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일지-
dc.creator박일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4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2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3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252-
dc.description.abstractWith the growing trend toward inclusion, attention has turn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One of the important reasons given for the trend toward inclusive education is the social benefit for both groups of students. It has been argued that the experience of an inclusive education, especially in adolescence, promotes non-disabled students' positive social perception and their building of social relationship with their peers with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composed of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with eight, 40-minute dancing sessions requiring being implemented in an inclusive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the inclusive dance program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social cogn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91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ho attend a middle school in Seoul and 18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tending at a special school. The 91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dance activitie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 special school (n=30), the first control group of students stayed at their middle school with absolutely no contact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n=31), and the second control group of those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ies at the special school without direct contact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n=3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using the pretest scores as covari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ing the positive change in former's social cognition after the inclusive dance activity. 2. The changes in Factor 1(positive self-image) and Factor 5(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the others'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the mere physical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may not yield more social interaction, and that one of the most effective program in inclusive education is a inclusive dance program that increases social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building between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ose without disabilities. More work should be done to develop such programs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inclusive education. ;통합교육의 관심이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사회적 관계 증진으로 옮겨가면서 장애학생과 통합활동을 한 경험이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인식과 발달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의 연구들이 계속되어 왔다. 특히 학령기 중 청소년기의 통합경험은 장애학생이 졸업 후 지역사회에서 통합하여 생활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사회적 지원망을 형성하도록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와 사회성 인식을 제공한다.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지역사회 안에서 통합ㆍ교류활동을 실시하는 것은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여 실질적인 통합교육의 효과를 높이는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과의 통합경험이 없는 비장애학생이 인근의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과 비언어적인 의사소통만으로도 가능한 통합 무용활동을 실행한 경험이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노원구에 위치한 B중학교 91명의 학생과 S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18명의 중학부 학생이다. 집단 구성은 특수학교에서 장애학생과 통합 무용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30명과 일반학교에서 동아리 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Ⅰ 31명, 특수학교에서 근로 자원봉사만 실시한 통제집단Ⅱ 30명이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로 이루어졌다. 본 실험처치는 일반 중학교 동아리활동 시간과 특수학교의 수업시간이 일치하는 격주 2시간으로 하여 1회기 40분씩 2회 연속으로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전과 후에 실험, 통제Ⅰ, Ⅱ집단에게 사회적 인식척도를 평정하게 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학생의 전반적인 사회적 인식에 있어서 장애학생과의 무용 통합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일반학교에서 동아리 활동을 하며 무용 통합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Ⅰ과 특수학교에서 근로 자원봉사활동에만 참여한 통제집단Ⅱ보다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장애학생의 각 요인별 사회적 인식에 있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Ⅰ, 통제집단Ⅱ 간에 요인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요인 1(긍정적인 자아개념)과 요인 5(인간의 차이점에 대한 수용)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요인 2(대인관계에서의 원칙 수정), 요인 3(특수학교 학생으로 인한 어려움 인식), 요인 4(특수학교 학생과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려는 노력)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비장애학생들이 장애학생과 통합 무용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비언어적인 방법을 포함한 상호작용을 경험함에 따라 사회적 인식을 증진시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준 반면, 특수학교에 방문하여 근로 자원봉사만을 실시한 집단은 장애학생이 생활하는 공간에 함께 있었음에도 사회적 인식에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을 통합함에 있어 물리적인 통합만이 아니라 실제적인 상호작용의 기회를 갖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요인별 사회적 인식에 있어서 요인 1(긍정적인 자아개념)과 요인 5(인간의 차이점에 대한 수용)에서의 사전ㆍ사후검사 간 유의한 차이는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인 인성교육과 도덕교육을 성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부터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인식 향상과 인성교육 차원에서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간 협력 하에 지역사회에서의 통합의 기회를 늘리는 통합 프로그램 특히, 특수학교의 교육과정과 연관되어 있고 특수학교 교사가 사용하기 용이하며,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무용활동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며, 또한 통합경험이 부족한 특수학교 학생, 특수학급이 없는 일반학교 학생의 통합 프로그램의 시도와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II. 이론적 배경 = 6 A. 통합교육 = 6 1. 통합 프로그램의 효과 = 6 2. 특수학교에서의 통합·교류활동의 필요성 = 8 B. 사회적 관계 = 11 1.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관계 형성 = 11 2.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상호작용 효과 = 12 3. 장애학생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인식 변화 = 15 C. 무용활동 = 17 1. 무용요법의 치료적 원리 = 17 2. 무용치료의 방법론 = 19 D. 정신지체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통합활동에 대한 선행연구 = 23 1. 정신지체학생의 무용활동에 대한 선행연구 = 23 2. 정신지체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통합활동에 대한 선행연구 = 24 III. 연구 방법 = 27 A. 연구 대상 = 27 B. 실험 도구 = 33 C. 실험 절차 = 39 D. 자료처리 방법 = 41 IV. 연구 결과 = 42 V. 논의 및 제언 = 55 A. 논의 = 55 1.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인식 차이에 대한 논의 = 55 2.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인식의 각 요인별 차이에 대한 논의 = 57 B. 제한점 = 60 C. 제언 = 61 참고문헌 = 63 부록 = 70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81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특수학교 중학부 학생과의 통합 무용활동 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