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계현-
dc.creator김계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6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1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2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116-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는 여러 가지 지원고용 제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의 고용문제가 매우 심각함을 보여주고 있다. 지원고용은 양적으로 급속히 성장하였으나, 장애인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나 성과의 질이 부적절하였다. 또한 지원고용 환경에서 직무지도원의 존재와 활동은 한시적ㆍ제한적인데도 불구하고 장애인 근로자의 작업 수행과 적응에 대한 지원을 직무지도원에게 의존하도록 만들어 직무지도원이 작업장에서 사라지고 난 후 장애인 근로자의 고용유지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 직무지도원에 대한 이러한 문제점은 직업적 지원의 잠재적인 자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동료근로자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러한 "자연적 지원"의 사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동료근로자가 정신지체 근로자에게 제공한 자연적 지원의 유형과 빈도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자연적 지원 실태를 조사하고 나아가 자연적 지원을 개발하고 촉진시키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근거로 작성된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정신지체 근로자를 지원고용하고 있는 수도권 지역(서울, 인천, 경기도)의 사업체 중에서 함께 근무하고 있는 동료근로자 2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원이 직접 업체를 방문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결과분석은 영역별, 문항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해 연구문제에 따라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유의미한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Scheffe 사후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료근로자가 정신지체 근로자에게 제공한 자연적 지원의 유형과 전체 빈도 동료근로자가 제공한 자연적 지원은 요인분석 결과 세 가지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개인적 지원, 직업적 지원, 사회적 지원으로 구분하였다. 동료근로자가 제공한 각각의 지원에 대한 빈도는 직업적 지원, 사회적 지원, 개인적 지원의 순으로 평균점수가 높았다. 동료근로자와 정신지체 근로자가 공식적으로 접촉을 할 수 있는 직업에 관련된 지원이 가장 높았으며, 사회적 기술에 관한 지원이 그 다음으로 높았고, 개인의 일상생활기술을 지원하는 영역이 가장 낮았다. 작업 평가에 대한 지원이 평균 3.00으로 24개의 문항 중 가장 점수가 높았으며, 금전관리에 대한 지원이 평균 1.64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2. 동료근로자의 변인에 따른 지원 빈도 차이 동료근로자의 재직기간, 업종, 직무부서와 직무유형에 따라 지원 빈도는 영역별, 문항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동료근로자의 재직기간에 따른 영역별 지원 빈도는 직업적 지원과 사회적 지원 영역 모두에서 동료근로자의 재직기간이 길수록 정신지체 근로자에게 더 많은 지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근로자의 직무부서와 직무유형에 따른 지원 빈도는 동료근로자의 직무부서가 정신지체 근로자의 직무부서와 같고 동료근로자의 직무유형이 정신지체 근로자와 같을수록 더 많은 직업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었다. 동료근로자의 업종에 따른 지원 빈도는 제조업체의 동료근로자가 외식업체보다 개인적, 직업적, 사회적 지원 모두에서 더 많은 지원을 제공하고 있었다. 3. 정신지체 근로자의 변인에 따른 지원 빈도 차이 정신지체 근로자의 장애정도와 재직기간에 따른 지원 빈도는 문항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영역별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문항별로 정신지체 근로자의 장애정도가 경도일수록, 재직기간이 길수록 동료근로자에게 지원을 더 많이 제공받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용현장에서 자연적 지원을 제공할 때 업종, 동료근로자의 재직기간, 직무유형, 직무부서와 같은 변인을 고려하여야 하며, 개인적, 직업적, 사회적인 지원의 유형에 따라 적절한 전략이 요구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동료근로자의 자연적 지원은 직무지도원 등 지원고용 전문가의 자문과 참여를 통해 더욱 촉진될 수 있으므로 앞으로 지원고용 전문가의 역할변화를 모색하여야 하며, 자연적 지원을 개발하고 촉진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한 연구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실시되고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In spite of being exist of various supported employment system in Korea, the issue of an employment situation of disabled people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Even though the supported employment system has been grown in quantity, it was not be able to meet all the needs of disabled peoples demand and the quality of the outcome from the system was inappropriate. Besides, withou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assistance of job coach in an supported employment environment is temporary and limited, but he or she is expected to support people with disabilities regarding their work practice as well as adaptation in work place, makes even more difficult to keep them in their work place after the job coach left. Thes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job coach sought its the solution to co-workers who can be used as potential resources of occupational support, and thereafter the use of natural support increases rapid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foundation of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n atural support by means of analyzing the types and frequency of natural supports which are provided by co-workers to those who are workers with mental retardation. his study used