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의 요구분석

Title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의 요구분석
Other Titles
Need analysis of the course content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Authors
송은경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Keywords
고등학교가정과교육과정요구분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하여 가정과 교사, 가정과 예비교사, 주부들의 가정과 지도내용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가정과 교육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시기별로 비교하고, 외국의 가정과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고등학교 가정과 교사와 예비 가정과 교사인 학생과 주부의 가정과 교육에 관한 요구를 분석하여 고찰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여성교육에 대한 특별한 내용을 발견할 수 없었으나 조선시대에는 유교사상에 의한 인륜도덕의 규범과 생활기술을 가르쳤다.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은 개화와 더불어 선교사들에 의해 시작되었고, 한일합방 이후에는 기능연마 위주의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해방이후에는 실천적 교과로의 성격을 강조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수립 이후에도 학교 교육은 안정을 찾지 못한 채 6.25사변을 당했고, 그후 제1차 교육과정이 공포됨과 더불어 확립되기 시작하였다. 그후 여러번의 개정을 거쳐 현재 제5차 교육과정에 이르고 있다. 가정과 교육과정은 개정지마다 독립된 교과가 아닌 실업 가정교과에 속한 가정과목으로 편제 되었으며 이수 대상학년과 시간배당도 매번 변하였다. 제5차 교육과정에서는 4차 교육과정에서와 달리 소비측면과 진로 교육을 강조한 점이 두드러진다. 우리나라의 가정과 교육과정을 미국, 스웨덴, 대만 일본의 교육과정과 비교해 본 결과 가정과 교육을 모두 실시하고 있었으며, 비교국 모두에서 가정은 교과수준으로 제시하고 있었으며, 이수대상도 남녀의 구별없이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가정과 교사, 대학에서 가정과 교사로의 교직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 주부이었다. 조사방법은 설문지를 통한 것이며 자료분석은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HP 3000 컴퓨터로 분석, 처리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정과 교육과정 과목 목표의 진술형태에 대한 의견에서는 1), 2), 3)항 모두 학생집단과 교사집단이 적절하다, 약간추상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과목목표 수준의 적절성에 관한 의견에서도 적절하다고 교사는 반응하였다. 지도내용의 영역별 중요도에서는 인체와 영향, 아동발달, 출산과 아동양호등 현재 생활과 관계 깊은 영역에서 교사, 학생, 주부집단 모두가 높은 반응을 보이고 있었으며, 추가할 지도내용으로 가정생활에 필요한 법규 및 행정제도, 가전제품의 고장 진단과 수리, 분재, 새 기르기 등의 내용이 있었다. 이것은 실제 가정생활 또는 교육에서 체험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가정교과에 필요한 이수 단위로는 연구대상자들 모두가 10~12단위로 증가시켜야 한다고 반응하였다. 평가시 이론과 실습의 적절 비율은 70 : 30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하였으며 실습시설은 거의가 부족한 실정에 있었다. 실습시설로는 가사실 보유 현황이 가장 높았으며 실습기기는 부족한 상태에 있다고 답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실습을 자주하지 못하는 이유로 교사들은 예산부족과 실습시간의 부족을 들고 있었으며 실습 내용은 교과서 내용에 관계없이 실정을 고려하여 적당한 것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부들의 가정과목의 실생활 도움정도는 도움을 준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대다수(80.7%)였다. 가정과 가사과목의 분리여부에 대한 질문에서 56.6%의 교사들은 통합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었다. 가정과의 과목중 재학시 이수여부와 가정과 교사로서의 필요여부에 대한 질문에서 교사, 학생집단 비슷하게 반응한 과목은 가족관계, 아동학, 영양학 등이었으며 교사집단이 더 필요하다는 과목은 영양생리 식품과 조리원리, 조리학, 피복재료학, 예비가정과 교사인 학생들은 가정과 지도법, 교육심리학, 교육과정. 교육공학쪽에 더 필요를 느끼고 있었다. 교사들은 교직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으나 가정과 교사로서는 그보다 만족도가 약간 낮게 나타났다. 이는 가정교과가 실업교과이며 타교과목에 비하여 위상이 낮고 가정교과의 성격상 실습, 전시, 환경미화 기타 여러가지 번잡하고 힘드는 일이 많은 가정교과의 성격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사회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가정과 교육이 독자적인 학문적 특성을 가지고 가정 및 사회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교육내용의 개정과 보완이 불가피하다고 볼 때 가정과 교육에 대하여 가정학자, 교과 전문가, 교육 행정가, 학생과 학부모의 계속적인 관심이 있어야 하겠으며 교육과정과 교과서 등의 개발과 그에 따른 연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져야하며 국가정책적 차원에서 가정과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A need analys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improvement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course. The major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observe the curriculum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by time, 2) to examine the curriculum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of the certain foreign countries, 3) to recommend the future direction of the improvement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courses with need of the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students who are undertaking pre-service training, and the housewives, 4) to facilitate the information and materials for the high school home economics cours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59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154 university women student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171 housewives. The researcher developed questionnaires were mailed to the sample teachers to response and data were return mailed. The questionnaires for the university students were directly administered by the specially trained 5 interviewers, and the questionnaires for the housewives were collected through their daughters in the high school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ile, t-test, statistic techniques utilizing the HP 3000 computer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significant level of the statistics was 0.05 leve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Home economics education has inaugurated from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lead by the American missionaries and the programs have continuously developed in skill development approach. 2. High school home economics subjects have remained as a part of the vocational and home economics subjects up to date. 3. Home economics subjects are revised 5 times and the contents of the consumer economy and carreer guidance are emphasized in the 5th National Curriculum compare to the last National Curricolum. 4. The home economics subjects are taught for both sexes in the all foreign countries studied. 5. The statements of the goals of the home economics cours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were judged as adequate by the all three groups. 6. The contents which are closely related in the practical home life such as human body and nutrition, child development, delivery and child care are the responded at most frequencies for a needed contents. 7. The contents in legislation and administrative regulations in real life situation, operations and trouble shooting of the electrical home appliances, flower gardening, bird feeding are needed to include in the home economic curriculum. 8. The ideal adequate ratio of the theory and practice for the home economics course evaluation is 70:30 since the facilities and equipments in the high schools are considered as relatively poor and shortage of budget in addition. 9. Choice of the textbooks are in the adequate process in considering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contents. 10. The needed subjects for the teacher education were family relation, child development, nutrition, foods and cooking, nutrition and phisiology, principle in cloth structure. cloth materials, Korean costume, cloth history. 11. The home economics teachers in the high schools were satisfied in their occupation as a high school teacher, however they are less satisfied as a home economic teacher compare to the high school teacher prof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