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3 Download: 0

喪禮服에 관한 硏究

Title
喪禮服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the mourning ritual dress system
Authors
金榮子.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Keywords
상례복mourning ritual dress상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本 論文은 冠婚喪祭의 禮服 가운데서 喪禮服에 대한 탐구를 試圖하였다. 沙溪의 「喪禮備要」 및 「家禮輯覽」을 台本으로 하고 「儀禮」「禮記」와 같은 禮經과 「朱子家禮」그리고 「四禮便覽」「家禮增解」(韓書) 및 「讀禮通考」(中國書)등 기타의 禮書를 참조하여 기초적인 고찰을 도모했다. 喪服은 服者와 亡者 사이의 親疎에 따라 斬衰, 齊衰, 大功, 小功, 시마의 五服으로 구분되며 이는 傳統社會에 있어서 家族制度의 기본이었던 宗法制度에 바탕하고 있는 까닭에 本 論文에게는 五服과 宗法制度에 관하여서도 고찰한 바 있다. 喪服材料도 親疎에 따라 五服이 있듯이, 그 制作上에 있어서 衰衣·裳·冠의 材料가 되는 布는 生熟·粗細의 차이가 있다. 喪服의 구성은 男子의 경우 衰衣·裳·冠·저질·絞帶·杖 그리고 구가 중요한 부분을 이루며, 婦人喪服은 原則的으로 男子에 準하며 總·전계·좌·衰裳(大袖長裙) 그리고 盖頭가 있다. 喪服의 특징이라 할 점은 吉凶과 輕重을 陰陽의 理法에 따라 구분한다. 衰裳에 있어 斬衰는 邊을 잘린 채로 不緝하지만, 齊衰以下는 緝邊한다든지, 上衣는 外로 展入하고 下裳은 內로 展入한다든지, 裳이 前三幅, 後四幅으로 陰陽을 나타낸다든지, 冠의 벽적을 重喪은 右向으로 하고 輕喪은 左向으로 하여 吉凶을 구별하며, 武纓이 斬衰는 麻繩인데 齊衰以下는 布라든지, 수질에 있어서 斬衰는 右向하고 麻本을 下에 두며 麻纓인데 反해, 齊衰는 左向하고 麻本을 上에 두며 布纓으로 한다든지 ; 요질의 경우 男子는 散垂했다가 成服日에야 꼬는데 女子는 처음부터 묶어 둔다든지 ; 絞帶를 麻帶와 布帶로 區分한다든지, 喪杖에 있어 斬衰는 저장(竹)으로 둥글게 하는데, 齊衰는 削杖(桐)으로 밑을 네모지게 하여 乾坤을 상징한다든지, 그리고 婦人服에서도 斬衰에는 전계, 齊衰에는 진계를 쓰며 ; 좌할 때 斬衰에는 麻를, 齊衰에는 布를 쓴다든지 하는 것은 모두 喪服의 구성이 陰陽의 原理를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매우 특이한 바라 하겠다. 또한 帶下尺과 임은 男子服에만 있는 것으로 衣에 부착시키며 裳의 上際와 兩旁을 가려주는 구실을 한다. 그리고 衰衣와 裳은 男子服에 있어서는 별개의 것으로 떨어져 있지만, 婦人服은 衰(또는 衰裳)라 하여 大袖와 長裙이 上下로 붙어 있는 점이 對照的이라 하겠다. 여기서 유의할 것은 衰衣에는 이른바 三物 즉 衰·適(벽령)·負版이 부착되는 일이다. 衰는 쇠최의 뜻으로 心臟부분인 衣의 左衿에 붙여서 슬픔이 몸전체에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衰라는 글자는 廣義로는 喪服 전부를 가리키는데 이는 곧 衰痛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본다. 本 論文에서는 실제로 喪服을 착용함에 있어서 對象에 따라 喪期를 어떻게 달리하고 있는지를 本宗·夫黨·外黨·妻黨 및 이른바 三父八母 그리고 未成年者에 대한 삼상강복과 出嫁女의 本宗降服 및 出系後嗣者의 本宗降服등을 일일이 圖示하여 분석하고 그 意義를 吟味해 보았다. 本 硏究를 통해 服飾文化와 傳統文化와의 깊은 연관성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러한 兩面을 상호 照明하여 立體的으로 硏究함은 매우 바람직하다 하겠다.;1.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elucidate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raditional mourning dresses, considered so important but now almost forgotten. The source books mainly used for this study are Kim Jang Saeng's Ka Lye Jeup Ram(家禮輯覽) and Sang Lye Bi Yo(喪禮備要) of the early 17th century and other Confucian classics and later books have been consulted. 2. The mourning-dress system, called 'Five-Dress-System'(五服), varies with the degree of relative intimacy : chamchei(斬衰), jaechei(齊衰), tai-kong(太功), so-kong(小功) and sima(시마). This is based upon the chong-pop system(宗法制度) of traditional extended family. Five dresses are distinct in source and design, and different periods of wearing. 3. Men's mourning dresses and equipments are composed of chei-i(衰衣, the upper garment of hemp-cloth), sang(裳, the mourning skirt), kwan(冠, the mourning hat), su-jil(수질, hemp made head ring), yo-jil(요질, waist hemp ring), Jang(杖, bamboo stick and paulownia stick) and ku(구, sedge shoes and straw shoes). 4. Women's mourning dresses, as a general rule, following those of men, contain chae-sang(衰裳 or 大袖長裙, the upper garment and skirt linked in one), kai-du(蓋頭, the head-covering cloth), chong(총, hemp-cloth ribbon) and kae(개계, bamboo hairpin and hazel haripin). 5. The hemp-cloth boiled or unboiled, woven close or far, represents the degree of personal intimacy between dead and alive. 6. The mourning dresses are made on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陰陽原理), the characteristics of which are fortune and misfortune, heavy and light, basting and not basting, in and out, front and behind, left and right, up and down, and hemp and cloth. 7. The periods of the 'Five Dresses' are ① 3 years(27 months) for chamchei ② 3 years, 1 year(with or without a stick), 5 months and 3 months for jaechei, ③ 9 months for tai-kong, ④ 5 months for so-kong and ⑤ 3 months for sima. 8. The Five Dress system is related to the 3 Principles of Heaven, Earth and Man(天地人三才), which means that natural laws and human relations were taken into account in establishing the system. We are to know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logical justification and practical performance when we observe the mourning dresses for one's own family, for husband's family, for wife's family, for mother's family, for the young who died before 19 years old, for the original family of married women and for those of men who were to succeed other leanage. 9. Mourning ritual dresses are worth studying to illu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tional culture and clothing history as well as the dress system itself.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