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현아-
dc.creator강현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5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58-
dc.description.abstract제 7차 영어과 교육 과정은 학습자들이 상황에 적절하게 언어를 사용하는 유창성과 함께 오류를 만들지 않으면서 사용하는 정확성을 모두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의사 소통 활동을 수행하면서 특정 언어 형식에 학습자의 관심을 집중시키는 의미 중심 형태교수법(focus on form)의 목표와 일치하는 것으로써 과제 중심 교수 요목(task based syllabus)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한다. 그러나 학습자들이 의사 소통 활동을 수행하면서 언어 형태를 저절로 학습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아무리 이해 가능한 입력이 많이 주어져도 학습자의 주목과 인식이 없다면 형태의 내재화가 이루어질 수 없다. 그러므로 제 2언어 습득을 위해서는 모국어 습득과는 달리 이해 가능한 입력 뿐 아니라 이해 가능한 출력의 기회가 요구된다. 출력을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들의 중간 언어와 목표어와의 차이에 주목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출력에 초점을 둔 의미 중심 형태교수법의 개념을 우리의 교실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학습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영어 관사는 문법이나 언어 능력보다는 의사 소통 능력과 관계되어 있으며, 구두 언어보다는 문자 언어로 대할 때 인식하기가 용이하다. 이에 따라 문맥 안에서 관사를 학습할 수 있도록 자료를 단락으로 제시하며 토론을 이용하여 학습자들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초기 단계에서부터 오랜 기간 학습시켜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시키면서 학습자들의 표현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는 과업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dictogloss를 통한 표현 연습이 우리나라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영어 관사 이해와 사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궁극적으로 우리 영어 교육 현장에서 영어 관사를 효과적으로 교수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천에 소재한 중학교 2학년 학생 12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10주 동안 통제집단에게는 언어 입력 강화 자료를 통한 의식 상승 활동만을 제시하고, 실험집단에게는 이와 더불어 dictogloss 활동을 제공하여 소그룹으로 협동하며 실제로 관사를 표현해보는 기회를 주었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ictogloss를 이용한 표현 연습은 입력에 초점을 둔 활동에 비해 초기 영어 학습자의 관사 이해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관사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는 의식 상승 활동과 표현 연습 제공의 효과의 차이가 없으므로 입력과 출력에 고르게 초점을 두 어 장기간 학습자들을 훈련시켜야 됨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dictogloss를 이용한 표현 연습은 학습자가 문장에서 관사를 정확하게 사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 후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하위 학습자들의 경우 두 집단 모두 향상이 있었으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상위 학습자들의 경우 실험 집단은 유의한 향상이 있었던 반면, 표현 연습의 기회가 없었던 통제집단은 사후 평가에 유의한 향상이 없었다. 그러므로 소그룹으로 협동하여 토론을 통한 표현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어느 정도 관사에 대한 기본 개념이 성립된 상위 수준의 학습자들에게는 관사 사용능력 신장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실험집단의 상·하위 학습자들은 dictogloss 활동을 통해 목표 구문인 관사에 주목하여 올바른 관사 사용을 위한 선택 시 여러 방식을 사용하여 자신들의 가설을 세워 검증하며 관사를 습득해 가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영어 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dictogloss를 이용한 표현 연습이 관사 이해와 실제적 사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수준과 목표 언어 형태의 언어적 특질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사전 능력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 상위 학습자들의 관사의 실제적 사용능력 향상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하위 학습자들에게는 표현 연습 제공 이전에 관사 이해에 도움이 되는 의미 중심 형태교수법의 여러 훈련이 필요하며, 상위 학습자들에게는 협력을 이용한 다양하고 충분한 표현 활동과 기회가 장기간 주어진다면 효과적인 관사 학습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관사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명사에 대한 교수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효과적인 관사 습득을 목적으로 dictogloss 활동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교사들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과업 자체에 대한 충분한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해야 하며, 과업 수행 후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셋째, 표현 연습의 제공은 입력과 이해 연습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다양하게 주어져야 한다. 