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선-
dc.creator김정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8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7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0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70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porpurses to analyse the various elements which affect the self-esteem of the youth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and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and the self esteem of the chil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300 first and second yea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35 were collected. 226 persons were final subjects of the study with a 71% return. The Barnes and Olson (1982) model of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PAC) was utilized in order to evaluate the communication level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Rosenberg (1965)'s Self-Esteem Scale (SES) measured the self-esteem level in conjunction with the communication level. The pilot test conducted before this study resulted in a .92 in cronbach's α for the level of communication among adolescents and their mothers and the self-esteem measurements showed an .84 level. The methodology further analyzed frequency percentage, t-tests. F-tests, deviations through SA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It shows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hild and mother during the adolescents tends to have mostly open personalities with less problems, or closed personalities with many problems; the tendency to the contrary is relatively very little. 2. The communication level showed variability depending on the socio-population factors such as the youth's age, rank in birth and the absence of religion. The youth of 15 age has a larger penchant to be closed minded. The 16 year old were more open or were problem. The 17 year old were open and less susceptible to problems. Depending on the birth rank of the child, the first child had a tendency to be more open with less problems or closed with problems, ranging the full spectrum of the test. While the middle child or last child showed a tendency to be open with less problems. The religious youth showed a tendency to be open with less problems than those who did not have an outspoken religion. 3. The social factors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suring self-esteem were grades at school and sex. The male students with average grades showed higher levels of self-esteem than female students and the students with advanced grades showed higher levels of self-esteem than the students with average and low grades. 4. In terms of the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the students opened with less problems showed higher self-esteem than the students closed with many problems. Consequently, the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in high school relates to self-esteem.;본 연구는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을 파악하고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특별시내에 소재한 남녀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300명으로 질문지를 배포하여 235명의 질문지를 회수하고, 그 중 226으로 부터의 응답을 본 연구의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회수율 71%)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을 측정하기 위하여 Barnes와 Olson(1982)이 제작한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PAC)을,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Rosenberg(1965)의 Self-Esteem Scale(SES)을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본 조사에 앞서 예비조사를 통해서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청소년의 의사소통 척도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척도의 Cronbach's α는 .92, .84로 나타났다. 자료분석은 빈도, 백분율, 교차분석, t-검증, F-검증, 분산분석을 SA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은 대부분이 개방적이면서 문제성이 적거나, 폐쇄적이면서 문제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개방적이면서 문제성이 많거나, 폐쇄적이면서 문제성이 적은 성향은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에 있어서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청소년의 연령, 청소년의 출생순위, 청소년의 종교유무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연령이 15세인 경우는 주로 폐쇄적이며 문제성이 많고, 16세는 개방적이며 문제성이 적거나, 폐쇄적이고 문제성이 많으며, 17세는 개방적이고 문제성이 적은 성향을 보였다. 청소년의 출생순위에 있어서 맏이는 주로 개방적이며 문제성이 적거나, 폐쇄적이며 문제성이 많고, 중간이나 막내는 대부분 개방적이며 문제성이 적은 성향을 보였다. 종교가 있는 경우는 주로 개방적이며 문제성이 적었고, 종교가 없는 경우는 주로 폐쇄적이며 문제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인구학적변인 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청소년의 성별과 학업성적이었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아존중감이 더 높았고, 학업성적이 보통이거나 저조한 집단보다 우수한 집단의 자아존중감이 더 높았다. 넷째, 청소년의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폐쇄적이면서 문제성이 많은 집단보다 개방적이면서 문제성이 적은 집단의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와 고등학생 자녀간의 의사소통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및 모형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의사소통 = 5 1. 의사소통의 개념 = 5 2.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 = 7 3.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 10 B. 자아존중감 = 11 1. 자아존중감의 개념 = 11 2. 자아존중감의 발달 = 13 3.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자아존중감 = 16 C.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 17 Ⅲ. 연구방법 = 22 A. 연구대상 = 22 B. 측정도구 = 24 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 24 2. 자아존중감 = 25 C. 연구절차 = 26 D. 자료분석 = 26 Ⅳ. 결과 및 해석 = 27 A. 청소년의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유형 = 27 B.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청소년의 모-자녀간 의사소통 = 28 C.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 30 D. 청소년의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 32 Ⅴ. 논의 및 결론 = 34 참고문헌 = 39 질문지 = 45 ABSTRACT =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774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어머니-
dc.subject고등학생-
dc.subject의사소통-
dc.subject자아존중감-
dc.title어머니와 고등학생 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Mother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s on Self Esteem-
dc.format.pagevii, 5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