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문화-
dc.creator백문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8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8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3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83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s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bond between grandmother and grandchild, the cohesion between childen in adolescent and parents on adolescent's ego identity. A sample of 313 adolescents in 1st and 2nd grades attending high school in Seoul,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grandmothers and parents. Suh's ego identity scale, Park's scale on bonds with grandmother and Kim's scale on cohesion with parents were used. The data of this study were analysed by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α for reliabilit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A level of adolesent's ego identity was moderate on the whole. The degree of cohesion between children in adolescent and parents is high. The adolescence perceived a higher degree of cohesion with their mothers than that with fathers. The degree of intimacy between children in adolescent and grandmother is high. 2. Girls in adolescence perceived higher degrees of cohesion with their mothers than did boys. Coresidence with grandmothe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onds between grandchildren and grandmother. 3. Adolescent's ego identity was associted with cohesion with parent. 4. The research also shows that adolescent's ego identity was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grandchild and grandmother. Namely, the higher intimacy degree with grandmother, the higher a level of ego identity. 5, close bonds between grandchildren and their grandmothers were determined by the parent's being perceived as close to their parents. 6. The important factors on ego identity of the adolescence who were living with their grandmothers were the degree cohesion with father, grandmother-parent relationships, the degree cohesion with mother, and occupational status of mother. For those who were not living with grandmothers, the degree of cohesion with their mothers and the bonds with grandmother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adolescences ego identity.;본 논문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자녀간 응집도 및 조모와 손자녀 간의 친밀도를 밝히고, 사회인구학적 변인들 (연구대상자의 성, 연령, 부모의 교육수준, 직업, 모의 취업여부, 조모의 교육수준, 연령, 건강, 조모와의 동거여부, 지리적 거리, 접촉빈도) 에 따른 부모와의 응집도, 조모와의 친밀도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소재한 고등학교 1,2학년에 재학중인 남,여 학생 313 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부모 자녀 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순옥(1988)의 부모 자녀간의 응집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조모와 청소년기 손자녀의 친밀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박의순(1990)이 사용한 설문지를 근거로 하였으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해 서봉연(1975)의 자아정체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요인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s 적률상관분석, 단계별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α 를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수준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과 부모와의 응집도 수준에 있어서는 비교적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아버지와의 응집도보다 어머니와의 응집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과 조모와의 친밀도 수준은 비교적 높았다. 2. 성별에 따라 모와의 응집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학생들에게 있어서 모와의 응집도 수준이 더 높았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부와의 응집도, 조모와의 친밀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조모와의 동거여부에 따라 조모와의 친밀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조모와 동거하는 청소년들이 조모와의 친밀도를 더 높게 지각하였다. 그리고 부의 교육수준, 접촉빈도와 조모와의 친밀도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조모의 건강과 부와의 응집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부모와의 응집도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와의 응집도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수준이 높았다. 4. 조모의 역할은 조모와의 친밀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모와의 친밀도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간의 관계에 있어서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모와의 친밀도가 높을수록 자아정체감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5. 조모와의 친밀도와 조모 - 부모 관계에 있어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조모와 부모간의 관계의 질이 조모 - 손자녀간의 친밀한 정도에 영향을 미쳤다. 6. 조모와 동거하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가장 영향을 주는 변인은 부와의 응집도, 조모 - 부모 관계, 모와의 응집도, 모의 직업순으로 나타났다. 조모와 비동거하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모와의 응집도, 조모와의 친밀도 순으로 나타나,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동거및 비동거 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7 A.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부모 자녀간 응집도 = 7 B. 조모와 손자녀간의 친밀도 = 11 C. 자아정체감과 부모 및 조모와의 관계 = 17 Ⅲ. 연구방법 = 22 A. 연구 대상 = 22 B. 측정 도구 = 22 C. 자료 수집 = 27 D. 자료 분석 = 28 Ⅳ. 결과 및 해석 = 29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9 B.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부모와의 응집도, 조모와의 친밀도 = 35 C.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부모와의 응집도, 조모와의 친밀도 = 42 D. 부모와의 응집도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 47 E. 조모의 역할과 조모와의 친밀도 및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 49 F. 조모와의 친밀도와 조모 - 부모 관계 = 50 G.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 = 50 Ⅴ. 논의 및 결론 = 61 참고문헌 = 68 설문지 = 75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441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부모-
dc.subject조모-
dc.subject청소년-
dc.subject자아정체감-
dc.title부모 및 조모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s of the adolescent with parents and grandparents and their effect on ego identity-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