유형에서 성숙된 사랑유형으로 진행되는 중간 단계이다. 둘째, 연령을 제외한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사랑의 특성에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남자가 여자 보다 책임감과 친밀감은 더 높게 지각하고 학력은 높을 수록 책임감과 친밀감이 더 높게 지각되지만 열정은 고등학교 재학 집단이 더 높게 지각한다. 또한, 직업이 있는 집단은 학생이나 무직인 사람들에 비해 책임감과 친밀감을 더 높게 지각하고 사랑하는 사람이 존재유무에 있어서는 현재 사랑하는 사람이 존재 하는 집단이 현재 사랑하는 사람이 없는 집단에 비해 친밀감과 책임감이 더 높게 지각한다. 셋째, 가치관과 사랑의 3요인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중심주의 가치관이 높을수록 사랑하는 사람에게 더 책임감을 느끼고, 평등주의 가치관이 높을수록 사랑하는 사람에게 더 친밀감을 느낀다. 그러나 자연순리주의 가치관과 실리주의 가치관은 사랑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령에 따른 가치관과 사랑의 상호작용효과가 남성과 여성에게서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보면, 남성의 경우에는 자연순리주의 가치관과 평등주의 가치관이 높을수록 친밀감은 더 높게 지각되지만, 평등주의 가치관이 높을수록 열정과 책임감은 더 낮게 지각한다. 그리고 자연주의 가치관과 평등주의 가치관의 정도에 따른 지각의 차이는 연령이 적은 집단보다 많은 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난다. 그러나 여자의 경우에는 역할중심주의 가치관 높을수록 책임감은 더 높게 지각하고 역할중심주의 가치관의 정도에 따른 친밀감 지각의 차이는 연령이 적은 집단보다 많은 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