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3 Download: 0

우리나라의 가정학 본질 규명에 관련된 근본개념들에 관한 분석적 연구

Title
우리나라의 가정학 본질 규명에 관련된 근본개념들에 관한 분석적 연구
Authors
김경미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Keywords
가정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study analyzed related basic concepts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nature of home-economics. The ultimate goal of secondary level home economics education program, as of now, is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individual, domestic and social well-being. Historically, this comprises the ideal of the goals manifested universially since the inception of home economics. Home economics educatoin, however, has not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accomplishment of this aim. The problem of home economics education has a relation with curricula and administrations of it, also originating from ambiguity in character-establishment of home economics as root science. Study of home economics, therefore, should be preceded to first of all for the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most significant problem to which home economics confronts is to re-establish its scholastic system and character. Home economics has not carried out its original purpose appropriately chiefly due to the absence of its theory and philosophy. That there have been not enough preceding studies upon the nature of home economics proves the lack of philosophical studies on it. And should be printed here especially that thorough studies on the concepts have not been carried on to identify the nature of home economics. Consequently, ambiguous concepts have been quested to. The ambiguity of concepts makes the nature of home economics confused and, as the result, plays as a cause of abstration to the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This study, therefore, analyzed concepts which are related to identification of the nature of home economics with a study question of how concepts are conceptualized for it to be worthwhile as basic material for the study of the nature of home economics. Also it was designed, incidentally, to give a help to educational orientation of secondary level home economics education, ultimately, hoping that further studies related to the nature of home economics are to follow continuously. Concepts as analytic object chosen in this study include (1) environment, (2) colligation, (3) synthesis and (4) practice, which are used most frequently in identifying the nature of home economics and have a significant meaning. Method of study followed that of literary research, referring to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the Principles of Home Economics and other reports and volumes that make great influence as leading material on the circle of home economics. The concepts are conceptualized in field as follows: A. Concept of environment 1. It is the necessities of life, that is clothe, food and shelter as immediate environment. 2. It include social environment in a human ecological aspect. 3. It is not dealt in the human ecological aspect, but social environment is included in the environmental condition required for the solution of domestic problems. B. Concept of colligation 1. Home economics makes use of basic knowledge and principles of natural, social and cultural scientific studies, but they are colligated again into home economics. 2. Home economics makes use of basic knowledge and principles of natural, social and cultural sciences. 3. Whithin each field of home economics, areas of cultural, social and natural sciences are evenly included. 4. Home economics makes itself as a colligation of various sub-fields of home economcs. C. Concept of synthesis 1. It synthesizes knowledge and principles of various basic studies. 