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0 Download: 0

우리나라 가정학의 당면 문제점과 그 역사적ㆍ철학적 배경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우리나라 가정학의 당면 문제점과 그 역사적ㆍ철학적 배경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fronting Problems of Home Economics in Korea and Its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Causing Background
Authors
김항아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Keywords
가정학Home Economics배경요인문제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onfronting problems in home economics and its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causing background, and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 for home economic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Not many studies had proposed the future direction for home economics due to the lack of philosophical studies on the question, superficial approaches to the causing background of the problems. This study, therefore, hope to help home economics overcoming its chaotic situation, and to establish academic characteristic through a philosophical study. The research question were addressed with tight logical consistency : 1. What are significant problems which home economics had confronted, and the consequences of those problems ? 2. What are the causes of the problem ? 3. What should be the nature of home economics to be able to overcome the confronting problems and what can be proposed for the future home economics ? Each research question was addressed by analyzing articles of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these in home economics, philosophical studies in the fiel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uch problems as the ambiguity of research object and of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specialization in the field, and the lack of philosophical research. And they led to the loss of the uniqueness as one of the academic field focusing on home and family. Moreover each problems brought chaos into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and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education. 2. The philosophical causing backgrounds of present problems are western ideas such as Pragmatism, Positivism, Social Darwinism and special Korean ideas such as Confucian tradition, Practical Science movement at the 19th century, and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from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These backgrounds have distorted home economics to be technical science oriented along with influencing historical situation. 3. To solve these problems academic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must be re-established as practical science and as profession. To overcome these problems, followings are proposed for the future of home economics and home economic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 (1) First, for the future of home economics, it needs to recover the unity as one academic field with its focus in family overcoming by fragmentation and specialization trend in the field. Secondly, philosophical and historical studies must be carried on for the unity of all the specialized field in home economics. Thirdly, home economics must try to re-establish and exercise its academic characteristics as practical science and as profession. (2)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firstly, it should not be the instrument for ideologies of powerful social systems. And teacher education for home economics teachers must include principles of home economics and philosophy and history of home economics to enable teachers to achieve purposes of home economics. Secondly, its education contents should be composed of practical ones beyond technical ones.;본 연구는 가정학의 당면문제와 그 역사적, 철학적 배경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가정학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가정학의 당면문제점과 배경요인에 대한 규명은 현재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통하여 혼돈상태에 놓여있는 가정학과 가정과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제까지 이루어진 가정학의 연구들을 보면 이와같은 주제를 다루는 철학적 연구가 경험적 연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비한 상태이며, 가정학의 당면문제와 방향제시에 관한 몇몇 연구를 보더라도 그 배경요인에 대한 분석이 부족됨으로써 문제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통한 해결책의 모색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혼돈상태에 놓여있는 가정학과 이를 모학문으로하는 가정과 교육이 제위치를 찾도록 돕고, 이제까지 부족되었던 가정학의 철학적 연구를 시도함으로써 학문적 체계를 확립한다는데 의의를 두었다. 본 연구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가정학이 당면하고 있는 심각한 문제와 그 파급효과는 무엇인가? 2. 가정학의 당면 문제점을 야기시킨 배경요인은 무엇인가 ? 3. 가정학의 당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가정학의 학문적 성격은 어떻게 정의될 수 있으며, 이에 근거해 볼 때 가정학 발달의 바람직한 방향은 무엇인가 ? 각각의 연구주제들은 가정학회지, 학위 및 연구논문과 가정학의 철학적 배경과 관련된 문헌들에 대한 분석적 연구를 바탕으로 다루었으며, 연구의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의 모호성, 학문적 성격의 모호성, 연구방법의 제한성과 같은 가정학의 당면문제점들은 가정학의 세분화, 전문화 경향과 철학적 연구의 부족을 초래하였고, '가정'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학문으로서 독자성을 상실하게 하였다. 더우기 각각의 문제점들은 결과적으로 가정학 및 중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방향에 혼돈을 가져왔다. 2. 당면 문제점들의 철학적 배경요인으로는 실용주의, 실증주의, 사회적 다윈주의와 같은 서구의 이념과 유교적 전통, 실학사상, 근대화와 산업화의 영향 등 우리나라의 사상적 특수성을 들 수 있다. 이와같은 배경요인들은 당시의 역사적인 상황과 결부됨으로써 가정학을 기술과학의 측면으로 왜곡시켰다. 3. 당면문제점들의 극복을 위해서는 실천과학이자 전문분야로서 가정학의 학문적 성격을 확립하고, 이에 근거하여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여야 한다. 문제의 극복을 위하여 가정학 및 중등학교 가정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미래 가정학은 첫째로, 지나친 세분화와 전문화 경향에서 탈피하여 가정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학문영역으로서 통일성을 회복하여야 한다. 둘째로, 가정학의 각 영역이 공통성을 가지고, 하나의 맥락에서 이해되기 위하여 먼저 그 기초가 되는 가정학의 역사적, 철학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로, 가정학은 실천과학및 전문분야로서 본래의 학문적 성격을 표방하는 것을 넘어서 이러한 학문적 성격을 관철해 나가야 한다. (2) 중등학교 가정과 교육은 첫째로, 가정과 교육은 지배체제의 이데올로기를 확산시키기위한 도구가 되어서는 안되며, 본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로, 가정과 교육은 기술과학적인 내용 중심에서 탈피하여 실천적인 내용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