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경아-
dc.creator이경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4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6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413-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현대 학교교육은 시대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변화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움직임은 전통적인 학교 교육 방법에서 벗어나 자기주도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갖게 하는 데 목표가 있다. 이에 학교 뿐 만아니라 정부 차원에서도 방안 마련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여전히 학교라는 거대 조직의 특성 때문에 다양한 변화와 시도들이 매우 점진적이며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학교교육의 제한적인 특성을 벗어나 21세기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비형식적인 교육기관에서의 학습이다. 비형식적인 교육기관에서의 학습이라 하면 박물관·미술관·과학관(이하 박물관)과 같이 공간적으로는 학교와는 다르지만 그 특성상 교육의 성격이 강한 전문기관에서의 학습을 말한다(AAM: America Association of Museum, 1992). 박물관은 대표적인 문화 시설로 수집, 전시와 보존, 교육을 그 주요 기능으로 하며 최근 박물관의 교육 기능 측면이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새로운 교육방법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맞물려 많은 박물관에서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박물관 교육이 양적 증대와는 대조적으로 박물관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학습방법, 교육방식 체계는 아직 확고히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이를 위한 움직임 또한 아직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효과적인 박물관 교육 방식의 체계 부재는 단순관람 또는 일회성 교육으로 여겨지는 박물관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에 역부족이며 박물관 교육에 따른 후속 학습과 학습자의 전이와 파지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기 어렵다고 밝혀졌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효율적인 프로그램이 되도록 하기 위한 교육방식의 모색에 있다. 연구를 위해 박물관 교육의 주요 대상인 초등학생 대상 박물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 중에서 교육방식 차이가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히고자 한 세부적인 연구 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1. 박물관 교육방식에 따라 학습동기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2. 박물관 교육방식에 따라 즉각적인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3. 박물관 교육방식에 따라 지연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2007년 9월부터 11월까지 국립민속박물관 ‘박물관에서 배우는 사회교과’를 신청한 서울소재 총 8개 초등학교의 14학급 중에서 4학급을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선정된 학급의 학년은 5학년이며 실험에 참가한 학생은 모두 117명 이었다. 먼저 4개 학급의 사회교과 학업능력에 대한 필기시험을 실시하여 집단간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그 후 박물관 교육방식을 다르게 하여 각각 교육을 실시하였다. 박물관 본교육 직 후 학습동기와 즉각적인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고 일정 기간 경과 후 지연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박물관 교육방식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경우 사후검증(Scheffe)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 교육방식에 따른 학습동기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박물관 교육에서 교육방식에 따라 학습동기가 더 유발되거나 감소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한 그 수준이 더 높거나 낮다고 할 수 없다. 둘째, 박물관 교육방식에 따른 집단 간의 즉각적인 학업성취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김혜정(2003), 백선욱(1980), 오상현(2002), 조전순(2006) 등의 선행 연구들에서 박물관 교육방식의 차이가 학습자의 직후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와는 다르지만 최미선(2005), Holmes(2003)의 연구와는 동일한 결과였다. 이를 통해 박물관 교육방식 차이가 즉각적인 학업성취도 측면에서는 박물관 교육의 어떤 교육방식이 더 효과가 있다는 것은 증명하지는 못하였다. 셋째, 박물관 교육방식에 따른 집단간의 지연 학업성취도 차이 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F(3, 113) = 10.803, p < .05. 이는 박물관 교육방식에 따라 지연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최미선(2005)의 연구를 지지한다. 본 연구자는 박물관 교육방식에 차이를 주는 구성요소 중의 하나인 사후교육이 여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반복과 복습을 통한 사후교육이 학업성취에 효과적이라는 기존연구들(민선희, 2004; 양승희, 2006; 이영미, 1987; 이현주, 2000)과도 일치한다. 이상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많은 박물관 교육에서 다양한 교육방식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방식의 차이만으로는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박물관 교육 방식을 이루는 하위 구성요소들, 즉 활용매체, 교육자료, 자료제시 순 서, 체험과 학습자에 대한 피드백, 교수자 등과 같은 요소들에 대한 추후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박물관 교육방식에 따라 즉각적인 학업성취도에서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지연 학업성취도에서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박물관 교육방식 차이가 학습자의 장기기억과 파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관람과 일회성 교육으로 여겨지는 박물관 교육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학습자의 장기기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교육방식에 대한 후속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박물관 교육에서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졌다. 따라서 박물관의 또 다른 주요 관람 대상인 가족 관람객과 성인관람객을 대상으로 하는 박물관 교육방식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Contemporary school education is showing various movements of changes to meet temporal requirements. These movements of changes aim at coming out of traditional modes of school education to cultivate self-directed, creative, and flexible thinking. Although the government as well as schools are exerting great efforts to make a plan, various changes and attempts to make them are still at the very gradual and restricted level because of properties of a large organization of school (Kim, 2003). It is learning at an in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is becoming one of the methods to cultivate talented people for the 21st century by coming out of such restrictive properties of school education. Learning at an in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 means learning at special institutions with strong educational features, such as museums, art museums, and science museu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useum"), although it is different from school in the spatial respect (AAM: America Association of Museum, 1992). A museum is a representative cultural facility having such main functions as collection, display, preservation, and education and is recently attracting attention on the aspect of its educational functions. To meet temporal requirements for new educational methods, a lot of museums are provid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But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at the spot of museums, or the system of museum educ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firmly yet as compared with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museum education; relevant movements are still at the beginning stage. The absence of the effective mode of museum education makes museum education just simple experience or transient viewing and difficult to exert positive effects on learners' long-term memory or achieve the goal to cultivate self-directed, creative talented people (Choe, 2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n educational method to make an educational program for museums more systematic, effective, and efficient. With museum-school partnership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at were main targets of museum education, an experimental test was performed on effects of difference in educational modes on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detailed questions this study tried to answer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level of learning motivation by modes of museum education?