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나연-
dc.creator강나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7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57-
dc.description.abstract제 2언어 습득 및 외국어 학습에 있어 문법 교육의 역할과 효과는 끊임없이 논의되어 온 부분 중 하나이다. 그 동안 기능과 의미를 중요시하는 구두 언어 중심의 교수법이 강조되면서 문법 교육의 위상은 크게 약해진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의미중심 교수법이 외국어로 영어를 학습하는 환경에도 적합한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고,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 안에서 학습자들이 목표 구문에 자연스럽게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교수법의 효과가 입증되면서 형태에 중점을 두는 문법 교수의 필요성이 재고되고 있다. 한편 영어의 수동태 구문은 한국 학생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영어의 문법 사항 중 하나로, 정규 교과 과정에서는 서법(modal) 완료(perfective), 진행(progressive) 등의 시제와 결합된 형태로 그 용법과 의미가 다양하게 응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입력 강화 활동을 통한 문법 교수가 우리나라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수동태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있으며 나아가 영어 교육 현장에서 수동태 구문을 효과적으로 학습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정하고 12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세 집단 중 두 실험 집단에게 입력 강화 처리된 학습 자료를 제시하고 실험 집단 1에게는 그룹 별 토론 후 교사가 명시적으로 수동태 구문의 규칙을 가르쳐주었고, 실험 집단 2는 그룹 별 토론 후 토론 내용을 바탕으로 목표 구문을 사용한 문장을 영작하게 한 후 교사가 수정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통제 집단에게는 별도의 입력 강화 활동 없이 목표 구문이 굵은 글씨체로 처리된 학습 자료만 제시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력 강화 활동이 영어 학습자의 수동태 구문 학습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입력 강화 활동과 더불어 교사로부터 명시적인 규칙을 설명 받은 실험 집단 1의 경우가 가장 크고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으며 이와 대조적으로 별도의 활동 없이 입력 강화 자료만을 받은 통제 집단의 경우는 실험 이전의 검사 결과가 가장 높았음에도 실험 이후 검사에서는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한편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효과적인 문법 교수 방법을 알아보기 위한 결과 분석에서는 상위 학습자의 경우, 교사로부터 명시적인 규칙을 설명 받은 실험 집단 1의 향상도가 가장 높았고 학위 학습자의 경우 교사로부터 수정 피드백을 받은 실험 집단 2의 향상도가 조금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동태의 구문의 난이도에 따라 상·하위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활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를 보면, 우선 쉬운 문제의 경우는 교수 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단순 시제의 수동태 문형을 다룬 문제의 경우는 정규 교과 과정에서 일찍 소개되는 문법 사항으로 실험에 참여한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규칙이기 때문으로 어려운 문제의 경우는 교사로부터 명시적 규칙을 설명 받은 실험 집단 1의 향상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통제 집단의 경우 오히려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에 비해 더 낮게 나왔다. 이는 쉬운 규칙보다 어려운 규칙을 배울 때 명시적 규칙을 설명 받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실험에서 진행된 3회의 작문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에게서 자주 나타나는 수동태 구문 관련 오류의 유형을 보면 우선 전치사 구가 과다하게 사용된 점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수동 분사 대신에 동사의 원형이나 과거형을 사용하는 경우, 과거 분사형이 잘못 일반화시킨 경우, 모국어의 간섭에 기인한 오류 등이 있었고 특히 자유 작문 형태의 과제 3에서는 전체 학습자의 약 90%가 전치사 구를 과도하게 사용 (over-use)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이 영어 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동태 문법 학습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입력 강화 자료만을 사용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며 교사가 규칙을 제시해주거나 오류를 수정해주는 등이 입력 강화 활동이 병행되어야 한다. 둘째, 수동태 문형이라 할지라도 시제나 조동사와 결합하는 양상에 따라 쓰임이 달라지기 때문에 목표 구문의 난이도와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입력 강화 활동을 적용해야 한다. 셋째, 입력 강화 활동은 반드시 의사소통 중심의 의미 맥락에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즉, 목표 구문이 실제로 사용되는 의사소통의 맥락 안에서 오류가 발생했을 때 의미를 바탕으로 형태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문법 교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본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적인 영어 교육 현장에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로 목표 구문의 난이도에 맞는 수준의 학습자를 구분하여 입력 강화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고 학습자들의 변화 추이를 연구한다면 교육적으로 더 바람직한 문법 교육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How to teach grammar in second language learning has been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English education field. Sinc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ve competence has been emphasized, meaning focused instruction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most effective teaching method that would eventually enable learners to have a good command of language system. However, as some defective aspects of communicative approach in teaching grammar have been pointed out, they started to balance between the two instructions, those of form focused and meaning based. English passive structure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grammar items for Korean learners. The primary reason i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language system but the passive structure itself is complicated when combined with tense and modal auxiliari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two different kinds of input enhancement activities for English passive structure and investigate its effects on the learning of English passive and its use. A group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pretested on the English passive, were placed in two experimental groups and a control group and were divided into upper and low levels respectively. The control group was given only input enhanced materials whereas two experimental groups took part in additional activiti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1, after they are given input enhanced materials, they were asked to discuss about the target structure and the explicit rule explanation was presented. The experimental group 2, after they discussed about the target structure, instead of rule explanation, they were asked to produce two sentences and corrective feedback were given.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10 week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1 doing the input enhancement activities of explicit rule explanation achieved significantly better results in their passive structure posttest than the other groups. The result considering the learners level was quite controversial. For the upper level students, explicit rule explanation group did better than other groups but for the low level students, corrective feedback was proved to be more effective. Second, results considering the relative difficulties of passive structures, there were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case of easy structures(present/past passives). This was not because the input enhancement activities were meaningless but rather because those rules were too easy for the learner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difficult structures(perfect/progressive/combined with modal auxiliaries), the explicit rule explanation group achieved significantly better result than other groups in the posttest. Third, the errors frequently produced by learners in three writing tasks were analyzed. The most frequently produced errors were the misuse of passive participle. They used present or past form of verb and some of the learners use wrong forms of passive participle such as 'cutted' and the reason seemed to be the learners' lack of morphological rules. They also overused by-phrase in their free writing tasks and the reason can be inferred from the first language transfer. In conclusion, we could find that the use of input enhancement activities in the learning of English passive has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learning passive structure and its use. Explicit rule explanation seemed to be the most effective way of teaching passives but we should notice that giving corrective feedback was more effective for low level learners though it was not reveal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in order to get the most effective achievement in teaching grammar, especially passive structure, learner levels as well as the ranges of difficulty of target structur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 5 1. 제 2언어 습득과 문법 교수 = 5 2. 의미중심 형태 교수 (Focus on Form) = 7 3. 입력 강화 활동과 선행연구 = 11 4. 수동태 = 19 Ⅲ. 연구방법 = 26 1. 연구 질문 = 26 2. 실험 대상 = 27 3. 실험 자료 = 28 4. 실험 절차 = 31 5. 연구의 제한점 = 35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6 1. 입력 강화 활동에 따른 수동태 평가 점수 향상도 검증 = 36 2. 난이도에 따른 각 집단 상·하위 학습자의 수동태 평가 점수 향상도 검증 = 44 3. 수동태를 사용한 작문 활동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오류 유형 분석 = 52 Ⅴ. 결론 = 68 참고문헌 = 71 부록 = 76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107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입력 강화 활동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수동태 학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