the result of a survey that created with the base of bibliographical study as a study tool in order to practice factor analysis. The survey was on 240 co-workers in firms that across in Seoul and capital zone (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and have supported employee with mental retardation. Interviewers had surveyed on each firm door-to-door, and had analyzed each question by category. T-test and ANOVA we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study-questions using mean and deviation of each category and Scheffe test was practiced in order to analyze any relations. The results of study are following; 1. The types and frequency of natural support provided by co-workers to Workers with Mental Retardation. It was founded that there were three factors of natural support of co-workers; personal care support, job/task support, and social support. The rank of frequency of each support was followed; job/task support, social support, and personal care support respectively. It was explained as the kind of job support in a work environment where worker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co-workers have official contact was the highest, and the kind of support related to social skill was found as the second highest and the area of support which has related with individuals daily living skill was the lowest. The support in terms of job task feedback was scored highest among 24 questions as the mean of 3.00 and the support related to monetary management was founded as lowest as the mean of 1.64. 2. The Frequency Differences of Support in Accordance with the variance of Co-workers The survey showe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category and sub-category in support frequency of co-worker according to the work term of co-worker, the types of industry, work department, the types of job task. The support frequency of co-worker were found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ngth of work-term in job/task support and social support; The longer work term, the more supports. In term of the support frequency related to the co-worker's work department and the types of job task, the more job/task supports were provided to workers with mental retardation when they were in the same department with co-workers and the types of job task are same. Interestingly enough, the people who work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provide more supports in personal care support, job/task support, and social support than food industry. 3. The Frequency Differences of Support in Accordance with the variance of Workers with Mental Retardation As far as the support frequency concerns according to the level of mental retardation and the work-term of worker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ignificant difference exists in sub-category, but not in category. The less the level of mental retardation and the longer work term of worker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more supports.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s that the variables including types of industry, work term of co-worker, types of work task, and work department have to be considered in workplace, and moreover, proper strategies have to be exercised according to the three types of supports. As the natural support from co-workers can be enhanced even more by the help and consult of a supported employment specialist as a job coach, the seeking of role adjustment of such specialists is expected. In addition, the strategies regarding natural support development and promotion have to be exercised and expanded based on this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자연적 지원의 배경 = 6 1. 보호작업장 = 6 2. 지원고용 = 7 B. 자연적 지원의 개념 = 14 1. 자연적 지원의 정의 = 14 2. 자연적 지원의 개념적 모델 = 18 3. 자연적 지원의 유형 = 22 4. 자연적 지원을 제공할 때 고려할 사항 = 23 C. 동료근로자의 자연적 지원 = 26 1. 동료근로자의 개인적 지원 = 28 2. 동료근로자의 직업적 지원 = 29 3. 동료근로자의 사회적 지원 = 33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9 A. 연구 참여자 = 39 B. 연구도구 = 42 C. 연구절차 = 45 D. 자료처리 및 분석 = 47 Ⅳ. 연구결과 = 49 A. 동료근로자가 제공한 자연적 지원의 유형과 전체 빈도 분석 = 49 B. 동료근로자의 변인에 따른 자연적 지원 빈도 차이 분석 = 53 C. 정신지체 근로자의 변인에 따른 자연적 지원 빈도 차이 분석 = 63 Ⅴ. 논의 및 제언 = 67 A. 논의 = 67 B. 연구의 제한점 = 77 C. 제언 = 79 참고문헌 = 81 부록 = 98 Abstract =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22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정신지체 근로자에 대한 동료근로자의 자연적 지원의 유형과 빈도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11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