협력 작업인 dictogloss 활동 결과물로는 파악할 수 없는 학습자 개개인의 습득 정도와 필요를 보여 줄 수 있고, 하위 학습자들의 참여를 끌어낼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결합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고려되지 않았지만 학습자의 다양성에 따라 dictogloss를 이용한 표현 연습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학습자의 수준 외에 인지 양식, 학습 스타일, 학습 전략 사용과 성격 등의 학습자 변인은 학습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것들을 고려한 활동이 되도록 과업을 다양하고 신중하게 고안해야 할 것이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dictogloss를 이용한 표현 연습이 관사 학습에 유용하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매 시간 활동 후 학습자들의 정신적 과정의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한 개별 인터뷰로 더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다른 형태에의 적용 효과에 대한 연구와 학습자 변인에 따른 다양한 표현 활동 개발이 요구된다;'Focus on form instruction, which draws learners' attention to a specific language form in a communicative context, is an effective way to teach foreign language in classroom. It corresponds with the goals of the Korean National 7th Curriculum that aims at both fluency and accuracy. In language learning processing, output as well as input should be considered, because the lack of opportunities to produce the learned grammatical items blocks acquisition. Among'focus on form' task and techniques, dictogloss, is an output-focused task requiring collaborative tasks and encouraging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own output. English article that it is difficult to acquire is related with communicative competence rather than linguistic competence. In addition, accurate article use does not really become important until the learner begins to write. Therefore, using dictogloss task can help students acquire English articles effectively.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dictogloss on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comprehension of English article and ability to use article in writing. A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for ten weeks. These groups we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levels respectively. The control group was given only consciousness-raising activities with input enhancement materials whereas the experimental group also took part in dictogloss task and produced their own outpu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conduc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both groups showed meaningful increase, but output group didn't achieve significantly better improvement in their grammatical judgement test, that is, comprehension posttest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t can be conducted that the balance between input and output in teaching and learning of English article is needed. Second, the output group using dictogloss showed the better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the upper level students in output group outperformed the ones in the control group. It can be seen that output focused practice is important on the use of English article. We can conclude that it is necessary to give students a lot of opportunities to use English. Thir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econstruction stage of dictogloss showed that students in output group noticed the target form, English article and formulated their own hypothesis and tried hypothesis testing through dictogloss. This means that the learning of English article using dictogloss had positive effect as a output focused task. Thus, some implications can be drawn for English article teaching and learning. We can find that for the positive effect of dictogloss on students' acquisition of English article, the students' level and features of the target form should be considered. Teachers should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task itself and give them adequate feedback after the activity. And with the balance between input and output, various activities are needed according to learners' variables. Additional research should include deeper interview with each student. The research on the effective use of dictogloss on other grammatical items is also left for the further investig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제 2언어 습득과 교수법 = 3 1. 형태 중심 교수법과 의미 중심 교수법 = 3 2. 의미 중심 형태교수법 = 5 3. 의미 중심 형태교수법의 활동 유형 = 9 B. 제 2언어 습득과 출력 = 12 1. 출력의 3가지 기능 = 13 2. 제 2언어 습득 과정에서의 출력의 역할 = 14 3. Dictogloss = 16 C. 선행연구 = 21 1. 영어의 관사지도에 관한 연구 = 21 2. 표현 연습을 기반으로 한 연구 = 25 Ⅲ. 연구방법 = 30 A. 연구질문 = 30 B. 실험 대상 = 31 C. 실험자료 = 32 1. 문법학습자료 = 32 2. 사전·사후 평가지 = 33 D. 실험 절차 = 35 1. 실험 이전 절차 = 35 2. 실험 수업의 절차 및 주요활동 = 37 3. 자료 분석 및 통계처리 = 41 E. 연구의 제한점 = 41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3 A. Dictogloss 중심의 표현 연습이 관사 이해에 미치는 영향 = 43 B. Dictogloss 중심의 표현 연습이 관사 사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 47 C. 학습자의 관사 습득에 대한 질적 분석 = 51 Ⅴ. 결론 및 제언 = 80 참고문헌 = 83 부록 = 91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82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Dictogloss를 이용한 표현 연습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관사 습득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