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9 Download: 0

현행 미술대학 입시제도에 관한 연구

Title
현행 미술대학 입시제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On the recent system of entrance examination for fine art college
Authors
丁順姬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미술대학입시제도미술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용길
Abstract
The most important issue of guality of our education is to be said to improve its conditions. However it isn't enough to improve one of systems for many problems scatlered all over For the guality of education, it will beg concrete solution to improve our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his thesis wi 11 point out recent system of entrance examination for art college and problems through its history of changes and comparison with other nations concerning the nature of fine art and will enlighten the ultimate abject of art education. Though our education of fine arts has a short history, today the system of entrance examination for art college is in important position and has been opened to the charge of being contrary to the nature of art education. Many problems remaind unsolved regardless of many changes. The interruption of tradition and indiscreet copying from japan resulted by japanese colonization in 1910 could be said the first cause which brought so many problems and bended our start of modern education. Notwithstanting art circle is not the only effected one but we can easily see how the effect was big by the fact that a plaster bust dessin has been a main event in entrance examination from the establishment of art college and so far. Another Problems has been caused by the fact that Koreans are very eager to be educated and educate their children because to be highly educate has been regarded as the same meaning with rich and high class life personaly and main stream for evolution of economy and culture, nationaly. This social phenomenon resulted shortage of opportunity for college education and over-heated competition. Consequently, it has been needed to degrade fine arts to a simple means of technical test which emphasis on objectivity and confidence. The last problem is that though our examination system for college entrance had had many changes to solve social and educational problem caused by over heated competition ,art college had never been recognized their dwn special conditions and only changed along other systems. Every contry has developped their own system. It could be said that there are little difference in ultimate object of art education-manifestation of aesthetic value through creative power of expression. It would be pretty helpful to compare our system with other nations for better change of examination system for art college. the first difference between our system and others is that each university has his own entrance system. It is not government but the university that manages his own colleges. This has very important meaning for the cultivation of human power of various arts needed by every class of society. Second, their systems are more kind to the students and more fair for it is possible to apply severalcolleges at the same time, and for all through the year(U.S.A) , or for one month(Japan). Third, their universities are relatively easy go enter for thrir's small gap of salaries between educated people and non-educated people so the competition isn't over heated .Forth, many countries have complex system with several courses-writing, etelier and oral test are general and atelier tests are various. There somtimes needes to set up a office, inquiry and council for that. Fifth, art colleges in other nations emphasis on atelier work than scholastic ability. sixth, it makes easy to evaluate students from various points of view diverse ways of test which have little restriction on time ,materials and process. This strongly contrasts with our system that presents limited time and requires descriptive ability first portfolios are required almost in every country as the first judgment. It is hard to say what is fine arts, however we can call it as "stairting new world through original correspondance between man this world", that is to say, 'creation'. Fine arts are visual art and fruit of visual dontemplation. Art works are born into reality by concrete way of creation which play a special role of aesthetic object of intuition. Its functional originality produces aesthetic experience which could becom aesthetic value. Usually the creative action of concrete art work is misunderstood as a technic, but technic itself is not enough to be a art work. It is just when the technic served arts that the technic becomes a "creation".When this nature of art is overlooked, art education is falls down to technical