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4 Download: 0

소그룹 토의학습을 중심으로 한 성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소그룹 토의학습을 중심으로 한 성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주연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Keywords
소그룹토의학습성교육프로그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Due to the development of food consumption pattern, nutrition conditions and mass media, the sexual maturation of teenagers (adolescents) is getting faster. So teachers and students feel the necessity of sex education urgently. But most students, who experienced sex education, expressed tha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it. And most teachers do not implement the sex education properly due to the ignorance of not the curriculum content and teaching method.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sex education program using video and small group discussion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i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to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be useful to teacher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wo class 64 students of the first grade of girls middle school. The experiment period is for three weeks from April 6th, 1998 to April 25th, 1998. The comparison group has four class hours sex education by lecturing, while the experiment group has four class hour by lecturing and 6 class hour sex education by small group discussion. The data of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experiment group were treated by paired t-test.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After experiment, the knowledge of sex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small group discussion is more effective than lecturing in improving knowledge of sex. 2. After experiment, the attitude toward sex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small group discussion is more effective than lecturing in guiding positive attitude toward sex. 3. Experiment group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experiment and after experiment in improving knowledge of sex. 4. Experiment group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experiment and after experiment in guiding positive attitude toward sex. 5. Comparison group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experiment and after experiment in improving knowledge of sex. 6. Comparison group does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experiment and after experiment in attitude toward sex. The suggestion for future study is as follows : The future study for 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for increased period of study using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 is proposed.;최근 식생활, 영양상태,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청소년들의 성적 성숙도가 점점 빨라짐에 따라 학생들과 교사들은 성교육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다. 그러나 실제 성교육을 받아본 학생들은 성교육에 대해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며, 교사들은 지도할 내용과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부족으로 성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나라 중학생에게 적합하며 일선 가정과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비디오를 이용한 소그룹 토의학습 성교육 프로그램을 중학교 학생들에게 실시하여 성교육 효과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여자중학교 1학년 2학급을 대상으로 1998년 4월 7일부터 4월 25일 까지 3주 동안 비교집단은 성교육을 가정과 수업시간에 강의식으로 4차시, 실험 집단은 강의식 수업 4차시 외에 소그룹 토의학습 프로그램을 6차시 실시하였다. 비교집단, 실험집단에 대하여 paired t-test를 하여 각 집단의 성지식과 성태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교육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의 성지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어 소그룹 토의학습 프로그램이 성지식을 향상시키는 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교육 후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의 요인별 성지식 차이 정도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은 생리 현상, 남녀 생식기, 자위행위에 대해 더 잘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성교육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의 성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어 소그룹 토의학습 프로그램이 성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교육 후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의 요인별 성태도 차이 정도를 알아 본 결과, 실험집단은 성문제, 심리적 변화에 대해 더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실험집단은 성교육 전과 성교육 후 성지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의 성교육 전·후 요인별 성지식 변화 정도를 알아본 결과 생리 현상, 자위행위, 성관계·출산, 남녀 생식기, 월경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실험집단은 성교육 전과 성교육 후 성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의 성교육 전·후 요인별 성태도 변화 정도를 알아본 결과 성윤리, 순결, 성문제, 심리적 변화, 임신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비교집단은 성교육 전과 성교육 후 성지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집단의 성교육 전·후 요인별 성지식 변화 정도를 알아본 결과 생리 현상, 자위행위, 성관계·출산, 심리적 변화, 월경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비교집단은 성교육 전과 성교육 후 성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집단의 성교육 전·후 요인별 성태도 변화 정도를 알아본 결과 성윤리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가져오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의 연구는 남자 중학생이나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성에 관한 지식과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기에 충분한 교육기간에 다양한 교육방법을 이용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개발·시행될 것을 제안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