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善珠-
dc.creator李善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0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2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7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21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배우자 선택과정에서 나타난 기혼여성의 결혼관을 살펴보고 결혼관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혼전 요인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는 기혼여성을 27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였다. 연령은 20대 후반과 30대 전반으로 의도적 표집을 하였다. 결혼관의 측정을 위해 선행 연구자(최신덕, 유영주, 유시중)의 연구를 참고로 해 8문항을 작성하여 측정하였으며, 결혼만족도는 Spanier의 Dyadic Adjustment Scale(D.A.S)중 24문항을 발췌하고 1문항은 본 연구자가 보충하여 총 25문항으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T-test, 분산분석,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arson의 적률상관계수, 회귀분석, x^(2)-Test로 하였다. 본 연구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혼여성의 결혼관에서 결혼의 동기, 결혼의 필요성, 배우자 선택조건, 배우자 선정방법, 교제기간, 배우자를 알게 된 경위, 이상적인 배우자형과 현 배우자의 일치 정도를 살펴보았는데, 가) 결혼의 동기는 사랑, 정신적 만족, 독립된 가정을 형성하기 위해서의 순서로 나타났다. 나) 배우자 선택조건은 성격, 건강, 직업순서로 나타났다. 다) 결혼의 필요성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라) 배우자 선정방법은 당사자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마) 배우자를 알게된 경위는 집안어른 소개가 가장 많았다. 바) 이상적인 배우자형과 현 배우자의 일치 정도는 그저 그렇다고 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2) 기혼여성의 결혼관에 따른 결혼만족도는 결혼의 동기, 결혼의 필요성, 배우자를 알게 된 경위, 이상적인 배우자형의 일치가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배우자 선택조건, 배우자 선정방법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 자녀 정신적 만족, 사랑, 독립적 가정 형성을 결혼의 동기로 한 응답자가 결혼만족도가 높았다. 나) 결혼의 필요성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결혼의 만족도가 높았다. 다) 이상적으로 생각하던 배우자형과 현 배우자가 일치하였을 때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라) 배우자를 알게 된 경위는 같은 단체나 모임에서 알게되었을 때 결혼만족도가 높았다. 3) 결혼전 요인중 결혼전 자원요인, 중요한 타인들로 부터의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부모모델 요인은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 배우자간의 동질성 요인 중 종교의 일치만이 결혼만족도 영향을 주었고 성장지의 일치, 사회적경제적 지위의 일치, 부부간의 연령차이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결혼전 자원 요인 중 개별로 차이검증한 초혼연령 교제기간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소득수준, 직업유무는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었고 자녀수는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iews on marriage of married women which appears in the process of the marital choice,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vies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marital factors which is affected by to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marital satisfaction. 278 married women from late 20s to early 30s participated in these data for the investigation of this study. These data set up the following 8 questions to investigate the vies on marriage with the precedent reference data by Chio, Sinduck Yoo, YoungJoo and, Yoo, Sijung and set up 21 questions from Dyadic Ajustment Scale (D.A.S.) of Spanier (1976) and the one question is added by my own. The way to analyse the data was followed by T-test, ANOVA, Duncan's Maltiple Rang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gression, χ^(2)-Test. And this investigation lead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1. From the views on marriage of married women appearing in the process of the married choice and the views on marriage when they marry, this study verified first the motives of marriage, and the necessity of marriage, the condition in choice o f marriage partner, the interval of their marriage, and last the circumstance of their first meeting. a. The motives of marriage was caused to love, the spritual satisfaction, and the hope for the independent home by themselves in order. b. They showed an affirmative attitude for the necessity of marriage. c. The condition for the selection of marriage partner was preffered to character, health and the occupation in order. d. The way of the selection of marriage partner was made by themselves. e. The circumstance of their first meeting was mainly made by the relatives' arrangement. 2. The marital satisfaction owningto the views on marriage of married women in the process of morital choice was influenced by the motives and necessity of marriage by the circumstance of their first meeting, and by the degree of accordance between the ideal image of a marriage partner and married partner, Otherwise the condition of the selection of marriage partner and the way of the selection doesn't effect to the marital satisfaction. a. When the motives of marriage are for the spritual satisfaction, love, and the independent home, the marital satisfaction is high. b. When they are affirmative for the necessity of marriage, the marital satisfaction is high. c. When the circumstance of their first meeting was within the society or club they belonged to, the marital satisfaction is high. 3 . Among the premarital factors, the sources, the approval of their marriage from the important persons influence to the marital satisfaction, but parent-model factors doesn't. a. Among the homogeneity factors between the marriage partners the accordance of relegion only influence to the marital satisfaction, but the dissimilarity of the place they brough up, the gulf of the social and economic statue, and the disparity of age doesn't affect to the marital satisfaction. b. Among the factors of the premarital sources, the age of the first marriage, and the interval to the marriage doesn't affect the marital satisfaction. 4. The family incomes and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occupation affects to the marital satisfaction, but the numbers of children does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ⅷ Ⅰ. 緖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 問題 = 2 C. 硏究의 制限點 = 3 Ⅱ. 理論論 背景 = 4 A. 결혼의 意義와 目的 = 4 B. 結婚觀의 槪念 = 6 C. 結婚觀의 硏究와 內容 = 8 D. 결혼만족도 = 12 E. 결혼전 요인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 14 Ⅲ. 硏究 方法 = 18 A. 조사 대상 = 18 B. 측정 도구 = 19 C. 자료수집 및 처리 = 22 Ⅳ. 硏究結果 및 考察 = 24 A. 연구대상자의 특성 = 24 B. 결혼관 = 25 C. 결혼 당시 결혼관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 31 D. 결혼전 요인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 36 E. 직업유무, 소득수준, 자녀수, 결혼의 필요성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 41 Ⅴ. 結論 = 44 참고문헌 = 47 설문지 = 50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339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기혼여성-
dc.subject결혼관-
dc.subject결혼만족도-
dc.subjectMARITAL SATISFACTION-
dc.title旣婚女性의 結婚觀과 그에 관련된 結婚滿足度-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VIEWS ON MARRIAGE OF MARRIED WOMEN AND IT'S MARITAL SATISFACTION-
dc.format.page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