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8 Download: 0

주의집중장애아동 교수에 대한 초등 일반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방해요인에 관한 인식 조사

Title
주의집중장애아동 교수에 대한 초등 일반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방해요인에 관한 인식 조사
Authors
이선영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교사의 효능감 정도에 따라 교사가 교육을 위해 노력하는 양상과 아동의 행동변화, 학업적 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 질 수 있으며, 교사가 현장에서 직면하는 여러 가지 교수방해요인 인식 정도에 따라 효과적인 교수 활동을 위한 지원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성공적인 교수를 위해 교사효능감과 교수방해요인은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사효능감과 교수방해요인에 대한 연구가 여러 영역에서 보고 되고 있으나 주의집중장애아동의 효과적인 교수를 위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 일반학급에 통합되어 있는 주의집중장애아동 교육과 관련하여 초등 일반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방해요인에 대한 인식 정도가 전반적으로 어떠한지 살펴보고, 교사의 배경변인(아동 교육경험 유무, 연수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인천지역에 있는 17개 초등학교 일반교사 4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교사효능감 측정을 위해 Enochs와 Riggs(1990)가 개발한 STEBI척도를 사용하였고, 교수방해요인 측정을 위해서는 Reid 외(1994)가 주의집중장애아동을 대상으로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분석은 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교수방해요인의 유의미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이원분산분석(ANOVA)을 하였고, 변인간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경우 사후비교를 위해 단순주효과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일반교사의 주의집중장애아동 교수에 대한 전반적인 교사효능감수준은 보통 이상(M=3.15)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영향력과 관련된 교사효능감 중 '더 좋은 지도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임'(M=3.83)과 '문제행동 감소는 교사의 덕분'(M=3.78)은 초등 일반교사가 비교적 높게 인식한 반면, 교수지식과 관련된 교사효능감 중 '효과적인 교수 단계를 알고 있음'(M=2.45)과 '아동 지도에 필요한 지식을 가지고 있음'(M=2.55)은 비교적 낮게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배경변인(아동 교육경험 유무, 연수경험 유무)에 따른 전체 교사효능감에서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 아동 교육경험과 연수경험이 모두 있는 교사 집단이 교유경험은 있으나 연수경험이 없는 교사와 연수경험은 있으나 교육경험이 없는 교사보다 교사효능감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 분석에서는 요인 3 '교수지식'에서는 아동 교육경험 유무와 연수경험 유무에 따라 주효과가 나타나, 아동 교육경험이 있거나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아무런 경험도 하지 못한 교사들보다 교사효능감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 4 '교수방법'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 교육경험과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교육경험은 있으나 연수경험이 없는 교사보다 교사효능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 일반교사의 주의집중장애아동 교수에 대한 전반적인 교수방해요인 인식은 높은 수준(M=4.01)을 나타났다. 평균 4.0점 이상으로 높게 인식한 교수방해요인은 환경적 요인의 '학급당 인원 수 과다'(M=4.38), '아동 문제행동의 심각성'(M=4.21), '전문가와의 대화 부족'(M=4.03)이고, 지원적인 요인에서는 '행정적ㆍ재정적 지원 부족'(M=4.02), '교사의 잡무수행'(M=4.00)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전체 교수방해요인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요인별 분석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는 성공적인 교수의 중요한 변인인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해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아동 교육경험 기회 확대와 양질의 교사교육 프로그램 참여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초등 일반교사가 주의집중장애 아동을 교수하는데 있어 방해요인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들에 대해 개선책 강구와 이를 통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Teacher's efficiency affects the effort of teacher and the behavior change and learning achivement of students. Instructional barriers also offer important information for effective instruction. Studies of teacher's efficiency and instructional barriers for successful instruction have been conducted i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fields, however, studies done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instruction are great ne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or general level of teacher's efficiency and instructional barriers, and to determine differences of how the levels of teacher's efficiency and instructional barriers according to teacher background variables(teaching experience, pre-and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412 general teachers at 17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Measuring tools used were a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TEBI) scale designed by Enochs and Riggs(1990) and a instructional barriers scale designed by Reid et al(1994). The data collected were analized by two-way ANOVA. and the simple main effec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interaction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follows: First, teacher's efficiency for Attention Deficit Disorder instruction showed generally above average(M=3.15). Second, teacher's efficiency exhibited statistically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Teachers with prior teaching experience and training experience showed more teacher's efficiency than those with prior teaching experience without training and those with training without prior teaching experience. The factor 3 'teaching knowledge' showed statistically main effect and the factor 4 'teaching method' showed statistically interaction effect, revealing that the group with prior teaching experience and/or training exhibited different responses compared with other groups. Third, teacher's perception of instructional barriers for Attention Deficit Disorder instruction showed generally above average(M=4.01). Fourth, teacher's perception of instructional barrier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and 2 factors relating to instructional barrier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rior teaching experience and good pre-and in-service training program should be offered to increase teacher's efficacy, an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mprovement for instructional barriers which are perceived seriously and offer practical suppor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