2. It synthesize several fragmented specialiged fields of home economics as/into home economics. 3. Within each field of home economics, various areas are related with each other. 4. The every field of home economics is synthesized centered around home and family living, aim of home economics, and solution of home and family life problem. D. Concept of practice 1. Since home and family life problem is of many-sided, some strategies of comprehensive solution are required of. And also there are action-orientation, value-judgement and moral validity. 2. Home economics lays an emphasis on pragmatization into life, requiring technique and value-judgement. 3. Home economics is made use of as means of life 4. For practice, experimentations and practices are needed in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oncepts identifying the nature of home economics are conceptualized differently like above. Especially, colligation and synthesis are even used without differentiation. Efforts for unified conceptualization of the concepts related to identification of the nature of home economics are urgently needed. Besides, scholartically thorough studies on the concepts should be made continuously.;본 연구는 가정학 본질 규명에 관련된 근본 개념들을 분석하였다. 가정학의 목표는 개인 및 가정의 안녕, 복지증진과 사회의 복지향상에 대한 기여를 하기 위함으로 중등 가정과의 궁극적인 교육목표로 이와 동일하다. 그러나 현재의 중등 가정과 교육은 이 목표를 이루는데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중등 가정과 교육의 문제점은 교육과정, 문교행정과 관련되면서 모학문인 가정학의 성격정립의 모호성에서도 기인된다. 그러므로 중등가정과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우선 가정학의 연구가 설치되어야 한다. 가정학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은 학문체계 및 학문적 성격의 재정립이다. 특히 가정학본질에 관한 선행연구가 많이 않은 것으로 보아 가정학에 대한 철학적 연구가 부족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정학의 본질을 규명해주는 개념들에 관한 깊이있는 연구가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가정학의 본질 규명과 관련된 개념들이 어떻게 개념화 되어 있나?’ 라는 연구문제를 가지고 개념을 분석해 봄으로써 가정학 본질 연구를 위한 기초 연구가 되고자 하며, 또한, 앞으로 가정학 본질과 관련된 개념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을 바라면서, 궁극적으로는 중등 가정과 교육의 교육 방향설정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된 개념은 가정학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가장 많이 쓰여지고 있고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는 (1) 환경, (2) 종합, (3) 통합, (4) 실천의 개념을 선택하였으며 문헌조사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개념들은 다음과 같이 개념화 되어 있다. A. 환경의 개념 1. 인접환경으로 의, 식, 주 생활이다. 2. 민간생태학적인 관점에서 사회적 환경을 포함한다. 3. 민간생태학적인 관점에서 다루지 않고 가정문제해결에 필요한 환경적 조건에 사회적 환경을 포함시켰다. B. 종합의 개념 1. 가정학이 자연, 사회, 인문과학적 연구의 기초지식과 원리를 이용하되 가정학으로 종합된다. 2. 가정학은 자연, 사회, 인문과학적인 기초지식과 원리를 이용한다. 3. 가정학의 각 분야에 자연, 사회, 자연과학적 영역이 고루 포함된다. 4. 가정학은 가정학의 여러분야가 종합되어 하나의 가정학이 된다. C. 통합의 개념 1. 여러 기초학문의 지식과 원리를 종합한다. 2. 가정학의 세분화된 여러분야를 가정학으로 통합한다. 3. 가정학의 각 분야내에서 여러 영역이 관련된다. 4. 가정학의 각 분야가 가정생활, 가정학의 목표, 가정의 문제해결 구심점으로 통합된다. D. 실천의 개념 1. 가정생활 문제는 다면적이어서 포괄적인 해결책이 요구되며 행동지향성, 가치판단, 도덕적 인 타당성이 요구된다. 2. 가정학은 생활에의 실용화를 중시하여 기술이 필요하며 가치판단이 요구된다. 3. 가정학은 생활의 수단으로 이용된다. 4. 실천을 위해서는 실험, 실습이 가정 교과내용에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연구 대상개념들이 학자마다 조금씩 다르게 개념화되어 있으므로 가정학 본질의 명확한 규명을 위해서는 각 개념들에 대한 학계내의 통일된 의견 수렴이 필요하다. 이런 입장에서 각 개념들에 대한 본 연구자의 의견은 다음과 같다. 1. 환경의 개념은 가정생활 문제의 근원적인 요인까지 다룰 수 있도록 의, 식, 주의 물리적인 관점에서 한걸음 나아가 가치관, 규범, 문화 등 사회화 등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배경까지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2. 종합의 개념은 가정학이 복잡하고 다원적인 가정문제를 해결하는데는 여러학문의 기초지식과 원리를 이용하게 된다는 측면에서 개념화되어야겠다. 3. 통합의 개념은 구체적인 방법이 포함될때 의미가 있으므로 가정학의 각 분야의 지식이 가정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재구성되어 통합적으로 이용되어야 한다는 의미로 사용되어야겠다. 4. 실천의 개념은 기술적인 측면이나 실용화를 강조하는 좁은 의미가 아니라 가정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행동하는 사람의 의도와 가치판단, 도덕적 타당성이 포괄적으로 다루어지는 전 과정의 의미가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