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9 Download: 0

과학교사를 위한 자기평가 도구의 개발과 적용

Title
과학교사를 위한 자기평가 도구의 개발과 적용
Authors
정세미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교사는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교과의 전문가일 뿐 아니라 교육활동에 있어서 특별한 노하우를 갖고 있는 전문가이며, 교사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수업이다. 그러나 교사들의 전문적 수업지도성 확보를 위한 동기유발의 역할을 담당해야할 교사평가가 그 역할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바람직한 과학 교사상이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면서, 개개인의 교사가 어느 정도 바람직한가를 판단할 수 있고, 어떤 영역이 부족한지를 알아볼 수 있는 과학교사를 위한 자기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인 교사 평가의 준거와 과학 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과 역할에 대한 선행 연구와 문헌을 고찰하고, 중등 과학 교사의 업무와 과학 수업의 특징, 실험과 수행 평가가 강화된 현실을 반영하여 과학교사 자기평가 도구의 평가 영역과 평가 요소를 결정하고 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 검사를 실시하여 문항을 수정·보완하고, 과학교육 석사 학위를 소지하고, 교직 경력이 8년 이상인 현직 중등 과학교사 10명으로부터 검사 도구의 내용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개발된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중등 과학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와 교사 집단별로 총점과 하위 영역별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교사를 위한 자기평가 도구는 과학 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인 여섯 가지 하위영역에서 과학교사로서 어느 정도의 바람직성을 나타내고 있는가를 스스로 진단해 볼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평가 도구는 교과 지식, 교수 전략, 교수 기술, 실험실 경영, 평가, 전문성의 6개 하위영역, 총 77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의 형식을 취했으며, "매우 그렇다(5점)/그렇다(4점)/보통이다(3점)/그렇지 않다(2점)/전혀 그렇지 않다(1점)"로 되어 있어 점수가 높을수록 전체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얻어 이는 과학교사로서 바람직함을 의미한다. 이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과학 교사는 자신이 어느 정도 바람직한 교사인지를 5단계에 따라 판단할 수 있고, 하위영역 중 어떤 영역에서 제일 우수한지, 어떤 영역이 제일 부족한지를 알아 볼 수 있다. 또한 어떤 분야에서 무엇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자기평가 도구의 내용 타당도는 80.8 %로서 평가 목표에 문항의 내용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계수는 하위 영역별로 0.54∼0.69의 범위에 있었고 전체 검사의 신뢰도는 0.95로 양호하다. 하위 영역과 전체 검사간의 상관계수는 0.54∼0.79로 나타났다. 전문성 영역이 0.79점으로 교사의 바람직성을 나타내는 전체점수와의 상관이 높게 나타나, 전문성이 교사의 바람직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서울과 경기지역의 중등 과학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개발한 평가 도구를 적용해 본 결과, 성별, 전공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경력별로는 경력이 많은 교사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전문성을 제외한 5개의 하위 영역에서도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p < .001). 학위별로는 교과 지식 영역에서만 석사 이상의 교사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p < .01), 전문성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the self appraisal test items for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s. It includes 6 subfield which are subject knowledge, teaching strategies, teaching skills, assessment, laboratory manage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77 items were developed for this test. Using this test, a science teacher can self-evaluate his/her own goodness as a science teacher based on a 5 point Likert scale. Furthermore, he/she can perceive fields that he/she shows the most highest and lowest score among the 6 subfield. He/she can have a chance to give special attention to develop the lowest fiel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self appraisal test items by analyzing many related thesis and books on criteria for teacher evaluation. and the qualities of effective secondary science teachers were reviewed. To apply this items, 220 subjects were sampl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oodness of the test items was evaluated by assessing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coefficient. Content validity of the test is 80.8 %, The range of reliabilities of subfield is .76 - .86. and reliability coefficient of total test is .95. The range of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ach subfield is .54 - .69 and that of between subfield and total is .54 - .79.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otal is .79, which is the highest.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areer. Teachers having more career had higher scores in the 5 subfield(p < .001) except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s having a master had higher scores in the subject knowledge(p < .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major and gend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