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아동의 무용학습과 자아개념 형성과의 관계

Title
아동의 무용학습과 자아개념 형성과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Dance Education and Self-Concept Formation
Authors
송민경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Keywords
아동무용학습자아개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종선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들이 스스로 움직임을 탐구해 보고 새로운 동작의 가능성을 개발해 보는 창의적 학습 과정을 통한 무용 학습이 아동의 자아개념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아동의 무용 학습이 자아개념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무용학습을 한 아동의 자아개념 형성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서울 서대문구 Y국민학교 3학년 아동 99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는 무용 학습을 7주간 21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실시하지 않았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실시하였다. 사전, 사후에 사용된 자아개념 검사는 정 원식에 의하여 표준화된 검사지로 총 100문항으로 구성 되어 있다. 실험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에 의한 소득점수의 평균차에 대한 t-test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용 학습을 한 아동집단이 하지않은 아동집단 보다 자아개념의 모든 척도에서 5% 와 1% 그리고 0.1%의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자신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는 자아평가 점수에서는 의의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무용 학습의 결과로 나타난 아동의 자아개념 형성은 성별 간에 있어서 남아가 여아 보다 도덕적 자아, 그리고 한 개인이 현재의 자기를 어떠한 존재로 지각하는지 알아 보는 자아 동일성 점수에서 5% 수준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같은 실험결과로 미루어 볼 때, 아동의 창의적 무용학습은 긍정적 자아개념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아동의 무용학습과 자아개념 형성의 관계는 성별에 있어서 남아가 여아 보다 부분적으로 의의있는 관계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This study is performed in order to know what kind of relationships exist between the self-concept formation of the children and the dance education through the creative leaning courses in which the children develop the possibility of new movement after studying the movement for and by themselves. Following problems were given for this purpose. 1. What a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dance education and the self-concept formation of the children? 2. Does the self-concept formation of children who get the dancing education hav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boys and the girls? In order to solve above problems, We experimented following case. We divided 99 third grade children who attend the Y elementary school in So-Dae-Moon in Seoul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n we gave the dancing instructions to the experimental group 21 times for seven weeks and did not give the instructions to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 we performed the pretest, the performing the experiment, and the posttest. The pre- and after-search are the test papers of 100 items which are standardized by Chung Won Shik. For analyzing the results, we performed the t-test about the average difference of the required score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The result is as following: 1. Those who got the instructions have more remarkable differences than those who did not get them by showing p < .05, p < .01 and p < .001 level in all criteria measuring the self-forming. But there are not any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self-appraisal scores which show the appraisal of the self and the score which shows stability and the endurance. 2. As a result of the dancing education, in the self-concept formation of the children between sexes, the boys show more remarkable differences of p < .05 level than the girls in the moral egoa and the self-identification score which judges how one ind+vidual recognizes present himself.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