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6 Download: 0

대중매체를 활용한 영어 문법 교육이 중학교 학습자의 문법 학습 효과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Title
대중매체를 활용한 영어 문법 교육이 중학교 학습자의 문법 학습 효과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Authors
박혜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영어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으로, 의사소통 능력이라 함은 언어의 유창성뿐만 아니라 정확성까지 포함한다. 제 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의사소통 능력뿐만 아니라 유창성과 정확성의 균형 있는 발달을 추구하여 문법 교육의 중요성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설명과 암기위주의 단순하고 수동적인 문법 교육은 문법 지식의 습득이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도움을 준다는 생각보다 오히려 문법 학습이 지루하며 재미없는 분야라는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게 되어 학습자들이 문법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수업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제 7차 교육과정은 유창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기를 수 있도록 학습 경험과 활동을 극대화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교실에 도입하는 과제와 활동은 실제 의사소통과 유사하거나 실제 의사소통 상황이 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무엇보다도 수업을 효과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창의성과 기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교사가 수업에서 시청각 자료 및 멀티미디어를 적절하게 활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또한 학습자가 어렵고 지루하다고 느끼기 쉬운 영어 문법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학습자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교사는 다양한 수업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 스스로 과업을 수행하면서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문법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자료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습자들이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대중매체를 활용한 문법 수업 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교실 현장에 적용하여, 대중매체를 활용한 문법 학습이 학습자의 영어 문법 능력과 영어 학습의 정의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대중매체를 활용한 영어 문법 수업의 현장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학습자 140명을 대상으로 총 12차시의 문법 수업을 실시하였는데, 실험집단 70명에게는 대중매체를 활용한 문법 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 70명에게는 전통적인 방법의 교과서 중심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모두 12주 후에 문법 능력이 향상되었으나, 실험집단의 향상도는 유의미한데 반해 통제집단의 향상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실험집단에게 적용하였던 대중매체를 활용한 영어 문법 학습이 학생들의 영어 학습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두 집단 모두 하위집단이 상위집단에 비해 문법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실험집단의 하위집단이 가장 큰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실험·통제집단의 영어 문법 및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 측면 변화를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대중매체를 활용한 문법 수업이 학습자들의 영어 전반 및 영어 문법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동기유발에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실험집단의 변화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통제집단의 상·하위 수준별 집단의 태도 조사 분석 결과, 실험 이후에 두 집단 모두 전반적으로 하위집단이 영어 문법 및 영어 학습의 정의적 측면이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후 심화설문조사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를 대상으로 한 심화 인터뷰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팝송과 광고에 비해 영화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영화가 영상과 음성을 통해 종합적으로 의사소통의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문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심화 인터뷰에서 실험집단 학생들은 대중매체를 활용한 영어 문법 학습을 통해 문법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갖게 되었으며 무엇보다도 문법에 대한 막연함을 줄일 수 있었으며 문맥을 통해 쉽게 문법에 접근할 수 있었다고 응답함으로써 대중매체 활용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편 통제집단 학생들은 영어 문법에 대한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으나 대부분 수업이 지루하여 흥미를 갖지 못하여 영어 전반에 대해 자신감을 잃게 되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실험집단에 대한 연구자의 관찰일지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수업진행 담당교사의 관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은 수업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문법 학습에 대한 동기가 강하게 유발되었음을 알 수 있으나 통제집단은 대체로 수업을 지루해하거나 흥미를 갖지 못하여 문법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이 되지 않았으며 문법 설명을 어려워하여 수업참여도가 낮았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중매체를 활용한 영어 문법 수업이 영어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이 지루해하고 어려워하는 문법 학습을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대중매체가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통합적 학습의 자료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도록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들을 종합적으로 개발한다면 영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The ultimate aim of English education is to develop communication competence which includes not only language fluency but also language accuracy. The 7th curriculum, as student-centered curriculum for the expansion of autonomy and creativity, focuses not only on the ability to communicate but on balanced growth in fluency and accuracy. However, mechanical and passive grammar instruction centered on explanation and memorization causes that learners are not interested in the class, even though they recognize an importance of the grammar learning. The 7th curriculum, therefor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aximazing the use of activities and experience that simulate authentic communication within the classroom which help develop simultaneously both fluency and accuracy. It also recommends that multimedia and visual tools be used appropriately for the educator needs the creativity and skill to effectively lead his/her class. Moreover, for it is imperative that the learner's interest and motivation is encouraged despite uninterest and boredness easily felt toward the study of grammar, various classroom activities should be utilized to encourage autonomic methods of learning English grammar. This study looks at the ways of developing grammar instruction methods which junior high students may take interest to and applies these methods to classroom. It also takes a look at how effective the instruction methods using massmedia tools are, and how to utilize them. For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here 70 out of 140 grade 9 students(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English grammar using massmedia tools in 12 classes and the rest(control group) were in a class which focused on textbook explanations for the same time period. The main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better grades in grammar than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meaning that the massmedia tools were in fact effective. Also, the degree of enhancement in grade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meaning that the massmidea tool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Particularly, lower-proficiency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better results than others. Secondly, it was found, through a questionnaire on the affective aspects toward the class methods on both groups, that even though there was no meaningful statistical rise in interest, confidence, or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grammar, the experimental group's answers reflected generally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lass. Thirdly, analysing further questionnaires and interviewing students in both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much preferred the class with various massmedia tools and said that they acquired renewed interest and confidence toward English grammar. Furthermore, researchers' and teachers' observational diary o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how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two classes, which shows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interest during class where was the control group found the grammar explanation difficult to follow and had apparently lost interest. As the above study results suggest, the use of massmedia in English grammar instruction is effective and productive in promoting learning of grammar and affective aspects for English learning. Further, if massmedia is used in whole language teaching by applying them to the teaching of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they can make major contributions to the ultimate aim of English instruction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 and cultivating advanced intellectual 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