education. The education system of fine art college has important meaning as a main selection for education and so this must be educated along with nature of fine art. As aconclution, I believe our examination system must be changed and my suggestion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 of fine art in university must be clarified. It is to be an education of artists who can cope wi th time and epoch and the changes around art circle with their own creativeness and skills. Second, universities must have their autonomous rights and select their own students. Third, educational side of fine arts must be considered. Forth, the importance of atelier work must be enlarged. Fifth, it is needed to reduce restriction of time and to change ways of atelier tests into various style, regardless of difficulties. Sixth, mental evolution must be achieved prior to change of systems. All the above is to be deeply studied and planned with a broad view constantly.;교육의 질적 발전을 위해 제반 조건을 개선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물론 하나의 제도를 개선한다고 해서 산재한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겠지만, 우리나라 교육의 모순이 집약되었다 할 수 있는 입시제도를 개선하는 것은 교육의 질적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으로써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본다. 따라서 본논문은 우리나라 현행 미술대학 입시제도의 문제점을 그동안의 변천과정을 통해 알아보고 외국과의 비교연구를 함과 동시에 나타난 문제점을 미술의 본질과 연관시키면서 앞으로의 지향점을 밝히려는데 목적을 둔다. 미술교육의 짧은 역사 속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게 된 현행 미술대학 입시제도는 많은 점에서 미술교육의 본질에서 벗어나 있다는 비난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변화는 해왔으되 그 문제점은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원인으로 먼저 1910년 한일합방을 전후로 한 일본의 식민통치로 인한 전통의 단절과 일본학제의 무분별한 모방이라는 굴절된 근대교육의 출발을 들 수 있다. 식민통치의 영향은 비단 미술계에 국한된 문제는 아니지만 대학에 미술과가 설립된 초창기 부터 지금까지 석고소묘가 계속 시험과목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그 영향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두번째로 우리나라는 유난히 교육열이 높은 나라로서 이는 대학교육을 통해 개인적으로는 경제적, 신분적 상승을 국가사회적으로는 경제문화발전의 근간을 이룬다는 생각에서 비롯된다. 이에 따라 대학교육의 수요과다, 입시의 과다경쟁이 빚어지고 이로써 미술대학입시제도는 행정편의 혹은 입시부정의 방지차원에서 개관성과 신뢰성에 더욱 중점을 둠으로써 미술을 기술적인 능력평가로 전락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 원인으로는 우리나라 입시제도는 앞서의 과다경쟁으로 인한 사회·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크고 작은 변화를 겪어왔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미술대학 입시제도는 미술교육이 지닌 특수성을 인정받지 못한채 일반 입시제도와 변천을 함께 하고 있다는 점이다. 각나라는 그들만의 독특한 미술대학 입시제도를 발달시켜 왔으나 미술교육의 궁극적인 목표, 즉 창조적 표현능력을 통한 미적 세계의 발현이라는 교육목표면에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우리나라와 다른나라의 미술대학 입시제도를 비교해 봄으로써 미술대학 입시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외국의 미술대학 입시제도를 살펴본 결과 우리와 다른 점은 첫째, 대부분의 나라에서 미술대학 입시제도에 관한 업무는 정부 행정기관이 아닌 각 대학에서 주관하고 있기 때문에 각 학교마다 독특한 입시제도가 발달하였다는 점이다. 이로써 사회각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미술전문인력을 길러낼 수 있는 전초작업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둘째, 대학지원자가 여러개의 대학을 동시에 지원하거나, 연중지원 가능하며(미국), 1개월 동안 대학별로 치르는 여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일본)등 복수지원이 가능하여 나름대로 좀더 공정하고 학생을 위한 입시제도를 모색하고 있다. 셋째, 우리나라만큼 입시경쟁이 치열하지 않고 학력에 따른 임금격차가 크지 않은 사회적 배경을 전제로 한다는 점을 차치하고서라도 대학의 문호가 상당히 개방적인 편이다. 네째, 대부분의 나라가 여러단계의 복잡한 절차를 통해 학생을 선발한다. 서류전형, 필기, 실기 및 구두시험의 세가지 절차가 일반적이며 필기및 실기시험도 여러단계로 치루어진다. 이를 위해 입학담당 사무국 및 자문, 심의기구를 두기도 한다. 다섯째, 외국의 미술대학들은 학력 보다는 실기에 보다 큰 비중을 두고 있다. 다섯째, 외국의 미술대학들은 학력보다는 실기에 보다 큰 비중을 두고 있다. 여섯째, 시간상의 제약이 적고 재료및 방법상에서 제한이 적은 다양한 내용의 실기시험을 치룸으로써 여러각도에서 학생의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은 거의 모든 학교가 짧은 시간 안에 사실적 묘사력 위주의 비슷한 방식으로 시험을 치루는 우리나라와 커다란 대조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거의 모든 나라에서 포트폴리오심사를 기본으로 하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예술이란 정의내리기 어렵지만 그럼에도 "인간과 세계의 근원적 교섭을 통한 새로운 세계의 개시"라고 정의를 내릴 수 있고 그것을 우리는 '창조'라 할 수 있다. 미술은 시각성의 예술이며 시각적 사고의 소산으로써 미술작품은 창조라는 구체적 행위를 통해서 실현된다. 그럼으로써 미술작품은 미적 관조의 대상으로써의 특수한 기능을 하게 되며, 그 기능적 고유성은 미적 경험을 유발하고 그것을 미적 가치라고 할 수 있다. 미술작품을 만드는 구체적인 활동 즉 창조행위는 흔히 기술로 오해되는 수가 있으나 기술 그 자체는 미술작품이 될 수 없으며 다만 기술이 예술이 공헌함으로써 비로소 기술은 '창조성'으로 실현된다. 미술의 이러한 본질적 측면을 간과할 때 미술교육은 기능교육으로 전락하는 것이다. 미술대학 입시제도는 미술교육분야의 주된 교육선발로써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그렇기 때문에 미술의 이러한 본질을 실현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실현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써 앞으로 미술대학 입시제도가 개선되어 나아갈 지향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숙련성이 겸비된 창의력을 바탕으로 예술계 안팎의 변화와 시대의 흐름에 대응하는 예술가의 양성이라는 대학미술 교육의 목표를 명확히 해야 한다. 둘째, 대학의 자율성이 실현되어 학생선발권을 회복해야 한다. 셋째, 미술의 교육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넷째, 실기시험의 비중이 확대되어야 한다. 다섯째, 실기시험의 내용이 여러가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다각도로 변모되어야 하며 시간상의 제약을 줄어야 한다. 여섯째, 제도상의 변화에 앞서 의식개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모든 상황들은 장기간의 안목으로 지속적으로, 심도깊게 연구되고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