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순환-
dc.creator오순환-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4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7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8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78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child rearing behavior perceived by their child and the child's self-concept. The subjects were 379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Seoul. "Korean Materinal Behavior Inventory" by Park Seong Yeon, Lee Sook (1990) and "child's Self-Concepts" by Song In Sub (1990) and "Home Environment Questionnaire" were used to gather data for the study. Frequencies, reliability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social-economic status (SES) of family significantly predicted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their child. The SES was higher, the "Reasoning Guidance", "Affect", "Active Involvement Attitudes" were found higher. 2. The social-economic status (SES) of famil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children's self-concept. The SES was higher, the all 4 domains of self-concept were higher. 3. On the 4 domains of self-concepts, the effects of maternal child rearing behavior and SES were found. 0n the "General" self-concept, the "Affect", "Authoritarian", "Control", "Limit Setting", "Reasoning Quidance", have found significant, on the "Scholartic" and "Emotional", self-concept, "Affect" and "SES" have found significant, on the "Social" selfconcept, "Affect", "Authoritarian control", "Reasoning Guidance" have found significant. In Conclusion, maternal affect i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hild's self-concept.;본 연구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아동의 성, 사회·경제적지위, 어머니의 직업유·무)과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자아개념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국민학교 6학년 남·녀 아동으로 실제분석 대상학생은 379명이었다.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박성연·이숙(1990)이 제작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를 아동이 지각하는 내용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아동의 자아개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송인섭(1990)이 제작한 「자아개념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적용한 통계적방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성격을 알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양육행동과 자아개념을 분석하기 위해 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양육행동, 자아개념간의 관계를 알기위해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아동의 성 및 사회·경제적지위를 통제한 상태에서는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회·경제적지위에 따라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사회 ·경제적지위가 상류층일때 「합리적인 지도」, 「애정」, 「적극적인 참여」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난 반면에 하류층일때 「권위주의적 통제」와 「과보호」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2. 아동의 자아개념은 아동의 성 및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일반」, 「사회」, 「정서」 자아개념에서는 가정의 사회·경제적지위가 하류층일때 특히 낮은 점수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고, 「학업」에서는 사회계층이 낮아질수록 낮은 점수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3. 아동의 자아개념 4개 영역별로 아동의 성, 가정의 사회·경제적지위, 어머니의 직업 유·무, 그리고 양육행동 7개 요인에 따른 차이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일반」 자아개념에 있어서는 「애정」, 「권위주의적 통제」, 「일관성있는 규제」, 「합리적인 지도」의 순으로 설명력(R^(2) = 0.23)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 및 「정서」 자아 개념에서는 「애정」과 「사회·경제적지위」만이 설명력(R^(2) = 0.11, R^(2) = 0.09)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아개념에 있어서는 「애정」 「권위주의적 통제」, 「합리적인 지도」의 순으로 설명력(R^(2) = 0.27)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동의 자아개념은 어머니의 「애정」적인 양육행동에 의해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양육행동 = 6 B. 자아개념 = 14 C.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개념 = 25 Ⅲ. 연구 방법 = 29 A. 연구대상 = 29 B. 검사도구 = 29 C. 연구절차 = 35 D. 자료 분석 = 3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7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성격 = 37 B. 어머니의 양육행동 = 39 C. 아동의 자아개념 = 44 D.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개념 = 47 Ⅴ. 요약 및 논의 = 52 참고문헌 = 56 부록 = 61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683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자녀-
dc.subject어머니-
dc.subject양육행동-
dc.subject아동-
dc.subject자아개념-
dc.title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개념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Child Rearing Behavior Perceived by their Child and the Elementary School Child's Self-concept-
dc.format.pageviii,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199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