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은아-
dc.creator박은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7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6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1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69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첫째, 여고생의 가족구조,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가정생활 적응과 학교생활 적응 및 자아정체감의 차이와 둘째, 가정생활 적응 및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와, 셋째, 가족구조,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가정생활 적응 및 학교생활 적응 및 학교생활 적응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청소인을 이해하고 지도하는데 도움을 주며 바람직한 가정과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한 표집대상은 서울과 서울 근교의 인문계와 상업계 여자고등학교 1,2학년 학생으로 부부가족 150명, 모자가족 53명을 실제 자료처리시 이용하였다. 조사도구로서는 사회인구학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청소년 문제 종합진단 연구"에서 이재창(1981)등이 제작한것을 본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가정 생활 적응에 관한 문항들은 송인섭(1982)이 제작한 자아개념 검사중 가족 자아개념 부분을, 학교 생활 적응에 관한 문항은 김형태(1989)가 제작한 문항을 이용하였으며, 자아정체감 검사는 1986년 연세 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제작한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Program Package에 의한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F검증, 일원변량분석(ANOVA), Peason의 적률상관계수, 회귀 분석(Regression)등의 통계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족구조(부부가족과 모자가족), 가족소득, 가장의 교육수준에 따른 가정생활 적응과 학교생활 적응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가장의 직업에 따라 학교생활 적응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가정생활 적응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가족구조(부부가족과 모자가족)에 따른 자아정체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 가족소득이 20-80만원인 부부가족과 모자가족간에 하위요인중「사회성」에서의 차이가유의한 수준이었다. 가족소득에 따라서 총자아정체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하위요인에 있어서는 「사회적 적응력」「자기수용」「자율성」「독특성」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가장의 직업에 따라서 총자아 정체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하위요인에서는「사회성」「사회적 적응력」「자기수용」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가장의 교육수준에 따라서 총자아정체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하위요인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여고생의 가정생활 적응과 학교생활 적응은 자아정체감과 강한 상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가정생활 적응과 자아정체감 하위요인과의 관계에서는「사회적 적응력」「자기수용」, 「미래계획」「독특성」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에서는 자아정체감 7개 하위요인 「사회적 적응력」「가치」「자기수용」「미래계획」「독특성」「자율성」「사회성」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4. 여고생의 가족구조,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교생활 적응과 가정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낮았으며, 가족구조,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학교생활 적응 및 가성생활 적응이 여고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는 학교생활 적응이 가장 그 크기가 강하게 작용하고, 자아정체감 하위요인별로 모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가정생활 적응은 하위요인 중 「자기수용」에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그 외에 가족소득, 가장의 교육수준이 여고생의 자아정체감에 영향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dolescence and to contribute to a disirable home economic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 between self identity and variable factors which thought to hav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it was comparatively analyzed. Subjected for the required sample collection were 150 in intact family and 53 in mother headed family from 1st or 2nd female high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or the suburbs of Seoul. As the tools of measurement, "General Study and Diagnosis of Adolescence Problem" produced by Lee Chae-chang(1981) was reorganized to show the social-economic status. For questionaries about family life, self identity examination produced by Song IN-seob(1982) was used. Questionaries produced by Kim Hyung-tae(1989) were used to survey school life. And for a self identity sence examination produceced by the Yonsei University(1986) was used. The data were analized by statistical procedures such as T-Test, Anova, Duncan's Multiful Range Test, Peason's product-moment corelation coefficient, Regressidn. Cronbach α was also computed for verificientions of the reliabilites of the scal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significant differences did not appeared in the adjustment of family and school life according to family structure and family social economic status. 2. The significant differences did not appeared in self identity according to family structure. Only significant diffrences appeared in sub variables 「sociability」according to 200-800 thousand won of family income. The general ident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amily income. In sub variables of self identity, 「social adaptibility」「self acceptance」「self autonomy」「peculiarity」were significant. The significant diffrences appeared in general self identity according to family headed occupation. In sub variables, 「sociability」, 「social adaptation」, 「self acceptance」were significant. The significant diffrences did not appeared in general self identity according to family headed education. In sub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3.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self identity and the adjustment of school and family life, there are showed corelations in a high significant level altogether. In the relation between the adjustment of family life and sub variables of self identity, 「social adaptibility」, 「self-adoption」, 「future planning」, 「peculiarity」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adjustment of family life and sub variables of self identity, 「social adaptibility」, 「value」, 「self acceptance」, 「future planning」, 「peculiaity」, 「self autonomy」, 「sociability」were high significant. 4. Among the variable factors that had influence on the self identity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 of the intac family and mother headed family, the significant impact of the adjustment of school life receives strong suppo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과 연구 문제 = 4 C. 연구 모형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청소년기의 자아 정체감 = 7 B. 청소년기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10 1. 가족 구조 = 10 2. 가정생활적응 = 14 3. 학교생활적응 = 16 4.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 = 18 Ⅲ. 연구방법 = 21 A. 조사대상 = 21 B. 검사도구 = 23 1.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 24 2. 가정 생활 적응 = 24 3. 학교 생활 적응 = 25 4. 여고생의 자아정체감 = 25 C. 자료 수집 = 26 D. 자료의 분석 = 27 Ⅳ. 검사 및 해석 = 28 A. 가족구조,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과 가정생활 적응의 차이 = 28 B. 가족구조,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아정체감의 차이 = 33 C. 가정 생활 적응, 학교 생활 적응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 41 D.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 = 43 Ⅴ. 논의 및 결론 = 48 참고문헌 = 52 부록 = 58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039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가족구조-
dc.subject가정생활-
dc.subject학교생활-
dc.subject여고생-
dc.title가족구조, 가정생활 및 학교생활 적응에 따른 여고생의 자아정체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ELF-IDENTITY OF FEMALE HIGHSCHOOL STUDENTS ACCORDING TO FAMILY STRUCTURE, THE ADJUSTMENT OF FAMILY AND SCHOOL LIFE-
dc.format.pagevii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