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민수진-
dc.creator민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6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2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3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204-
dc.description.abstractTo get the best outcomes in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eacher-parent relationships are increasingly viewed as collaborative partnerships. Greater emphasis is being placed on the strengths, resources, and adaptive capacities of families, which have often been minimized in the past, and on the value of parental participation regarding their children and the service delivery system. So,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parent as the equal professional and to enhance teacher-parent collaborative relationship in service system assessment and planning. Therefore, the purpose for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eacher and parent have a consensus on necessity of collaboration and how they truly think about the practice of collabor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23 teachers and 271 parents in 10 national or public special school located in Seoul. The experimental tool was 'parent-professional collaboration survey'.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Chi-squire, one-way ANOVA and Scheffe´ method for post-hoc comparison.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Concerning the overall necessity of the collabor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eacher and parent group, but on factor3(respect/equality), the teacher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than did the parent group. Parent variables didn'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whereas teacher variables(grade)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2. Concerning the overall practice of the collabor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eacher and parent group, but on factor2(skill/problem solving), the parent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than did the teacher group. Parent variables didn'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whereas teacher variables(school form, severity of the disorder, educational career)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Each of the two groups(teacher and paren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ecessity and practice of the collaboration(the former was higher), and this difference was also found on all three factors(self-efficacy/commitment, skill/problem solving, respect/equalit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 group's gap(necessity and practice of the collaboration) and parent group's one. In conclusion, teacher and parent groups equally have the high motivation regarding the necessity of the collaboration. But, the practice level of the collaboration was lower than the collaborative aspiration in both intergroup and intragroup. Therefore, regardless of the group, teachers and parents should improve the collaborative practice and collaborative partnership;장애 아동 교육에 있어서 최상의 성과를 거두기 위한 노력으로 교사-학부모간 관계는 점차 협력의 추세로 나아가고 있다. 과거 과소 평가되던 가족의 강점과 자원, 그리고 적응 능력이 강조되며 아동 교육과 서비스 전달 체계에 있어서 부모의 참여가 중시된다. 특히, 다학문ㆍ초학문적인 입장에서 부모를 교사와 동등한 전문가로 이해하며, 프로그램의 계획과 평가, 서비스 전달 및 입법 과정 등에서 부모의 완전한 참여와 협력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와 학부모가 협력의 필요성에 대해서 얼마나 공유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와, 실제로 교사와 학부모는 얼마나 협력을 실행한다고 생각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협력 필요성과 실행에 관한 집단간 전반적 인식, 집단간 요인별(자기효능감/성실, 기술/문제해결, 존중/동등성) 인식 및 집단내 변인별(학교 유형, 소속 학년, 장애정도, 교육 경력)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고, 각 집단별로 협력 필요성과 실행간 인식의 차이와 이러한 차이에 대한 집단간 비교를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내에 소재한 10개의 국공립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223명과 학부모 271명, 총 494명이다. 