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9 Download: 0

子女의 家庭管理 意識에 關한 硏究

Title
子女의 家庭管理 意識에 關한 硏究
Authors
吳悳榮.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high-schoolgirl's concept in home management, in connection with their recognition of the attitudes and education levels of their mothers.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hildren's concept in home management and to seek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which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attitudes and education levels of their mothers, and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the effective education at home management in future. For this research the questionaires of 49 items were given to the one thousand senior high school girls living in Seoul. The survey was executed by the Chi-square test with SPSS analysis, taking the attitudes and education levels or mother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children's concept in hom& manag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The study reveals that the children's concept in home management tends to be identified with their mothers' as well as it differs according to the attitudes and education levels of mothers. The study fields specially on the children's concept of housewife's role at home, of home economics, and of the house hold work. The result is abstracted as follows: First, they have desirable concept of the housewife's role. They have socialized view of housewife's role, where the individual and humanistic value has priority to materialistic va.lue. Second, about the poorer in economy and the lower in education they are, the more importance they give to financial matters. When they choose the goods, the poorer have in mind the price more rather than the quality and credibility of them. Third, there is an inconstancy between their idea and the practice about household work. While, they admit theoretically the necessity of the equal division of household work among family members, most of household work was practically burdened on the female side, especially on the housewife. Therefore, continuing education in home management for highschoolgirl as well as their mothers should be done to make the idea meet the practice. ;將來의 主婦가 될 女高生의 家庭管理意識은 뚜렷한 價値觀 形成이전에 어머니의 役割에 意識的 無意識的 同一化의 過程으로 一時的이기 보다는 持續的이며 漸進的이다. 따라서 本硏究에서는 知覺된 어머니의 態度를 중심으로 女高生의 家庭管理意識을 진단하고 그 問題點을 찾아 家庭敎育에 올바른 方法을 모색하는 基礎資料를 얻고자 하는데 硏究目的을 두고 있다. 本 硏究의 理論的背景에서는 家庭管理의 本質을 通하여 硏究領域을 管理者態度領域, 家政經濟生活領域 家事勞動領域으로 定義하였고 子女와 어머니의 관계를 同一化過程으로 制限했으며, 家庭管理實態의 問題點을 主婦實態調査외 硏究考察을 通하여 問題를 提起 하였다. 本 硏究目的을 達成키 위해 知覺된 어머니의 態度와 어머니의 學歷을 獨立變數로 하였고 女高生의 家庭管理 領域別意識을 從屬變數로 하였다. 調査對象은 서울시 居住 女高 2,3學年 1,000명을 對象으로 質問紙調査를 하였고 독립변인과 종속변인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假說을 설정하고 Chi-square test 결과 아래와 같이 檢證 되었다. 첫째, 女高生의 家庭管理者의 態度에 대한 意識은 그들이 知覺한 어머니의 態度 및 어머니의 學歷에 따라 差異가 있었으며, 知覺된 어머니의 態度와 같은 方向으로 同一化하는 경향이 있었다. 즉, 어머니의 學歷이 높을수록 主婦役割에 대한 만족의 水準이 높게 나타났으며, 잘래 家庭主婦의 一方的役割보다 社會지향적 職業觀을 갖고 있었다. 바람직한 主婦像은 「物的管理」보다 「人的管理」에 중점을 두는 人間的 價値意識이었다. 또한 學歷이 높은 集團에서 主婦役割에 대해서 만족치 못하는 경우 「家庭일은 매일 반복되는 일로 단조롭다」, 「家庭일로 女子의 能力을 인정받지 못한다」등의 否定的인 面이 포함되어 있다. 둘째, 家政經濟生活에 대한 女高生의 意識은 知覺된 어머니의 態度와 어머니의 學歷에 따라 差異가 있었으며 知覺된 어머니의 態度에 同一化하는 경향이 있었다. 즉, 어머니의 學歷에 ek라 經濟的 滿足度가 높았으며, 이것은 父母의 學歷이 높을수록 社會的, 經濟的成就度가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學歷이 높을수록 貯蓄에 대한 태도가 「生活費에 여유가 있을 때 저축한다」의 微溫的意識을 나타냈고, 學歷이 낮고, 경제수준이 낮은 集團에서는 貯蓄에 대한 意識이 적극적이고 目的지향적이었다. 商品選擇의 기준도 어머니의 학력과 경제수준에 따라 差異가 있었으며 학력이 높은 집단에서는 信用과 品質중심의 購買意識을 나타냈고, 학력이 낮은 集團에서는 「價格」과 「동대문, 남대문 시장」을 購買場所로 하는 經濟性 위주의 購買意識 이었다. 또한 物品購入時 金錢에 대한 準備度는 어머니의 學歷間 差異가 있었고 학력이 낮고, 경제수준이 낮은 集團에서는 金錢에 대한 準備度가 비교적 정확했고, 학력이 높은 집단에서는 여유가 있는 狀況的 經濟意識을 갖고 있었다. 셋째, 女高生의 家事勞動에 대한 意識은 그들이 知覺한 어머니의 態度와 어머니의 學歷에 따라 差가 있었다. 즉 어머니의 學歷이 높은 集團에서는 家事勞動을 單純肉體勞動으로 보는 경향이 있어 學歷間 家事勞動에 대한 價値意識이 差異가 있었다. 또한 家事勞動의 不滿理由에 대하여 학력이 높은 집단은 「主婦의 時間浪費와 能力의 낭비」를 이유로 하고 있으며, 학력이 낮은 집단에서는 物質的, 經濟的, 不滿理由를 나타내고 있다. 全體的으로 「家事勞動은 家族의 일로 家族끼리 해야한다」는 家族責任意識 强했고, 「家事勞動은 한정이 없으므로 家族이 나누어서 해야 한다」는 家族分擔意識이 있었으나 知覺된 분담실태는 낮았고, 분담방법에 있어서 어머니의 學歷이 낮을수록 性差를 두는 傳統性이 있었고, 어머니의 學歷이 높을수록 性差를 두지 않는 民主的意識이었다. 實際로 家事勞動의 知覺된 분담실태와 子女의 分擔전망을 比較한 결과 主婦와 女子에게만 偏重된, 性差를 둔 분담이었고 家族間에 均等化 되지 못한 大同小異한 결과였다. 따라서 女高生의 家事勞動에 대한 家族責任意識은 家事勞動分擔展望 사이에 一貫性이 없는 意識의 乖離가 있었다. 이상 女高生의 領域別 家庭管理意識은 어머니의 學歷에 따라, 知覺된 어머니의 態度에 따라 意識水準은 높았으나 狀況的인 價値觀과 一貫性이 적은 意識이었다. 따라서 家庭管理者의 모델인 어머니의 높은 學歷과 一貫性있는 態度가 요구되며 學校敎育에서는 家庭管理領域別 價値觀定立敎育과 기술교육의 병행으로 敎育內容이 再檢討되어야 하고, 보다 낳은 家庭管理를 위해서 子女의 立場에서 家庭管理의 問題가 계속 연구되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