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숙자-
dc.contributor.author박해경-
dc.creator박해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8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0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2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061-
dc.description.abstract무용은 우리들의 사상이나 감정, 감각을 표현하고 미적 가치 판단을 나타내는 신체활동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무용을 통해 길러진 운동 요소들이 일상 생활을 영위해 나가는데 필요한 기초 작업능력인 체력 즉 기초 운동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무용에 의해 길러진 기초운동능력들을 측정을 통해 비교 분석한다. 이는 무용을 통한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강조하고 무용에 대한 이론적 재정립에 기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력, 윗몸일으키기, 제자리 멀리뛰기, 버피 테스트, 엎드려 몸 뒤로 젖히기, 스틱데스트등을 실시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기존 통계 프로그램인 SPSS틀 이용하여 연구에 맞도록 일원 변량 분석(one-way ANOVA)으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력에서는 무용 경험이 많을 수록 큰것으로 나타났다. 무용경험군 중 3년 이상의 경험군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기록을 나타냈으며, 무용경험군이 비경험군에 비해 월등히 높은 평균기록을 나타냈다.(p<.0001) 2. 근지구력에서는 무용경험이 많을수륵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경험군중 3년 이상의 경험군이 다를 집단에 비해 높은 기록을 보였으며, 무용 경험군이 비경험군에 비해 높은 평균 기록을 나타냈다. 3. 순발력에서는 무용 경험이 많을 수록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 경험군 중 3년이상의 경험군이 높은 기록을 보였으며, 무용 경험군이 비경험군에 비해 월등히 높은 평균 기록을 나타냈다.(p<.0001) 4. 민첩성에서는 무용 경험이 다소 많을 수록 뛰어 난것으로 나타났다. 무용 경험군 중 2년이상 3년이하의 경험군이 높은 기록을 보였으며, 무용 경험군이 비경험군에 비해 높은 평균 기록을 나타냈다.(p<.0001) 5. 유연성에서는 무용 경험이 많을수록 뛰어난것으로 나타났다. 무용경험군 중 3년 이상의 경험군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기록을 보였으며, 무용 경험군이 비경험군에 비해 월등히 높은 평균 기록을 나타냈다.(p<.0001) 6. 평형성에서는 무용 경험이 다소 많을 수륵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 경험군 중 2년이상 3년이하의 경험군이 높은 기록을 보였으며, 무용 경험군이 비경험군에 비해 높은 평균 기록을 나타냈다.(p<.0001);Dancing is physical exercises by which we can express our thought emotion, sense and judgement of aesthetic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basis of this fact to show how the movement elements developed through dancing have effects on the basic motor ability which are helpful to physical strength for ordinary life. The approaches to this study are to compare and to analyze the measured records for the basic movement factors developed through dancing. The objects of these approaches are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hysical exercises through scientific analysis, and to offer basic materials to theoretical reestablishment of dancing. To achieve these objects, Leg-strength, sit-up, Long jump, Burpee test, Trunk extension and stick test were practiced. The measured records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by one-way analysis of variant to fit the study using spss that is the existing statistic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or Muscular strength, the group which had more dancing experience showed greater physical strength. Among dancing-experienced groups, that of more than three years showed high records compared-with other groups, and the dancing-experienced group showed much higher average records. (p<.0001) 2. For Muscular endurance, the more dancing experience the group had, the greater staying power it showed. Among dancing-experienced groups, that of more than three years showed high records compared with other groups, and the dancing-experienced group showed high average records. 3. For Power, the more dancing experience the group had, the greater jumping power it showed. Among dancing-experienced groups, that of more than three years showed high records compared with other groups, and the dancing-experienced group showed much higher average records. (p<.0001) 4. For Agility, the group which had more or less much dancing experience showed better agility. Among dancing-experienced groups, that of two years or more and less than three years showed high records, and the dancing-experienced group showed high average records. (p<.0001) 5. For Flexibility, the more dancing experience the group had, the better flexibility it showed. Among dancing-experienced groups, that of more that three years showed high records compared with other groups, and the dancing-experienced group showed much higher average records. (p<.0001) 6. For Balance, the group which had more or less much dancing-experience showed better equilibrium. Among dancing-experienced groups, that of two years or more and less than three years showed high records, and the dancing-group showed high average records. (p<.0001)-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2 C. 연구의 제한점 = 3 D. 용어 해석 = 4 Ⅱ. 이론적 배경 = 7 A. 무용교육의 의의 = 7 B. 기초운동능력의 개념 = 9 Ⅲ. 연구방법 = 11 A. 연구설계 = 11 B. 연구대상 = 13 C. 측정기구 = 13 D. 측정항목 및 방법 = 14 E. 자료의 분석 = 17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18 A. 기초 운동 능력의 측정결과 = 18 B. 기초 운동 능력의 요인별 분석 및 고찰 = 20 Ⅴ. 결론 및 제언 = 33 참고문헌 = 35 ABSTRACT = 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36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무용-
dc.subject기초운동-
dc.subject근력-
dc.subject근지구력-
dc.subject순발력-
dc.subject민첩성-
dc.subject체육교육-
dc.subject.ddc700-
dc.title무용이 기초운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국민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Dancing on The Basic Motor Ability : Centering around the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dc.format.page4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