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고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Title
고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Other Titles
(The) Comparative Survey o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the High School : Focus on the 5th & 6th Curriculum
Authors
김혜정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Keywords
고등학교체육과 교육과정5차 교육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종선
Abstract
This survey is aimed at offer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developing the reasonabl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making it effective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curriculum and the 6th one which is going to take effect. The emphases of this survey are layed on analyzing the basic constituent system of curriculum, the goal of the physical education, the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s, the units of the phys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In the constituent system of both the 5th and 6th curriculum, through decentralization of the charge of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each region and each student's aptitude. 2. In the 6th curriculum, the domain "character" is presented. In this domain, the educational characters which our nation points to, such as the characters, the importance, & emphasizing points of each subjects, are described clearly. 3. The goals of the physical education are changed to participating the every sports game and enabling students to enjoy it every day. And the cognitive domain of Bloom's standard of Taxonomy of Education Objects is emphasized. So the physical education is led to be more scientific. 4. The units of the physical education are made of the 8 units in 'Physical education Ⅰ', and the 6 units in 'Physical education Ⅱ'. In the physical education Ⅱ, the physical education can join the extra curriculum and the units can be added or lessened by the two units with the regard of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each region. 5. The contents of physical exercises are stated as the goal concepts according to the kinds of sports. And through the practical training, the capacity for sports, the basic scientific knowledge of sports, and the desirable attitude are raised. The ways of stating the goals like 'to understand ∼', 'to do ∼', 'to improve ∼' lead students to develop the creative quality and methods. And also they lead students to be very active. 6. The guide items are subdivided. So they are used effectively. The physical education Ⅱ has the methods of completing the regular courses, intensifying the preparation exercises, and teaching the special students. 7. The evaluation items in physical education I are expressed like this : the rate of evaluating the capacity for sports is 70%, and the knowledge about physical education is evaluated once a term. To accumulate the evaluating of each student's attitude can be reflected in the total evaluation.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evaluate each student quantatively and qualitively.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approach of physical education is getting more and more important.;교육과정은 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관건으로 교육의 목표에서 부터 내용의 선정과 조직 방법 및 평가에 이르기 까지 교육의 과정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교육과정의 개편 운동은 범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고 우리나라의 교육과정도 학습자의 요구와 사회의 요구 및 민주주의 이념에 기초를 두고 교수요목 시기 이후 5차례나 바뀌었다. 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학교체육은 교육과정의 변천속에서 계속적으로 지.덕.체가 조화를 이루고 전인적인 인간을 육성하는데에 일반적인 목표를 두고 있다. 또한 여러가지 운동을 통하여 기능과 체력을 단련하고 운동과 건전생활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며 바람직한 사회적 태도를 기르게 하므로 체육이 교육의 한 분야로 교육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인, 5차 교육과정과 1955년 부터 실시될 6차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체육과 교육과정의 합리적인 개발과 체육학습의 효율화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내용 및 방법으로는 제 5. 6 차 교육과정의 기본 체제와 체육과 목표, 지도내용, 체육과 배당시수, 평가로 체육과 목표는 Bloom의 목표 분류 기준에 의해 분석하고 제 5 . 6차 교육과정의 기본체제와 체육과 배당 시수, 지도내용 및 평가의 내용을 비교 분석 고찰하는 내용 분석법으로 하였다. 이와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인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제 5. 6차 교육과정의 구성체제에서는 편성과 운영의 역할 담당이 전적으로 교육부가 주관하다가 교육부, 시.도 교육청. 학교로 분권화 이루어져 운영면에 효율화와 지역의 특수성 및 학생의 적성을 고려할수 있도록 전면 개편되었다. 이 가운데 특징으로 볼 수 있는것은 '성격'이라는 영역을 개정안에서 제시하여 국가 수준 교육의 성격을 명확하게 명시하였다. 구성 방침에서는 문장 서술에서 목표, 내용, 방법, 운영에 걸쳐 체계있게 구분제시 하였다. 교육과정의 각론에서도 5차 때보다 체계적이고 일관성있게 구체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제 5. 6차 체육과 목표에서는 5차 교육과정의 목표를 계속적으로 추구하고 있으며 현행 개정안에서 운동기능과 체력을 경기를 통해 육성하는 반면 개정안에서는 운동기능과 체력을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하여 스포오츠의 생활화를 제시 하였다. Bloom의 목표 분류 기준에 의해 분류해본 결과 5, 6차의 목표 모두 정의적, 운동적, 지적 영역 순으로 용어의 진술이 나타났고 지적인 영역인 면에 더욱 강조되어 과학적인 체육방향으로 더 접근되어야 한다. 체육과 단위 배당 시수에서는 현행 공통필수 6단위, 선택 8단위로 14단위 이수에서 개정안에서는 체육Ⅰ은 8단위, 체육Ⅱ는 6단위로 14단위 이수 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체육Ⅱ를 특별활동과 연결시켜 실시하는 점과 지역의 특수성에 따라 학교장의 권한으로 2단위 증감할 수 있는 조항과 선택과목의 이수단위에 대한 법적 구속력이 없고 학교장에 일임되는 사항이 입시위주의 교육에서 체육이 14단위가 이수될지 의문이다. 체육과 지도 내용에서 두드러지게 개정된것은 현행안에서는 교과과정을 심동적 (9개 영역), 인지적(2개 영역), 정의적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나 개정안에서는 운동 영역별로(11개 종목) 목표 개념의 체계로 전환하며 실기이론을 따로 하던 비합리적인 방법에서 실기 수업을 통해 운동 기능과 과학적 기초 지식과 바람직한 태도를 육성하도록 하였다. 내용 표현에 있어서도 ' - 익히기 '에서 ' - 이해하기, - 하기, - 기르기 '로 진술하여 학생의 창의성과 방법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적극적인 자세를 형성할 수 있게 농동적인 표현으로 제시하였다. 지도 및 평가상의 유의점에서 지도의 항목이 6개 항목에서 11개 항목으로 학습지도의 전반적인 사항을 세분화하여 학습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지도할수 있도록 명시하였다. 체육Ⅱ의 이수방법과 준비, 정리운동의 강화 및 특수학생에 대한 지도 계획 수립은 6차 개정안의 특징이라 할수 있다. 평가에서도 4개 항목에서 7개 항목으로 현행 교육과정에세 각 영역을 균형있게 평가하도록 일반적 내용으로 명시한데 비해 개정안에서는 체육Ⅰ인 경우 운동기능평가 비율을 70% 배정하고 지식 평가는 학기별 이론 시험을 보도록 하였다. 특히 현행 교육과정에서 태도 평가에 관한 내용을 제시하지 못한 점에 비해 개정안에서는 태도평가를 누가적인 관찰, 기록한 것을 총괄평가에 반영하도록 하였다. 특히 지금까지 양적 평가(빈도수, 기록 측정) 위주로 평가 해오던것에 개정안에서는 질적인 평가(운동 분석적 방법)도 병행실시 하도록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체육의 방향으로 나갈 수 있도록 전환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