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9 Download: 0

발상법을 활용한 무용지도가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Title
발상법을 활용한 무용지도가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성희승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발상법을 활용한 무용 지도의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등에서 창의성 향상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상법을 활용한 무용 지도안을 유치원 표현활동 과정과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구성한 후, 남·여 구분 없이 5∼6세의 유아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 각 15명씩 나누어 실험집단에게는 본 발상법을 활용한 무용 지도를 8주 동안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게는 기존의 무용 수업 내용으로 실시하였다. 유아의 창의성 측정도구로는 70∼90% 신뢰도를 가지고 있는 Torrance의 창의성(도형)검사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의 차이를 독립 t-test를 이용하여 처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의 평균치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창의성 평균이 높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창의성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의 모든 영역에서 높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같이 발상법을 활용한 무용 지도안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교육 방법은 유아들의 동기유발과 표현의욕을 높이는데 긍정적일 것이다. 또한 이에 대한 지속적 연구와 현장에서의 활용은 무용수업을 다양화 하게 함으로서 유아 무용 교육의 창의성 발달에 일익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research the effect of the creativity improvement in the fluency, the originality, the abstraction of title, the accuracy, and the resistance about the hasty termination etc. as a consequence of composing the dance instruc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dance instruction was composed the coaching guidance plan in the dance class on the basis of the kindergarten's expression activity process and the precedent studies. Without distinguishing the boys and the girls, 5 to 6 aged young children were divided each 15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And then, the dance instruction were enforced for 8 weeks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existent general dance classes were enforced to the controlled group. The young child's creativity was measured and analyzed by Torrance's creativity (diagram) examination paper as a measurement tool, which was shown 70-90% reliability.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independence t-test in the aspect of difference of the pre and post-inspec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was appear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mean value of the creativity.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hown the higher improved creativity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the mean value. The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was appear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all low rank areas of the creativity.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hown the higher improvement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all rank areas of the fluency, the originality, the abstraction of title, the accuracy, and the resistance about the hasty termination. As the above results, it may be positive to elevate the motivation induction and the expression desire that the dance instruction i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spot of class. Also the results can be considered to be the basic data on the methodological view of the dance coaching education by diversifying the dance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