연구 도구는 '학교-가족간 협력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조사 설문지'로 요인 분석을 토대로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t 검증, χ²검증, 일원분산분석 및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협력 필요성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교사와 학부모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두 집단 모두 '필요하다' 이상의 높은 욕구를 드러내었다. 요인별로는 요인 3(존중/동등성)에서 교사 집단이 학부모 집단에 비해 협력의 필요성을 유의하게 더 높게 인식하였다. 또한, 학부모 집단은 변인별(학교 유형, 소속 학년, 장애 정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교사 집단은 유ㆍ초등 교사가 중등ㆍ전공과 교사에 비해 협력의 필요성을 유의하게 더 높게 인식하였다. 2. 협력 실행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교사와 학부모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두 집단 모두 '보통' 수준에서 협력을 실행한다고 인식하였다. 요인별로는 요인 2(기술/문제해결)에서 학부모 집단이 교사 집단에 비해 협력 실행을 유의 수준 .001에서 유의하게 낮게 인식하였다. 또한, 학부모 집단은 변인별(학교 유형, 소속 학년, 장애 정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교사 집단은 정신지체 학교보다는 지체부자유 학교의 교사, 중등도보다는 중도 학생을 주로 대하는 교사, 5년 미만보다는 20년 이상의 교사들이 협력을 더 잘 실행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3. 협력 필요성과 실행간 차이에 있어서는 교사와 학부모 집단 모두 유의 수준 .001에서 협력 필요성과 실행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났으며, 두 집단은 모두 협력 실행이 협력 필요성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요인별로는 두 집단 모두 세 요인(자기효능감/성실, 기술/문제해결, 존중/동등성)에서 협력 실행이 협력 필요성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한편, 교사와 학부모 각 집단의 협력 필요성-실행간 전반적 인식 차이에 대한 두 집단간 차이 검증에서, 요인 2(기술/문제해결)에서는 학부모 집단의 협력 필요성-실행간 격차가 교사 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컸으며, 요인 3(존중/동등성)에서는 교사 집단의 협력 필요성-실행간 격차가 학부모 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교사와 학부모 집단은 협력 필요성 및 실행에서 전반적으로 집단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협력 필요성의 '존중/동등성(요인 3)'과 협력 실행의 '기술/문제해결(요인 2)'에서 교사 집단의 인식이 학부모 집단보다 높았다. 두 집단은 모두 세 요인(자기효능감/성실, 기술/문제해결, 존중/동등성)에서 협력 실행이 필요성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이러한 협력 필요성-실행간 격차에 대한 집단간 전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기술/문제해결(요인 2)'에서는 학부모 집단이, '존중/동등성(요인 3)'에서는 교사 집단의 격차가 더 크게 나타났다. 학부모 집단은 협력 필요성과 협력 실행에 대해 변인(학교 유형, 소속 학년, 장애 정도)에 상관없이 동질적인 인식을 가지는 반면, 교사 집단은 협력 필요성에 있어서는 유ㆍ초등 교사가 중등ㆍ전공과 교사에 비해 협력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협력 실행에 있어서는 정신지체 학교보다는 지체부자유 학교의 교사가, 중등도 보다는 중도를 주로 맡는 교사가, 그리고 5년 미만보다는 20년 이상의 교사가 협력 실행 정도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결론적으로, 많은 특수교사와 학부모들은 학교-가족간 협력의 필요성은 공감하나 그 실행은 부족한 과도기 상태에 와있다. 교사와 학부모가 진정한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고 협력을 실현시켜 나가기 위하여, 교사 집단의 '존중/동등성'에 대한 필요가 반영되는 학교 체제 및 풍토 조성과 이를 통한 교사 집단의 협력 필요성-실행간 격차 감소, 학부모 집단의 '기술/문제해결' 역량을 강화하는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와 이를 통한 학부모 집단의 협력 필요성-실행간 일치도 향상이 요청된다. 또한, 학부모 집단이 변인(학교 유형, 소속 학년, 장애 정도)에 따른 고유한 요구와 필요를 파악해 갈 수 있도록 하는 협력의 기회 제공, 협력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유ㆍ초등 교사와, 협력에 더 많이 참여해야 할 정신지체학교, 중등도 학생의 교사, 그리고 5년 미만의 젊은 교사들을 위한 교사-학부모 협력 지원 체계 마련도 시급하다. 끝으로, 협력의 주체자로서 협력 필요성-실행간 조화를 꾀할 수 있는 교사와 학부모의 '자기효능감/성실'의 증진 및 '존중/동등성'과 '기술/문제해결' 능력과의 균형 있는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협력에 관한 개관 = 8 1. 정의 및 특성 = 8 2. 발달 배경 = 10 가. 생태학적 이론과 사회체계 이론 = 10 나. 패러다임의 전환 = 11 B. 학교-가족 간 협력 = 15 1. 학교-가족 간 협력의 필요성 = 15 2. 학교-가족 간 협력의 이점 = 18 3. 교사-부모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22 4. 교사-부모 협력을 위한 지침 = 26 C. 교사-부모 인식에 관한 선행연구 = 32 Ⅲ. 연구 방법 = 39 A. 연구 대상 = 39 B. 연구 도구 = 40 C. 자료수집 절차 = 44 D. 자료처리 방법 = 45 Ⅳ. 연구결과 = 46 A. 협력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 46 B. 협력 실행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 51 C. 협력 필요성과 실행간 차이에 대한 분석 = 56 Ⅴ. 논의 및 제언 = 60 A. 논의 = 60 B. 제한점 = 69 C. 제언 = 69 참고문헌 = 71 부록 = 76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23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교-가족간 협력에 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