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9 Download: 0

장애 이해 동화를 매개로 한 부모와 함께하는 숙제가 일반 아동과 부모의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장애 이해 동화를 매개로 한 부모와 함께하는 숙제가 일반 아동과 부모의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정진희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통합 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당위성이 입증되면서 성공적인 통합 교육을 위한 요인과 전략들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장애 아동과 직접적인 접촉을 하는 일반 아동의 태도 변화는 성공적인 통합 교육을 위한 중요한 요인이다. 그리고, 일반 아동의 장애 아동에 대한 태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일반 아동 부모의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 변화도 중요하다. 이에 일반 아동과 부모의 통합 교육에 대한 인식과 긍정적인 태도 변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 이해 동화를 매개로 한 부모와 함께하는 숙제가 장애 아동에 대한 일반 아동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통합 교육에 대한 일반 아동 부모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 K초등학교에 재학중인 6명의 장애 아동(2학년 4명, 3학년 2명) 통합 학급 급우인 일반 아동 164명과 부모 164명이었다. 일반 아동 82명과 부모 82명으로 구성된 실험집단에게는 장애 이해 동화를 매개로 한 부모와 함께하는 숙제가 제공되었고, 통제집단에게는 숙제가 제공되지 않았다. 실험 절차는 사전 검사, 실험 처치, 사후 검사로 이루어졌고, 실험 처치는 일주일에 두 번씩 숙제를 통한 통합 지원을 제공하였으며 총 10회기로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는 장애 아동에 대한 일반 아동의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Hazzard(1981)가 제작한 사회적 거리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통합 교육에 대한 일반 아동 부모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Green과 Stoneman(1989)이 개발한 통합에 대한 태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검증에 사용된 통계 방법은 t검증으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사와 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태도 변화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 아동의 장애 아동에 대한 태도는 부모와 함께하는 숙제를 통한 통합지원 여부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2. 일반 아동 부모의 통합 교육에 대한 태도는 부모와 함께하는 숙제를 통한 통합지원 여부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 일반 아동 부모의 통합 교육에 대한 요인별 태도는 부모와 함께하는 숙제를 통한 통합지원 여부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1. 일반 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2. 일반 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태도는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3. 일반 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태도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4. 일반 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이 일반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태도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5. 일반 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이 장애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태도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장애 이해 동화를 매개로 한 부모와 함께하는 숙제는 장애 아동에 대한 일반 아동의 태도와 통합 교육에 대한 일반 아동 부모의 태도를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장애 아동에 대한 일반 아동의 태도와 통합 교육에 대한 일반 아동 부모의 태도 변화를 위한 전략의 필요성과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교육 현장에서 일반 아동과 부모의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전략으로 장애 이해 동화를 매개로 한 부모와 함께하는 숙제가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As the necessity and reasonableness of inclusive education have been verified, several factors and strategies for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have been suggested. Especially, the attitudinal change towards disabled children, of nondisabled children who are to be in contact directly with disabled children is one of critical factors for that. And, the attitudinal change to inclusive education, of their parents is also an important factor, because they can affect significantly the attitude of their children. For that reason, the public attention to the affirmative recognition and attitudinal change of nondisabled children and their parents towards inclusive education has grown up. This study was attempted to clarify the effect of co-assignment with parents by the fairy tale about disabilities on the attitude of nondisabled children and their parents towards disabled children and inclusive education, respective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4 nondisabled children in the classes including six disabled children (4 second-graders, 2 third-graders) at K elementary school in Seoul, Korea, and 164 their parents. To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82 nondisabled children and 82 their parents, co-assignment with parents by the fairy tale about disabilities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any assignment wasn't given. The research procedure included pre-test, experiment, post-test. During the experiment, inclusive support was provided through co-assignment twice a week (ten times in total). As measuring tools, Social-Distance Scale developed by Hazzard (1981) was used for determining the attitude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s disabled children, and Attitude Scale to Inclusive Education developed by Green and Stoneman(1989) for measuring the attitude of their parents on inclusive education; with these tools, pre-test and post-test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results, t-test was conducted regarding difference in scores from post-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or the attitude of nondisabled children to disabled childre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clusive support through co-assignment with parents. 2. For the attitude of their parents towards inclusive educa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clusive support through co-assignment with parents. 3. For the attitude by factors of their parents towards inclusive educa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clusive support through co-assignment with parents. 3-1. For the recognition of their parents to the "global attitude toward inclusive educa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3-2. For the recognition of their parents to the "influence of inclusive education on learning",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3-3. For the recognition of their parents to the "necessity of parent education for inclusive educa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3-4. For the recognition of their parents to the "influence of inclusive education on nondisabled children ",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3-5. For the recognition of their parents to the "influence of inclusive education on disabled children ",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co-assignment with parents by the fairy tale about disabilities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ttitude of nondisabled children and their parents towards disabled children and inclusive education,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refore, the necessity and effect of strategies to improve their attitude were verified. Co-assignment with parents by the fairy tale about disabilities can be proposed as one of such strategies to apply to the educational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