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제 7차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의 인식과 영역별 학습요구도

Title
제 7차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의 인식과 영역별 학습요구도
Authors
문미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Keywords
실과초등학생학습요구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실과 교과에 대한 인식과 제7차 실과 교육내용의 영역별 요구도를 규명하여 효과적인 학습지도 및 제 8차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과 구성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 조사를 위하여 안산교육청 산하 안산시, 시흥시 소재의 5개 초등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5, 6학년 아동 10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질문지의 구성은 초등학교 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실과교육 인식, 실과 교과 내용 영역별 요구도로 되어 있으며, Window용 SPSS 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별로 빈도와 백분율,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test와 일원변량분석 (one-way ANOVA)과 Duncan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은 실과 교육의 목표, 실과 교육의 흥미도, 성역할에 대한 인식의 모두 Likert척도 3점 이상의 평균을 보였다. 특히 성역할의 인식에서는 성역할 고정 관념을 벗어나 현대적인 바람직한 성역할 인식을 갖고 있었다. 교과 내용 영역별 요구도는 생활 기술 영역, 가족과 일의 이해 영역, 생활자원과 환경의 관리 순으로 요구도를 보였다. 기술 영역 중 식생활 부분은 Likert척도 4점 이상의 높은 요구도를 보였으며, 실과 교육에 대한 아동들의 관심과 흥미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면, 실과 교육의 흥미도에서 성별과 학년이 유의미한 변수였고, 성역할에 대한 인식에서는 성별과 학년, 부모님의 맞벌이 여부가 변수로 나타났다.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인식이 높았으며, 6학년이 5학년보다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실과교과 내용의 영역별 요구도 차이를 보면, 가족과 일의 이해 영역에서는 가정생활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생활 기술 영역은 높은 평균을 보였는데, 식생활 부분, 컴퓨터 부분, 농업 부분, 의생활 부분, 공업 기술 부분 순으로 요구도가 나타났다. 식생활 부분에서는 조리실습이, 컴퓨터 부분은 인터넷 검색이, 농업 부분에서는 애완동물 기르기, 의생활 부분에서는 스킬 자수로 방석 만들기, 공업 기술 부분에서는 전자제품 만들기의 평균이 가장 높았다. 대체로 성별만이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였으나, 의생활 부분에서는 성별과 함께 가정생활 수준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흥미도가 높았으나 컴퓨터 부분의 컴퓨터의 기초와 인터넷 검색, 공업 기술 부분의 전기 전자 내용에서는 남학생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살펴보면, 초등학교 학생들은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과 내용 요구도 모두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생각과 학습 요구도를 보였다. 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성별이 가장 유의미한 변수였고, 교육 내용 요구도에 있어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전통적인 성역할 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래의 실과 교육은 성별에 따른 요구도의 차이를 인식하고, 이를 학습지도에 적절히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아울러 실과 교육의 흥미와 요구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개발과 교육운영에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행정·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ffective teaching plan and basic data for the next 8th curriculum through clarifying the perception and demanding degree classified by contents on Practical Arts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survey, I selected 5 elementary schools in Ansan and Si-heung at will. The respondents were 1048 students who are 5th or 6th grade in the schools. The questionnaire was made up of three par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percep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demanding degree on each field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included frequency, percent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One-way ANOVA carried by SPSS/PC WiNDOW 9.0 Program. The result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Students' percep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got over 3 point in 5 point Likert scale in three parts, the objective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terests of Practical Arts and perception of gender role. Especially, in the perception of the gender role, many students had modern and desirable thinking. In the part of demanding degree on each field in the curriculum, the field of 'life management skill' recorded the highest degree and the next one is the field of 'family and work life', the field of 'resources management and environments' in order. 'Food and nutrition' recorded over than 4 point from 5 poing Likert scale. it means that students have interest in Practical Arts education. Second, in the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on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 gender and a grade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ed in interests about Practical Arts. In the perception of the gender role, a gender, grade and dual-income family were significant variables. Girl and 6th grade students had more desirable perception than boys and 5th grade students on gender role. Third, in the differences of demanding degree on each field of Practical Atrs according to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students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living standard in the field of 'family and work life'. he field of ' life management skill' got the highest mean and the field of 'food and nutrition'? the field of 'agriculture',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field of 'textiles and clothing' follow the next in order. 'Cooking practice' among the food and nutrition field, 'raising a pe't among agriculture field, 'internet search' among the information technology field and 'making a cushion' among the textiles and clothing field got the highest average in each part. Gender was the main factor making the demanding degree differently. Also, the living standard was also another factor to influence on the demanding degree in the field of 'textiles and clothing'- Generally, girls' level of interest was higher than boys'. But in the basis of the computer, the internet search and an electronics fields, boys' demanding degree was higher than girl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hildren's perception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was affirmative and demanding degree on the content of the course was high. But we should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demanding degree according to the gender and reflect the differences into the teaching plan, because the gender affects on the perception and demanding of learning. we can see that 6th grade students who learned Practical Arts in 3rd, 4th and 5th grade got higher point in demanding degree than 5th grade students who didn't learn this course before. This difference means that the reduction of the grade in 7th curriculum has some problems and the expand of the Practical Arts is necessary. In addition, for higher interesting and demanding in Practical Arts education, we should develope various teaching methods. Besides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s are needed for more effective manag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