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7 Download: 0

교사의 인터넷 정보활용에 관한 조사연구

Title
교사의 인터넷 정보활용에 관한 조사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er's use of internet information
Authors
김수정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Keywords
교사인터넷정보활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946년 펜실베니아 대학에서 최초의 진공관 컴퓨터가 발명된 이래, 컴퓨터는 보다 풍부한 정보 공유와 어플리케이션 기능이 가미되어 성능의 비약적 발전을 거듭해 왔다. 이러한 컴퓨터는 단독으로 이용되었으나 데이터 통신 기술이 접합됨으로써 서로 연결된 컴퓨터 간의 데이터 전송이나 교환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컴퓨터간의 네트웍은 국제적인 컴퓨터 통신망인 인터넷으로 발전되었다(강상현, 1996). 전세계의 수많은 컴퓨터 망을 연결해 놓은 인터넷은 가치 있는 자원들을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우리는 인터넷을 통해 최신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정보사회에서의 인터넷은 정보 탐색 및 교환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변혁의 주체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의 시공을 초월하는 상호작용 서비스와 풍부한 정보, 용이한 정보 탐색 기능 등은 교육 분야에서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해 학습자는 보다 능동적으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다른 학습자 또는 교사와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 상의 방대한 최신 자료들은 교사의 교수학습 자료로서 활용 가치가 높으며, 교사들은 인터넷의 교육관련 사이트를 통해 교육 자료를 내려 받기(Download)함은 물론 교사들 간에 서로 교육 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 가치가 높다고 해도 교사가 사용하지 않는다면 인터넷의 가치는 별 의미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교사의 인터넷 사용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한다는 것은 보다 효과적인 인터넷 활용을 위한 필수적인 작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터넷 활용에 관한 연구를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이러한 현실에서 실제로 인터넷을 활용하고 있는 교사들이 인터넷을 통해 얻고 있는 주요 정보는 무엇이며, 획득한 정보들을 교육 현장에서 어떠한 형태로 활용하고 있는가를 파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일반학교의 교사들과 에듀넷 시범학교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넷의 정보 및 서비스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획득된 정보의 교육적 활용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개별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교사들과 에듀넷 시범학교로 선정되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학교의 교사들 간에 이용상의 차별성을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다룰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을 활용하고 있는 일반학교 교사들과 시범학교 교사들의 일반적인 인터넷 활용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일반학교 교사들과 시범학교 교사들이 인터넷에서 얻고 있는 정보는 어떠한 것인가? 셋째, 인터넷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때, 일반학교 교사들과 시범학교 교사들은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넷째, 일반학교 교사들과 시범학교 교사들이 느끼는 인터넷 지원상황과 환경적인 문제점은 무엇인가? 다섯째, 일반학교 교사들과 시범학교 교사들이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을 위해 기대하는 바는 무엇인가? 따라서 교사들이 인터넷 상의 정보를 어떠한 형태로 활용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일반학교의 교사와 에듀넷 시범학교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교사이며, 일반학교의 교사에게는 국내 통신의 전자우편을 통하여 250부의 설문지를 전달하여 51부를 회수하였고, 에듀넷 시범학교의 교사에게는 우편을 통하여 60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여 44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최종 자료는 빈도 수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Chi-square, T test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이와 같은 자료분석 방법을 각 문항의 성격에 따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분석 자료의 통계처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항목 당 응답자의 빈도 수와 퍼센트를 구하고 응답자의 배경변인별 빈도 차이에 대한 검증은 카이검증법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리커트(Likert) 5점척도 문항은 "전혀 아니다"에 1점, "거의 아니다"에 2점, "보통이다"에 3점, "그런 편이다"에 4점, "매우 그렇다"에 5점의 점수로 계산하여 양적 변인으로 전환한 뒤, 응답자의 배경변인에 따라 T tes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일반적인 인터넷 이용 현황을 살펴보면 조사대상 교사들은1년 이상 장기간 인터넷을 사용해 왔으며, 대부분이 주 1회 이상 인터넷에 접속하는 등 활발히 이용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인터넷을 정보의 교환이라는 측면보다는 정보의 획득과 탐색을 위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Web Browser를 이용하여 WWW(World Wide Web)에 올려진 정보를 보거나 듣는 일방적인 정보 전달 서비스를 더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인터넷의 일반적 활용 실태에 있어서는 일반학교의 교사와 에듀넷 시범학교 교사와의 유의미한 차이점은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일반학교의 교사들은 에듀넷 시범학교의 교사들보다 정보검색을 더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각 분야별로 정보검색 정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사들은 인터넷을 통해 개인적 취미, 컴퓨터 관련 정보, 문화정보 등을 주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수업관련 정보 및 교육 정보도 비슷한 차원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적 활용 자체를 목적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으며, 정보의 분야에 따른 이용 현황에 있어서는 일반학교 교사와 시범학교 교사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일반학교 교사들과 에듀넷 시범학교 교사들은 모두 인터넷에서 얻은 정보를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지 않았으며, 정보를 수업에 이용할 경우에는 주로 텍스트 내용을 내려받기(Download)하여 유인물로 활용하거나 수업을 준비하는데 있어 교사의 전공 지식 또는 주변 지식의 확대, 수업 중의 예시 등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인터넷 상의 사이트 중 교육 관련 사이트에 특별히 더 자주 접속하고 있지는 않았으며, 활용이 부족한 이유로는 교육관련 사이트에 포함된 내용 등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수업 자료가 부실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넷째, 일반학교의 교사에 비하여 에듀넷 시범학교의 교사들은 인터넷 활용을 위한 제도적 지원을 받은 경우가 더 많았으며, 실제로 일반학교의 교사들은 주로 집에서 인터넷을 활용하는데 반하여 시범학교의 교사들은 학교에서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반학교의 교사보다 시범학교의 교사들이 인터넷의 활용을 위한 지원이 더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미루어보아, 시법 학교에서의 지원도 매우 미비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일반학교의 교사들과 에듀넷 시범학교의 교사들은 현재의 열악한 지원 상황에도 불구하고, 수업 자료의 확보, 상식, 교사나 학생과의 상호작용 등에 있어서 인터넷이 앞으로 교육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었으며, 교육관련 사이트도 꾸준히 개발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앞으로는 정부의 멀티미디어 교실 지원 사업, 에듀넷에 대한 정책적 지원 등으로 보다 많은 교사가 인터넷을 활용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기존의 교육관련 사이트는 교사의 의견을 반영하여 실제 수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 참고물, 교과 관련 내용, 교사를 위한 읽을거리, 올바른 인성 교육을 위한 자료, 교사간의 상호 의견 및 교수방법을 교환할 수 있는 공간 등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또한 인터넷이 전세계 네트웍의 연결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대상 학습자 및 교사들 간의 지역적 차별성을 살린 내용 구성과 상호 교류 등도 추진되어져야 한다. 