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정미-
dc.creator조정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2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4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1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429-
dc.description.abstract장애학생 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에 하나는 생산적인 능력을 지닌 하나의 독립된 개인으로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음식 만들기 기술은 중도 정신지체 학생의 독립적인 생활을 위한 중요한 교수 내용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교수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방법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어 왔다. 중도 정신지체인을 위한 교수 방법은 누적되는 실패로 인한 학습된 무기력함을 줄이면서도 목표로 한 교수내용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런 특성을 반영한 대표적인 교수방법 중의 한 가지가 고정시간지연절차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도 정신지체 학생을 대상으로 오반응의 발생이 적은 고정시간지연절차를 이용한 교수를 통하여 음식 만들기 기술을 습득하는지, 습득한 기술을 각 대상학생의 가정에서 일반화하는지, 중재가 제거된 이후에도 음식 만들기 기술을 유지하는지, 그리고 오반응의 유형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중등부에 재학중인 중도 정신지체 학생 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으며, 밥짓기와 라면 끓이기 기술을 가르쳤다. 기초선 기간에는 별다른 중재 없이 대상학생의 음식 만들기 기술을 측정하였고, 중재 기간 중 5회의 0초 지연 기간에는 언어적 촉진과 신체적 촉진을 사용하여 음식 만들기 기술을 가르쳤다. 그리고 이어지는 5초 지연 기간에는 대상학생들이 보다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5초를 기다리며, 대상학생의 반응에 따라 강화를 하거나 촉진을 제시하였다. 중재 이후 3회기 동안, 습득한 음식 만들기 기술을 각 대상학생의 가정에서 일반화하는지 알아보았으며,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는 지를 알아보고자 중재가 끝난 지 3주 후에 3회기 동안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학생 모두 고정시간지연절차를 이용한 교수방법을 통하여 두 가지 음식 만들기 기술을 높은 수행율을 보이며 습득하였다. 둘째, 대상학생들은 습득한 기술을 그 기술이 필요한 가정에서 일반화하였다. 셋째, 대상학생들은 중재가 끝난 3주 후에도 습득한 기술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넷째, 대상학생들이 보인 오반응의 유형은 연쇄과제를 가르쳤던 고정시간지연절차에 대한 연구들 중 일부의 주장과는 달리 행동 형태성(topography) 오반응이 가장 많이 일어났다. 결론적으로, 고정시간지연절차를 이용한 교수는 중도정신지체 학생들에게 독립적인 일상생활에 필요한 음식 만들기와 같은 연쇄적인 기술을 가르칠 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또한 각 대상학생의 가정에서 실시된 일반화 실험을 통하여, 기술 습득의 경우 재료나 사람에 의한 단순한 일반화가 아니라, 습득한 기술이 사용되어지는 장소에 의한 일반화가 매우 중요함을 나타내었다. ; Food preparation skills are important skills for daily independent living. However, for the person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have low intelligence and adaptive ability, they need additional help by family and/or other people for his/her daily li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tant time delay procedure on acquiring two food preparation skills and generalizing each skill at his/her home for students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students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who enrolled in a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at a special school. The objective skills were cooking steamed rice and instant fried noodles(ramen). In this study,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consisted of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During the baseline period, the performance level of subjects was measured without any intervention. On 0-sec delay trials, food preparation skills were taught using verbal and physical prompts. After that, on 5-sec delay trials, subjects were provided with the reinforcement and prompt according to his/her responses. Generalization period was conducted in at his/her home, where food preparation is mostly needed. After 3 weeks, when the withdrawal were implemented, maintenance period was conducted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constant time dela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subjects acquired food preparation skills through constant time delay procedure effectively. Second, the food preparation skills acquired in the school setting could be generalized at all participants' home. Third, all subjects maintained food preparation skills acquired for 3 weeks. Forth, in this study, topography error was the most frequent type of error. The results were different when compared to other constant time delay research. The data from this study clearly demonstrated that constant time delay procedure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the subjects to acquire two food preparation skills, generalize those skills at his/her home and maintained those skills for 3 week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incorrect responses showed that topography error was the most frequent type of erro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정신지체인의 음식 만들기 기술 = 7 1. 정신지체인의 독립적인 생활에서 음식 만들기 기술 습득의 중요성 = 7 2. 음식 만들기 교수 방법에 대한 선행연구 = 11 B. 고정시간지연절차 = 15 1. 고정시간지연절차의 개념 = 15 2. 고정시간지연절차의 실행 과정 = 17 C. 고정시간지연절차를 적용한 음식 만들기에 관한 선행 연구 = 19 Ⅲ. 연구방법 = 26 A. 연구대상 = 26 B. 실험기간 = 29 C. 실험장소 및 실험도구 = 29 D. 실험설계 및 실험절차 = 32 E. 자료수집 및 분석 = 41 F. 관찰자간 신뢰도 = 46 Ⅳ. 연구 결과 = 47 A. 고정시간지연절차를 이용한 교수가 음식 만들기 기술 습득에 미치는 효과 = 47 B. 고정시간지연절차를 이용한 교수가 가정에서의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 53 C. 고정시간지연절차를 이용한 교수가 음식 만들기 기술의 유지에 미치는 효과 = 54 D. 음식 만들기 기술 습득에서 나타난 오반응의 유형 = 56 Ⅴ. 논의 및 제언 = 59 A. 논의 = 60 1. 고정간지연절차를 이용한 교수가 음식 만들기 기술 습득에 미치는 효과 = 60 2. 고정 시간 지연 절차를 이용한 교수가 음식 만들기 기술의 가정에서의 일반화와 유지에 미치는 효과 = 65 3. 음식 만들기 기술습득 과정에서 나타난 오반응 유형 = 69 B. 제한점 = 71 C. 제언 = 72 참고문헌 = 73 부록 = 83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53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정시간지연절차를 이용한 교수가 중도정신지체 학생의 음식 만들기 기술 습득과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