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용-
dc.contributor.author조성미-
dc.creator조성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6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3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6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302-
dc.description.abstract의사실기(疑寫實期)는 사실적 그림의 극치를 이루는 시기로 대상을 객관적이며 사실적으로 표현하려는 경향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사실적인 미술표현을 통하여 학습능력과 비교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디너프(F. Goodenough), 피아제(J. Piajet) 등의 미술 표현과 학습능력간의 상관 관계 이론에 기반을 두고 서울시내 국민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대상 묘사력과 학습능력과의 상관성에 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국민학교 5·6학년이 그린 "꽃과 과일이 있는 정물"이란 주제의 연필화와 학력 평가표에 의한 성적을 종합한 결과들간의 상호관련성을 조사해 보는 것이다. 또한 대상 묘사력을 관점별로 비례, 화면 구성, 형태, 양감, 세부 묘사, 공간 표현으로 세분화하여 학습능력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에서 사용된 도구는 참고문헌, 국민학교 5·6학년 연필화, 1993년 1학기 전과목 학력평가표 등이다. 대상은 서울 시내 강서지역에 위치한 양동국민학교와 강북지역의 창서국민학교를 목적 표출하여 5·6학년 남·여 어린이 각각 250명씩 500명을 표집하였다. 자료처리는 연필화를 분석 관점별로 평가하고 비교하여 백분율과 Chi Square(x^(2)) 분석 방법으로 유의도를 검증하고 GAMMA 값을 구했다.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묘사력과 학습능력과는 .79로 아주 높은 상관성을 지니고 있어 그 타당성을 일반적으로 객관화될 수 있다. 결국 학습 능력이 우수한 어린이일수록 전체적인 맥락을 살펴볼 수 있는 대상 묘사력에 있어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반면, 학습 능력이 좋지 않은 어린이가 대상 묘사력에 있어서도 하위권에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2. 화지 방향과 학습능력과는 .37로 약간의 상관성을 형성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세로로 사용한 어린이가 많았으나 학습 능력과 비교해 볼 때 세로에서는 거의 고른 분포를 이루고 있고 가로에 상위권이 밀집된 현상이 나타났다. 화지 방향이 세로로 사용한 경우가 많은 이유는 화면 구성상 화병과 꽃의 비례를 생각해서 화지 방향을 선택한 것으로 여겨지며 가로의 상위권이 밀집된 현상은 사물에 따른 비례와 배치 그리고 공간 표현이 영향을 미친 결과라고 볼 수 있다.;Pseudo-realistic period is the extreme of the realistic paintings. It can be compared with learning ability in the aspect of a trend which describes the objects as the objective and real stuffs, and similar image the real one. This study is desired to make the relativity between descriptive ability and learning ability more objective and to aid the teachers or the parents in understanding the true meaning of the art teaching.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relates with each other among the synthetic results by two codes - the pencil works titled "still life with the flowers and the fruits", drawn by the 5th and 6th-grade-elementry schoolers, and their grade chart. This study also compared descriptive ability with learning ability, to fraction it, such as ratio, screen composition, style, feeling of quantity, detail description, and spatial expression. The references, the pencil works - drawn by the 5th and 6th-grade-elementry schoolers - and the grade chart in the 1st semester in 1993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chosen models were 500 boys and girls in the 5th and 6 the grades, after Chang-seo elementry school in the north side of Han River, and Yang-dong elementary school in the west side. To deal with those data, it was needed to analyze the pencil works, to evaluate and compare according to the viewpoints, so to prove a similarity using the percent and Chi Square(x2) analysis method, and to get a Gammavalue. To make a synthe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high percent(79%) of the relativity gives objectivity to descriptive ability and learning ability.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childrens inferior in learning ability(especially including panoptic views) are the majority in the low level, whereas those superior in the high. 2. There is a kind of relativity(37%) in canvas direction and learning ability. While the major children used their canvas vertically, with respect to learning ability, the majority of the superior was concentrated o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reas spread in the vertical, The former can be explained like this; it was caused to put a vase and a flower in the screen why they selected to use their canvas vertically, and the latter, resulted from ratio, composition, and spatial expr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와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1 C. 연구의 내용 = 2 D. 연구의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미술 교육의 특성 = 4 B. 국민학교 미술과 교육 목표 = 5 C. 아동화의 발달과 묘화의 특성 = 9 D. 아동화와 인지 능력 = 16 Ⅲ. 학습능력과 묘사력에 대한 분석 = 21 A. 학습 능력 분석 = 21 B. 묘사력 분석 = 28 Ⅳ. 결론 = 60 참고문헌 = 65 부록 = 67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760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대상묘사력-
dc.subject학습능력-
dc.subject서울시내-
dc.subject국민학교-
dc.subject.ddc700-
dc.title대상묘사력과 학습능력과의 상관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내 국민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vity between descriptive ability and learning ability : focused on the groups of the 5th and 6th grades in the elementary school-
dc.format.page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9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