셋째,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을 위해서는 전용선 설치를 통한 속도 문제의 해결, 하드웨어 설치를 통한 인터넷 접근 기회의 확대, 인터넷 활용을 위한 교사 교육 등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넷째, 인터넷 상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인터넷에서 얻은 정보를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사의 인터넷 사용 수준에 따라 차별화된 인터넷 교육이 제도적으로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를 통하여 인터넷이 정보를 탐색하는 도구로만이 아닌 정보를 공유하고 교환할 수 있는 상호작용의 공간으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Since the invention of the first vacuum tube computer at Pennsylvania University, the performance of computers has improved rapidly, enabling greater exchange of information and applications. In the past, such computers were used separately but with the help of the data communications technology, data transfer and exchange was possible between connected computers and networks, Later the international computer networks has also developed into Internet (Kang, Sang-Hyen, 1996). Internet, the network of the network, which connects the networks around the world, enables to be shared valuable information. In this information era the Internet not only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arching and exchanging information but also emerges as a catalyst of change in various areas of the politics, community, and culture. In particular, it is a useful education tool due to its interactive service beyond time and place, its rich supply of information, and its easy-to-search function. Using Internet, students study more actively, exchange. information and easily communicate with other students and teachers. A variety of recent information on the Internet can be used as a teaching material for teachers who can download the relevant materials from education sites and exchange educational information. Although it has its value for use as an educational tool, it s hard to find a study on Internet usage which focuses on teachers. With this in mind, it is important to look into what kinds of information teachers are getting from the Internet and how to use the obtained information in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lities of using Internet information targeted at Internet users of teachers, and to investigate how to use the obtained information in the real education field and what the differences are between the Internet-using teachers at Edunet trial schools and general Internet-using teachers. Therefor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general Internet-using teachers and the Internet-using teachers at Edunet trial schools. The collected final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 percentag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T test and Chi-square method. The use of this data analysis method was adjusted according to the question's characteristic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from the teachers' ordinary Internet use item we found that they have used the Internet for more than a year and used Internet normally once a week. They have used Internet more actively than we expected. But teachers mainly used Internet not so much to exchange information, as to obtain and search for information. Second, the informations teachers were normally looking for on the Internet were mainly personal or computer-related, in addition to cultural. Teachers didn't visit the educational sites more often than others. but wanted those sites to be more available and their opinion to be reflected on them continuously. Third, teachers weren't actively using the obtained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in class. In case they used the information, it was normally text information that was later used as handout or example materials in class. Otherwise it was used as reading materials for teachers to expand their relevant knowledge in preparation for class. Fourth, most teachers complained about lack of support for using Internet facilities rather than the amount or the content on the Internet. Fifth, in spite of the currently poor support, teachers highly expected to utilize the Internet in education in the near future, and wanted their opinion to be respected continuously when developing education sit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First, due to its small number of targeted responders, the results do not generally show much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is kind of study to be continued targeting more Internet-using teachers. Second, the teachers use of the educational sites didn't make any difference to any general users.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either the contents of the current educational sites were not sufficient or promotion for the sites were poor. Therefore a variety of new and rich information needs to be provided at such education sites and this information should supplement teaching materials for teachers. Third, according to this survey, the current support for teacher's Internet use in school was generally found to be very poor. So the following suggestions need to be implemented first : exclusive line setup to solve slow dial-up connection problem, hardware supply to increase the chance of Internet use, and education for teachers to use the Internet. Fourth, It showed that even the Internet-using teachers didn't have the education on using the Internet. Therefore by increasing Internet education, teachers should experience practical Internet applications, not only to search for information but also to share and exchange the information interactively. In conclusion, the authorities need to provide practical Internet education for targeted teachers in order to make the best use of the Internet information and its services in the everyday educational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