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7 Download: 0

초등교사 미술연수 실태 및 요구 분석

Title
초등교사 미술연수 실태 및 요구 분석
Authors
김화영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미술교육 발전의 토대가 바로 교사교육이라는 전제하에 교원연수 중 현재 시행되고 있는 미술과 연수기관의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미술과 연수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요구가 무엇인지를 조사하여 미술과 연수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연수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및 여러 연구물들을 토대로 하여 미술교사의 자질 향상 및 연구 기능을 확대하기 위한 미술과 교원연수의 실태에 대하여 알아본다. 둘째, 미술교육 연수제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각 시·도에서 실시되고 있는 미술과 교원연수의 프로그램을 분석한다. 셋째, 현직 초등교사들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미술과 연수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 초등교사 미술연수의 나아갈 바를 모색한다. 설문지의 구성은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미술과 연수의 만족도를 알아보는 문항과 연수경험의 유무에 상관없이 미술과 연수의 개선 방안에 대해 응답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우선 미술과 연수를 받은 경험이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미술과 연수제도에 대한 교사들의 만족도는 보통이나 약간 만족하는 정도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의 문제점은 연수의 교육내용이나 물리적 여건 및 환경, 연수의 기회 등이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과 연수의 경험 유무에 상관없이 미술과 연수의 개선 방안에 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로는 연수방법이 다양화되어야 하고 연수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미술교과 연수 후의 처우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미술과 연수가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발전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형식적인 연수, 연수 경비(비용)의 부담, 업무과다 및 시간 부족이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미술과 연수의 운영방식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학교 또는 지역단위의 자율적 협동 연수로 나타났으며 받고 싶은 미술과 연수의 분야로는 연수경험의 유무와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그리기, 종이작업, 작품감상, 염색공예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사들 자신이 미술과 연수가 필요하며 현장수업 적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지만 업무과다 및 시간부족과 형식적 연수 교육, 연수기회의 부족, 연수 프로그램의 다양화 부족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미술과 연수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초등교사들의 요구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미술과 연수의 개선방안으로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연수를 주관하는 기관은 일반연수의 결과가 실질적으로 현장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교사들의 연수 요구내용을 사전에 충분히 수렴하여 연수의 교육내용을 결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들의 연수 요구 분석을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둘째, 미술교사 연수는 미술과의 특성상 교사 자신의 창의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이론과 실기를 할 수 있는 충분한 연수 기간이 요구된다. 또한 교사들이 업무과다 및 시간부족으로 인하여 연수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외부적인 업무의 양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야한다. 셋째, 미술과 연수의 내용영역을 보다 다양화하고, 특히 현장에서 활용되어질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력 있는 연수강사를 섭외 하여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자기 주도적 선택 연수가 되어야 한다. 다양한 연수내용과 강사진이 있더라도 교사 자신이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 다섯째, 기관간의 연계 및 활용이 필요하다. 미술과 연수가 시행되고 있는 시·도교육청이나 대학부설 연수원이 아니라도 미술관이나 각 지역의 사회교육기관과 연계하여 보다 활성화되고 전문화된 미술 연수가 이루어져 교사들에게 연수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이러한 현장 교사들의 요구와 분석들을 토대로 각 교육현장과 연수기관의 행정상의 변화에 반영되어 보다 많은 교사들이 자신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적극 활용하여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for a reform measure of fine arts training after analyzing the programs of the fine art training institute and investigating w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mands are among the programs of teachers' present post training under the premise that the base of elementary school fine art education is the very teachers' education. For the achievement of this purpose the conten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eachers' training for the purpose of inquiring what we should head for on the basis of various books and research materials the actual condition of teachers' fine art training has been researched so as to make better fine art teachers' qualities and widen research technique. Second, being put in practice in each city and province the programs of fine art teachers' training institute have been analyzed in order to survey fine art education training systems. Third, through questionnair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cognition and requirements of fine art training are being looked into and being tried to find the way to go forward. The formation of the questionnaires is composed of items to be able to know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eachers experienced in the fine art training and to answer the way how to reform regardless of training experience. This study resulted in mediocrity or some satisfaction in their contentment when the research was first conducted for fine art teachers experienced in training. The problems to be reformed were to lack in the training educational content, material situation and circumstance, and training opportunity. Regardless of the experience of fine art training, as a result of research for the opinion of the way how to reform the training most of them desired the programs to be various and the training opportunity to widen much more, referring to the treatment after receiving the training in concrete. About the reason for training to go forward the undesiring direction, unsubstantial training, the defrayment of expense, excess of service duty, and lack of time were pointed out as the greatest reasons. Schools or autonomic cooperative training of district units appea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way of the management of fine art training and the fields to be desired to receive fine art training were drawing, paper work, appreciation of works, and dyeing industrial arts etc showing various fields in which they were interested. Even though teachers themselves recognized the fine art training to be necessary and so much helpful in applying it to practical teachings, the training has not been activated because of excess of work, lack of time, unsubstantial training instruction, lack of training opportunity, and lack of the variety of training program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mands surveyed above the ideas of fine art training reform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superintended office must decide the contents of training instruction so that the result of the training in general may be helpful to practical teaching after converging the teachers' opinions on the training fully. To do so, the analysis of teachers' demands must be conducted periodically. Second, the fine art teachers' training out of consideration for fine arts needs enough training period of time to learn theory and put it into practice to show their originality, with their own talent being refined. Also, taking into account teachers' losing the opportunity to take part in the training due to the excess of their work and the lack of time, the way to diminish the amount of extra curricula work should be examined. Third, the contents of the fine art training must be diversified, and especially programs to be able to be used in practical teaching should be developed, and the able instructors should be invited so that the programs may be helpful to improve their specialty. Fourth, there should be a self-initiative chosen training. Even if it is endowed with various contents of training and a line-up of instructors, the atmosphere that teachers themselves can choose and participate in must be prepared. Fifth, the connection between other organizations and activity are necessary. Not even with city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or training institutes attached to universities in which fine art training is put in practice, connecting itself with fine art museums or social education institutes of each district the training must be activated and specialized much more to give efficient training to the participants, and the training opportunity for teachers should be widen. On the basis of present post teachers' demands and analysis, the result is desired to reflect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training institutes, which will be expected to give the training opportunity to more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ir specialty and make the most of it to be helpful to the advance of fine arts of our count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