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8 Download: 0

중학교 家事科 의복 제작의 교수 방법에 관한 연구

Title
중학교 家事科 의복 제작의 교수 방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TEACHING METHODS OF CLOTHING MAKING IN THE MIDDLE SCHOOL : the sports collar blouse-making in the course of Household affairs
Authors
백명금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Keywords
중학교가사과의복제작블라우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블라우스 만들기 단원에 있어 교수 방법의 차이에 따라 학습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이론 학습에 대한 이해도와 실기 학습에 대한 학업 성취도를 통해 알아보며 블라우스 만들기 단원의 학습 전·후의 의복에 대한 흥미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중학교 家事科의 의복 제작 단원의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교수 방법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 홍천군에 있는 여자 중학교에서 아직 블라우스 만들기에 대한 수업을 받지 않은 2학년 학생으로 90명을 선정 3개 집단으로 편성하여 각 집단별로 블라우스 만들기 단원에 대한 교수 방법을 달리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수업 실시 후의 총합 평가, 제작 실습에 대한 실기평가, 수업 실시 전후의 설문지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제작에 따른 학업 성취도(실기 평가)와 집단별 의복 흥미도는, t-검증, 집단간 의복 흥미도와 총합 평가 결과는 ANOVA-검증, 총합 평가의 문항 반응도는 X^(2) - 검증을 하였다. 이상의 연구 절차에 의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블라우스 만들기 단원의 교수 방법은 이론과 함께 실기 학습이 병행되었을 때 효과를 거둘 수 있다. 2. 블라우스의 원형 제도는 원형지보다 모눈 종이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블라우스 만들기 실습을 할 때에는 시범 및 괘도 견본 등의 시청각 학습 자료를 이용한 교수 방법이 효과적이다. 4. 블라우스 만들기 단원에 대한 사후 검사가 사전 검사에 비하여 의복 정리와 의생활 계획 영역에서 유의적으로 흥미도 점수가 높았으며 ( p<.05 ), 특히 학습 자료를 사용한 집단이 전 영역에서 사후의 의복에 대한 흥미도 점수가 사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家事科 의복 제작 단원의 올바른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서는 실기 수업이 반드시 이루어져 의복을 제작하도록 해야 할 것이며 실기 수업시에는 시청각 자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야 하고 학교측에서의 시설 확충도 필수적으로 요구된다.;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f what differences can be made by the difference of teaching methods, in the unit of blouse-making examining the understanding degree of theoretical learning and the achievement degree of practical exercies of students and to offer the basic guidances for presenting substantial and effecttive teaching methods for the unit of clothing-making in the middle school household affairs, considering how students' interest in clothes changes as the result of learning blouse-making. For this study ninety students were chosen randomly from girlys' middle schools located in Hongcheon gun. They were not given any lesson on blouse-making before this study, and organized into 3 groups, each of which was given the lesson through different teaching methods from each other.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synthetic evaluation test after the teaching, exercise evaluation test during the exercise and the method of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teaching. The degree of achievement (pratical evaluation) and the interest in clothes in each group were given t-test, the interest in clothes among groups and synthetic evaluation ANOVA-test and X^(2)-test was given to the degree of answering each ques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obtained are as follows : 1. The effect of teaching blouse-making can be maximized when the lesson is given through practical exercise as well as theoretical learning. 2. It is more effective to use graph paper than to use ordinary paper in drawing the original blouse-drafting. 3. The effect of teaching can be increased by using visual aids such as wall maps, samples, etc. and showing an example. 4. The degree of interest in clothes arrangements and planning clothing-life is noticeably higher after the lesson than before (P<0.5). Especially, the group thaught with teaching aids shows the significant higher degree of interest in clothes through all the tests given. Therefore in teaching clothes-making, the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the opportunity of practical exercise and motivated by using visual-aids in exercise.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the necessary aids for teaching the school should have the scheme of supporting the facilities for the overall teach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