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immediate academic achievement by modes of museum education?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delayed academic achievement by modes of museum education? To answer these questions, 4 classes were selected from 14 at a total of 8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hich applied to the National Folk Museum for 'Social Studies to Learn at Museum'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07. A total of 117 fifth-grad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fter the four classes got performance evaluation on academic ability for social studies to secure homogeneity, education was performed with varied modes of museum education. After the education, measurement was carried out on learning motivation, immediate academic achievement, and delayed academic achievement after a fixed period of time. As for data analysis methods, reliability test was performed on the motivation level to measure reliability and one-way ANOVA was carried out to see if differences in modes of museum education affected improvement i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ation level. I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red, post-test (Scheffe)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a group in which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r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motivation between groups by differences in modes of museum education. Therefore, it cannot be said that differences in modes of museum education increase or decrease learning motivation or its level.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mmediate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groups by differences in modes of museum education. While some prior researches including . Kim(2003), Baek(1980), Oh(2002) and Joe(2006) produced a different result that differences in modes of museum educ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learners' immediate academic achievement, Choe(2005) and Holms(2003) produced the same result. Thus, it could not be demonstrated which mode of education was more effective in the aspect of immediate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laye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groups by differences in modes of museum education , F(3, 113) = 10.803, p < .05. This is also identical with Choe(2005) that modes of museum educ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delayed academic achievement, with follow-up education, which is one of the components varying modes of museum education, having positive effects. This is identical with prior researches (Min, 2004; Yang, 2006; Lee, 1987; Lee, 2000) demonstrating that follow-up education through repetition and review is effective in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hav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although many types of museum education are expect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long with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al modes, differences in educational modes fail to have direct effects on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es about sub-elements of museum education, that is, components of the content including media to use, educational materials, order of presenting materials, feedback about learners and experience, and teachers. Second, although it was impossible to confirm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mediate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groups by differences in modes of museum educ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laye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groups. This implies that differences in modes of museum education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learners' long-term memory and retention. This can be an alternative to overcome limitations of museum education which is regarded as simple viewing and transient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researches about educational modes composed of elements which can affect learners' long-term memory. Thir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museum-school partnership programs in museum education. So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about educational modes and their effectiveness in many museums targeting visitors accompanying family members as another kind of main visitors to museums and adult visit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2 C. 용어의 정의 = 3 Ⅱ. 이론적 배경 = 6 A. 인지주의 학습이론 = 6 1. 유의미학습이론 = 6 2. 선행조직자 = 8 B. 사전 · 사후 교육 = 11 1. 선행조직자로서의 사전교육 = 11 2. 복습과 피드백을 통한 사후교육 = 12 C. 박물관 교육 = 15 1. 박물관 교육의 역할 및 기능 = 15 2. 박물관 학교연계교육의 필요성 = 17 3. 국내 박물관 학교연계교육 운영 사례 = 19 D. 관련선행연구 = 23 1. 사전 · 사후교육효과에 관한 연구 = 23 2. 박물관과 학교연계교육에 관한 연구 = 24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8 A. 연구 대상 = 28 B. 연구 도구 = 29 C. 연구 절차 = 32 D. 자료 분석 방법 = 37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38 A. 박물관 교육방식에 따른 학습동기 수준 차이 = 38 B. 박물관 교육방식에 따른 즉각적인 학업성취도 차이 = 39 C. 박물관 교육방식에 따른 지연 학업성취도 차이 = 40 Ⅴ. 결론 및 제언 = 43 A. 결론 및 논의 = 43 B. 시사점 및 제언 = 46 참고문헌 = 49 부록 = 56 ABSTRACT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894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박물관 교육방식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Modes of Museum Education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dc.creator.othernameLee, Kyung A-
dc.format.pagexi, 9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