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0 Download: 0

영양실태조사를 통한 학령기 아동의 철분섭취 현황과 변 배설량에 관한 연구

Title
영양실태조사를 통한 학령기 아동의 철분섭취 현황과 변 배설량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영숙
Issue Date
197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 학령기 아동에게 Fe 부록 현상이 심각하다는 보고가 많이 있다. (4)(5)(6)(7)(8). 본 논문은 Fe 부족 현상의 원인을 알아 보기 위하여 Fe의 섭취량과 변으로 배설되는 양을 조사하였다. 1978년 4월부터 6월까지 대도시 근교 농촌지역(능곡)과 대도시지역(서울, 인천)의 6세에서 12세의 아동 100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섭취한 2일 간의 식품량을 계측하고 그에 상당하는 기일 동안 총변의 량을 수립하였다. 또한 섭취한 식품 중의 Fe 함량을 식품분석표에 의거하여 산출하고, 변 중의 Fe 배설량을 1.10-Phenanthroline Method로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대상자의 하루 평균 식품 섭취량은 1118g 이었고, 대도시 아동들이 농촌 아동들 보다 약간 높은 섭취 경향을 보였다. 9개의 식품군중 가장 많이 섭취한 식품은 곡류로 농촌지역에서는 하루에 802g(76%) 섭취하였고, 대도시지역에서는 647g(55%)을 섭취하였다. 두 지역 간의 가장 현저한 차이를 보인 식품은 과일류로 대도시지역(126g/1일)이 농촌지역(13g/1일) 보다 10배나 더 많이 섭취하였다. 식품의 섭취량을 지역별로 비교하여 볼 때, 농촌지역에서는 곡류와 생선류 그 중에서도 멸치의 섭취가 높았고, 대도시지역에서는 채소와 과일류 그리고 수육류의 섭취가 현저히 높았다. 2. 총 대상자의 하루 평균 Fe섭취량은 6.79mg이며, 이것을 지역별로 분류하여 볼 때, 농촌지역이 6.27mg 대도시지역이 7.04mg으로 대도시지역이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그러나 권장량에 대한 총 대상자의 평균 Fe 섭취비율은 약 60%이며, 농촌지역이 59% 대도시지역이 61%로 대도시지역이 농촌지역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P<0.10)/ Fe의 섭취량이 권장량의 67%이상 되는 아동들은 총 대상자 중 32%이었고, 33~66%의 아동은 58%이었으며 33%이하의 아동이 10%나 되었다. 3. Fe의 섭취량을 식품군 별로 분류하여 보면, 총 대상자가 곡류에서 섭취한 Fe의 양은 하루 2.76mg이었고, 육어난류에서는 2.42mg 채소과일류에서는 1.51mg이었다. 식품군별 Fe섭취량을 백분율로 환산하면 곡류에서는 전체의 41% 육어난류에서는 37% 채소과일류에서는 22%로서 본 조사 대상자들의 Fe의 주 급원은 곡류로 나타났다. 4. Fe의 섭취량을 지역별로 분류하여 비교 하였을 때, 곡류에서는 농촌지역이 2.56mg 대도시 지역이 2.95mg으로 두 지역 간에 및 차이가 없었고, 육어난류에서의 섭취량은 농촌지역이 2.84mg 대도시지역이 2.00mg으로 농촌지역이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p<0.01), 채소과일류에서는 농촌지역이 0.92mg 대도시 지역이 2.09mg으로 대도시지역이 울등히 높은 섭취를 하였다.(p<0.0001) 5. 총 대상자의 평균 Fe 변배설량은 하루 4.71mg이며, 이것을 지역별로 분류하여 보면, 농촌지역이 6.37mg 대도시지역이 3.90mg으로 농촌지역의 경우 대도시지역 보다 현저히 높은 수치를 보냈다(p<0.0001) 또한 총 대상자의 Fe 배설량 분포를 보면, 5.1mg 이하 배설되는 것을 기준으로 할 때, 대도시지역은 79%로 농촌지역의 40%보다 약 2배 정도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5.1mg 이상 배설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는 농촌지역이 60%로서, 대도시지역에서 나타난 21%에 비하여 3배의 수치를 보였다. 6. 본 조사 결과, 우리나라 학령기 아동의 Fe 부족 현상은 평균 Fe 섭취량의 절대적인 부족에 기인하며, 섭취한 Fe의 양에 대하여 변으로 배설된 양도 대도시지역에서는 적은 편이나, 농촌지역에 있어서는 상당히 높았으므로 농촌지역의 경우 높은 기생충 감염율을 감안할 때 심각한 문제라 할 수 있다. Fe의 부족 현상을 타개하려면, 섭취량의 증가는 물론 흡수율을 높여 배설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식이내용 개선에 있어서 더 많은 영양교육이 필요하며, 기생충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Fe 영양문제의 개선을 위하여 특별한 구충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Fe deficiency is one of the major nutritional problems among school children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dietary Fe intake and fecal excre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Fe Deficiency. From April, 1978 to June, 1978, one hundred school children aged from 6 to 12 years were chosen; 33 subjects from village near Seoul (Neunggok) and 67 children from big cities (Seoul and Incheon). The amounts of 2-days of food consumption were measured and total fecal excretion were collected in an appropriate period. Dietary Fe intake of each subject was calculated by using Food Composition Table and fecal Fe excretion was measured by means of 1,10-phenanthroline method. Followings are observations made in the study; 1. The amount of foods taken by total subjects averaged 1118g, per day with a tendency to a slightly higher intake in city children. Of nine food groups, cereal consumption was the highest. This was more profound in village subjects than city one valuing 76%(802g) of total food intake for the former and 55%(647g) for the latter. City children consumed more fruits 126g compared with 13g of village children. Generally, consumption of cereals and fishes(especially dried anchovy) were higher in village children, and fruits, vegetables and meats consumption were higher in city children. 2. Average Fe intake of total subjects was 6.79mg which is only about 60% of R.D.A. for Fe; 6.27mg for village children and 7.04mg for city subjects. The ratio of Fe intake versus R.D.A. for village children was 59% which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ity subjects (61%), statistically (p<0.10). Children whose Fe intake exceeded 67% of R.D.A were only 32% of total subjects, those with 33~66% of R.D.A, were 58% and children who had taken Fe less than 33% of R.D.A were 10%. 3. Fe intake from cereal group in all subjects averaged 2.76mg comprising 41% of total Fe intake. 2.42mg(37%), and 1.51mg(22%) were contributed by animal food sources and fruits and vegetables, respectively.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ity and village children in Fe consumption from cereals, but Fe intake from animal food sources was higher in village children (p<0.10). However, city children consumed significantly higher Fe from fruits and vegetables (p<0.0005). 5. Mean fecal Fe excretion of total subjects was 4.71mg per day; 6.37mg for village children and 3.90mg for city children. The excretion of city children being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village subjects (p<0.0001). The distribution in fecal iron excretion revealed that the higher percentage of children in city(79%) excreted less than 5.1mg Fe per day compared to that of village children(40%). 6. As a summary, it can be concluded that Fe deficiency of school children is mainly due to poor Fe in take as a whole. In village children, the dietary Fe intake was lower than that of city children, however poor absorption also seems to play a role. Therefore, both factors, the Fe intake and the absorptio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nutrition education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