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5 Download: 0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 행동 분석

Title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 행동 분석
Authors
김재덕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science inquiry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s. A convenient sample of 6 teachers was selected from 1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perception of science inquiry instruction, which included the inquiry process/administration and the methodology of inquiry instruction practice, was investigated through questionnaire and interview. Also, the classes in progress were taped for the analysis of actual practice and were compared with the teachers' perception.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1. Two teachers scored high both in their perception and in practice of inquiry instruction. One of them specialized in Elementary Education at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and had fourteen years of career in education. The other specialize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y of Education and had four years of career in education. Both of them effectively prepared for the instruction by studying teaching material and performing ante-experiments. 2. The other two teachers scored low in their practice of inquiry instruction, even though their perception scored high. One of them, who specialized in science education at a college and had twenty years of career in education, made a comment on the insufficient class-preparation time and the necessity for recruitment of full-time regular science teachers. The other, who specialized in science education at a University of Education and had two years of career in education, was too overconfident of his competence to make a thorough preparation for the inquiry instruction. 3. The rest scored high in their perception of the inquiry process/administration, but low in the perception of methodology of inquiry instruction and practice. One of them, who specialized in Elementary Education at University of Education and had ten years of career in education, preferred teacher-driven explanatory instruction, controlling inquiry-activities of her students' in the class. The other, who specialized in Physical education and had four years of career in education, had difficulties in the implementation of science instruction as he had never participate any training program for science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analysis, the insufficient class hours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major obstacles to inquiry instruction. Thus, securing enough class hours was the primary requirement for the successful inquiry instruction. In conclusion, in order for teachers to administer science inquiry instruction effectively, a number programs which can motivate teachers and improve teachers' confidence by providing more concrete training materials and guidelines.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ecruitment of regular science teachers at each elementary school.;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 행동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의 한 초등학교 교사 6명을 선정하여 교사의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을 탐구과정 및 탐구적 수업 운영, 탐구적 수업 수행 기법 두 영역으로 구성된 설문지와 면담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교사들의 실제 수업행동을 녹취하여 탐구 과정 및 탐구적 수업 운영, 탐구적 수업 수행 기법을 분석하여 교사들의 탐구수업에 대한 인식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두 명의 교사는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 행동이 탐구적이었다. 한 교사는 방송통신대학교에서 초등교육학을 전공하였고 14년의 교육 경력을 가졌으며, 수업에 대한 준비가 철저한 교사였다. 또 다른 교사는 교육대학교에서 실과를 전공한 교육경력 4년의 교사로 역시 교육자료 연구와 사전 실험으로 수업 준비를 충실히 하였다. 둘째, 다른 두 명의 교사는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은 탐구적이나, 실제 수업 행동은 비탐구적이었다. 한 교사는 2년제 교육대학교에서 과학을 전공하였고 계절제 대학에서 2년 동안 영어를 전공한 교육 경력 20년의 교사로 수업 준비 시간의 부족과 과학 전담 교사 배치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또 한 명의 교사는 교육대학교에서 과학을 전공한 교육경력 2년의 교사로 과학수업에 대한 자신감으로 수업 준비가 소홀한 편이었다. 셋째, 나머지 두 명의 교사는 탐구과정 및 탐구적 수업 운영에 대한 인식은 탐구적이나, 수업 수행 기법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 행동은 비탐구적이었다. 한 교사는 교육대학교에서 초등교육학을 전공하였고 교육 경력 10년의 교사로조용한 수업 분위기를 선호하여 학생들의 왕성한 탐구활동을 통제하며 교사위주의 설명식 수업을 하였다. 또 다른 교사는 사범대학에서 체육을 전공한 교육 경력 4년의 교사로 재직 기간 동안 과학 연수를 받은 적이 없었으며 과학수업을 어려워하였다. 또한, 설문지 조사 결과에 의하면 탐구 수업 저해 요인으로 수업시간 부족을 지적하고 교사의 수업시간 확보가 선결과제라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탐구 수업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으려면 교사들의 탐구 수업에 대한 적극적인 의욕이 있어야 할 것이다. 수업 준비에 있어 본인의 의욕이 부족한 경우에는 구체적이고 다양한 탐구 수업 지도 자료 제공 등의 여건을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예비교사교육과 교사 연수에서 탐구 수업을 직접 경험해 보거나 탐구 수업을 실행해 보도록 함으로써 교사들의 자신감과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실질적인 탐구 수업을 위해서는 고정된 과학 전담교사 배치와 같은 제도적인 측면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