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정민-
dc.creator이정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6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5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4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55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인문계 중학교 무용담당 교사의 지도행동 유형에 따른 학생의 수업 만족도를 살펴보고 각각의 교사의 지도행동 유형과 학생의 수업 만족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아울러 학생들의 학년별 및 교사의 무용 전공 여부에 따른 학생의 수업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개 중학교에서 무용수업을 받고 있는 여중생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연구도구로는 무용담당 교사들의 지도행동 유형과 학생의 수업 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도행동 유형에 따른 만족도 검사지를 사용하여 설문지 초안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설문지는 설문 내용의 적합성과 적용가능성의 검토와 신뢰도를 검증한 후 이를 수정, 보완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설문지로 완성하였다. 자료분석에서는 학년과 교사의 무용 전공 여부에 따라 수업 만족도와 지도행동 유형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차이 검증인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를 실시하였고 지도행동 유형에 따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의 지도행동 유형 중 수업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지도행동 유형은 교수와 지시형과 민주적 행동형이며 가장 낮은 영향을 미치는 지도행동 유형은 전제적 행동형으로 나타난다. 둘째, 학년에 따른 무용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저학년일수록 크게 나타났다. 아울러 1학년이 2, 3학년에 비해 전제적 행동형을 제외한 나머지 지도행동 유형에 대해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며 전제적 행동형에서는 3학년이 1, 2학년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학년일수록 무용수업에 대해 긍정적이고 관심이 높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입시에 대한 부담감으로 무용수업에 대한 중요성을 낮게 인식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셋째, 교사의 무용전공 여부에 따른 학생의 수업 만족도는 무용전공 교사가 체육전공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교사의 지도행동 유형을 전제적 행동형을 제외한 모든 유형에서 무용전공 교사를 체육전공 교사보다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무용이 체육과는 또 다른 전문성을 요하기 때문에 무용 전공 교사에게서 더 큰 수업만족을 얻게 된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정리해보면 무용담당 교사는 수업시간에 가르치는 내용에 대해 상세하고 자세한 설명과 지도를 통해 학생들의 지식과 실력을 발전시키며 전제적인 지도행동은 지양하여 학생들이 수업에 대해 보다 큰 만족감을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각 학년의 특성에 맞는 수업계획이 필요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 무용수업 시간에 전문적인 무용담당 교사가 필요하며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무용수업을 위해서는 현직교사에 대한 재교육 폭이 넓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udent satisfaction in class depending on the type of dance teacher's teaching behavior an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teaching behavior in each teacher and the student satisfaction in class. The purpose also lies in finding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udent's class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students' grade and the teacher's major in dance. 400 girls who take dancing lessons in 4 middle schools located in the Seoul and Kyoung-ki area wereselect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As for the study tool,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class satisfaction and the type of teaching behavior in dance teachers, we completed a rough draft of a questionnaire using a survey sheet asking the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type of teaching behavior. The completed questionnaire was reviewed for the appropriateness and applicability of its content and then it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to becomecomplete as a questionnaire appropriate for this study. Concerning the data analysi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ing behavior type and class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grade and dance major, we performed the T-test which verifies the mean difference and the One way ANOVA,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eaching behavior type on satisfaction level, we used th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uch study method and process, we derived the following conclusions in this study. First, the dance teacher's type of teaching behavior that had the most influence on class satisfaction was the instructing and the democratic behavioral type and the type with the least influence was the autocratic behavioral type. Secondly, the satisfaction level in dance lessons according to grade level showed to be higher in lower grade students. On top of that, compared to 2nd and 3rd grade students, 1st grade students showed a relatively higher satisfaction in all the teaching behavioral types except for the autocratic behavioral type, whereas 3rd grade students showed a higher satisfaction level in autocratic behavioral type compared to 1st and 2nd grade students. Presumably this is because lower grade students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and more interest in dancing lessons and as the grades become higher, they put less importance in dance lessons due to the burden of the high school entrance exam. Thirdly, the students' class satisfaction level depending on the dance teacher's major in dance showed to be higher in teachers that majored in dance compared with teachers that majored in physical education. Also, in all the behavioral types except for the autocratic behavioral type, the students place a higher value in teachers that majored in dance compared to those that majored in physical education. The reason for the bigger class satisfaction from teachers thatmajored in dance is probably that dancing requires a professionalism that differs from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e dance teachers should try to help the students gain more satisfaction from class bydeveloping the students'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careful explanation and instruction about the contents taught in class, and by sublating autocratic teaching behavior. Class curriculum that is appropriate for the attributes of each grade is needed. Also there seems to be a need for professional dance teachers in school dance lessons and a need to expand the scope of reeducation in the teachers present for a mor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dance less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무용 교육 = 5 1. 무용교육의 특성 = 5 2. 무용 교육의 목표 = 7 3. 학교무용의 의의 = 10 B. 지도성 이론 = 13 1. 지도성의 개념 = 13 2. 지도성 이론의 유형 및 특징 = 14 C. 체육 및 무용의 지도행동 유형 = 25 Ⅲ. 연구방법 = 32 A. 연구대상 = 32 B. 연구도구 = 32 1. 무용수업 만족도 검사지 = 32 2. 교사의 무용 지도행동 유형 검사지 = 33 3. 연구도구의 신뢰도 = 34 C. 연구절차 = 35 D. 자료처리 및 분석 = 35 Ⅳ. 결과 및 논의 = 37 A. 교사의 지도행동 유형에 따른 학생의 만족도 = 37 B. 학년에 따른 교사지도 유형에 대한 만족도 = 42 C. 교사의 무용전공 여부에 따른 교사지도 유형에 대한 만족도 = 46 Ⅴ. 결론 및 제언 = 49 참고문헌 = 52 ABSTRACT = 58 부록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36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무용담당 교사의 지도행동 유형에 따른 학생 수업만족도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