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난영-
dc.creator홍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2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32-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현대 사회는 영상 정보화 시대라 하여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첨단 영상 미디어가 우리 생활 깊숙이 자리하고 있으며 끊임없이 시각 정보를 쏟아내고 있다. 과거 문자로 국한되었던 정보의 형태가 시각화되면서 이를 올바르게 해독하고 사용하는 능력을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이에 Visual literacy교육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그 중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Visual literacy교육은 시각 예술을 다루는 영역인 미술교육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미술과 수업에서 영상제작수업 프로그램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특히 청소년기는 영상매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또한 무분별한 정보들 가운데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Visual literacy교육이 가장 필요한 시기이며 특히 청소년기의 한 가운데에 있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Visual literacy교육을 위한 영상제작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는 더욱 활발해 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행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영상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있어서, 시대적 요구에 부흥하지 못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영상 정보화 시대에서의 필요한 능력인 Visual literacy를 교육하기 위해 미술과에서의 영상제작수업 프로그램을 제시함으로써 시각적인 영상물에 둘러 싸여 있는 청소년에게 시각적 정보의 올바른 이해와 수용, 그리고 이를 적극적으로 제작·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연구내용으로는 영상 정보화 시대의 사회적 변화를 살펴보고, 가장 두드러지는 시각적 미디어의 발달로 인한 시각정보의 올바른 해독능력과 제작능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시각예술을 다루고 있는 미술교육이 영상 정보화 시대에서 가장 요구되는 교육으로, Visual literacy 또한 미술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 Visual literacy의 기존 연구자들의 내용을 고찰하여 그 개념과 연구범위 그리고 교육내용을 알아보고 각국의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본격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제 7차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와 Visual literacy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7개의 이종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관련내용을 토대로 현행 학교 미술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중학교 전 학년 과정의 Visual literacy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그 중에서 중학교 2학년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구체화하여 영상제작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제작을 위해서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영상미디어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고, 이를 참고로 하여 16차시의 영상제작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현장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우선 새로운 표현활동 영역에 대해 매우 흥미를 가졌으며, 영상미디어에 대한 수용태도에서 비판의식이 나타났다. 본 프로그램의 적용결과 미술과에서의 영상제작수업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볼 수 있겠다. 첫째, 중학교 학생들은 가장 호기심이 많고 정서적으로 예민한 시기이기 때문에 자극적이고 불건전한 영상정보의 남용은 예민한 감성기인 학생들에게는 정신적·육체적으로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프로그램은 영상에 대한 무조건적인 수용이 아닌 비판적 사고를 동반한 수용 학습을 통해 Visual literacy능력이 신장됨으로써 영상물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수용을 도와 줄 수 있다. 둘째, 본 프로그램은 현대시대의 문화적 코드(code)인 영상을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십대들이 일방적으로 TV 속 형상에 대해 무조건적으로 동경하던 기형적인 문화에서 좀 더 건전하고 정상적인 문화로의 발전을 꾀한다. 아울러 청소년들이 이러한 문화의 주체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미술과에서의 영상제작수업을 함으로써 표현 활동 영역의 확장과 더불어 소수의 미술 전문가를 위한 교육이 아닌 보통 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으로 모색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학교에서는 재미있는 미술 시간에 대한 기대가 생길 것이다. 앞으로 영상정보화시대에 문화적 경쟁력을 위해서는 이와 같은 미술과에서 Visual literacy교육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에 Visual literacy내용이 적극적으로 포함되어야 하고 이에 근거한 교과서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때이다. 현행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Visual literacy에 관련한 내용이 상대적으로 적고 또한 각 출판사별로 내용의 격차가 심하다. 그러므로 교과서에서도 이의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이 학교 현장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교육 과정뿐만 아니라 교육 외적인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학교의 교육환경이 점차 나아지고는 있으나 영상 관련 수업을 하기에는 시설면에서 미흡한 점이 있어 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경제적 투자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Due to the developments of technology, modern society has evolved from getting its information through text based sources to being most influenced by visual multimedia. As a result, decipher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this material can be difficult for adolescents students do not have the skill or knowledge necessary for deducing such media without educ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teach Middle school students the ability to decode this information. A visual literacy program offered as a grade 7 art course would allow students the opportunity to become educated in visual arts and more artistically aware of new techniques associated with the discipline. To develope a well-rounded visual literacy program, the study of published research from abroad and an understanding of conceptual theories on multimedia visual arts was necessary. By using the current 7 art books already in the classroom as a foundation, a study to test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is year,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to postul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lesson plans were set to : 1)observe the social changes made by visual multimedia, 2)focus on understanding and producing visual multimedia in the classroom, 3)instill the importance of visual literacy as an art in a visually informed society. It was discovered that within the lessons the students had become greatly interested in the new material. The pupils were able to criticise the visual media presented to them all. They had enjoyed the new techniques themselves artistically. In conclusion, the program was successful. The affects of the visual literacy course on the developing adolescents were positive. To educate students in critical social thought will transform the current social environment. A financial investment in the program is needed to update the faculty and the facilities within the school. However, the need for such a program is obvious. The results and enthusiasm achieved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proves the need for such a progra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3. 연구의 제한점 = 4 Ⅱ. 영상정보화 시대의 Visual literacy교육의 이해 = 5 1. 영상정보화시대의 배경과 특징 = 5 2. Visual literacy 교육의 이해 = 12 Ⅲ. 제 7차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련내용 분석 = 23 1. 제 7차 미술과 교육과정과 Visual literacy교육의 연관성 분석 = 23 2. Visual literacy의 구성요소에 따른 현행 교과서별 내용분석 = 25 Ⅳ. Visual literacy교육을 위한 미술에서의 영상제작수업 프로그램 개발 = 34 1. 학습자 기초 자료 조사 = 34 2. Visual literacy교육을 위한 미술교과에서의 영상제작 프로그램 = 38 3. 프로그램의 적용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 51 4.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분석 = 53 Ⅴ. 결론 = 78 참고문헌 = 82 부록 = 85 Abstract =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254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미술과에서 Visual Iiteracy교육을 위한 영상제작 프로그램 개발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