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병호-
dc.contributor.author林靑和-
dc.creator林靑和-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7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4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9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451-
dc.description.abstractSuyong Yaryu is one of the common mask dances known in the province of KYUNG SANG NAM DO. The mask dance is usually performed in Early fanuary (Lunar Calendar) and the Whole play is devided into two parts-front part and main part.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analyze aesthetic Structures Seen in the Dutbagi dance of male YANG BAN and MALTUGI, Played in Act Ⅰ, main part. On the Basis of interviews and Collected real acts from SUYONG YARYU. Popular Tradition and Inheritances conservation Council, Every pieces of dance was Re-Composed and tested. The Result was as follows. 1. The most important piece of MOYANGSAI from BANGSAI motion of male YONGBAN and JUMP BAGIMSAI. After touching his legs Slightly with both hands, with two arms overhands. Stretching san down vigorously. he moves to the direction of the fan with opened two arms and one legged BAGIMSAI motion. Following to the GUTGORI bits. He steps and stops for three bits. For the last one bit, while Dolling up his cuffs with one land. He folds his one arm and one leg and finishes with Closing OPEN ARMBAGIMSAI which is the most valuable motion in the dance of male YANGBAN. 2. MALTUGI is swirling horse whip during the wole play. He runs and shows, from time to time, manlike motion with his horsewhip on his shoulder. Especially MOUMSAWI is the typical motion in this dance. In the DUO-DANCE of male YANGBAN and MALTUGI, the play is quite pleaant ald also shows a shard image like a sword play. As mentioned aboved. DUTBAGI dance, which is Composed with repetition of BAGIMSAI motion, has it's own qualilty and style of still, medition and action, which has enough sense to be called a mother of Korean mask dances. One of the particular character of the dance is an accompanying voice Like, "ENBAK KAN KAN" "BAK BAK ULUN. ENBAK ENBAK" followed by a dance and Sound "SHREE" informing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dance to musicians and audience. Am attempt to apply this study to "SUYOUN YARYU" is based ont the idea that this dance is the most similar in the stalc to the oldest mask dance and also DUTBAGI dance is reatively easy to analysze it's aesthetic characters. With rare materials and references in this field. In hopes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the next investigation and values whith defferent views and visualize the aesthetic character through the DUTBAGI dadce.;덧배기춤은 水營, 東萊, 統營, 固城, 密陽 등, 각 지방색이 가미된 獨特한 개성과 형태로 멋과 흥이 뛰어난 美的 특징을 지니며 民間에 傳承되어 지금까지 傳해져오는 과정에서 그 地域의 固有한 風習을 지닌 傳統的 舞踊의 하나이다. 本 硏究는 重要無形文化財 第43號 水營野遊 兩班과장의 덧배기춤 中心으로 動作美的 分析의 接近을 試圖한 것이다. 이 目的을 遂行하기 위한 一環으로써 먼저, 序論에서 硏究의 目的과 범위의 영역, 方法을 밝히고 Ⅱ, Ⅲ에서는 덧배기춤의 源泉的 課題를 위해 水營野遊의 由來와 現況 연희절차의 변천과정을 서술하며 Ⅳ, Ⅴ에서는 이와 연관된 덧배기춤의 상징미와 動作素의 미세한 構造的 特徵으로 나누어 分析하였다. 이상의 硏究課題를 위하여 부산에 現存하는 水營古蹟民俗保存會의 현장답사를 基礎로 다음과 같은 結論을 抽出하였다. 水營野遊는 원래 野遊楔가 주동이 되어 음력 정월 3∼4日경부터 지신밟기(乞粒)를 하여 부락과 각 가정의 □邪進慶을 기원함과 더불어 집집에서 희사한 금품을 들놀음의 경비로 사용했으며 시장의 넓은 빈터나 들에서 演行되는 주술 신앙적 행사의 하나였다. 이렇게 오랜 역사적 과정下에 연연히 傳承해 오다가 1930년대 일제의 탄압과 6.25동란으로 인한 정국의 혼란으로 잠시 중단 되었다가 1963년 水營野遊의 대사채록에 착수하면서 1964년에 野遊탈 11개를 만듦으로써 새로운 모습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1971年 2月 24日에 重要無形文化財 第43號로 지정된 이후로 지금은 水營古蹟民俗保存會에서 그 保有者들에 의해 傳承되며 안정기의 단계로 現存하고 있다. 水營, 東萊野遊, 統營, 固城五廣大, 密陽百中놀이에서 다양한 美的特徵과 지방색에 기인된 차이를 內在한 덧배기춤은 멋과 흥이 뛰어나며, 靜, 中, 動으로써의 어름새, 배김새, 풀음새로 예비적동작, 본동작, 종결동작으로 나뉘어진다. 또한, 명암이 뚜렷한 생성감으로 형성되며 내면적 心性을 폭로하여 解放감과 통쾌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골계美的 공감대를 형성한다. 덧배기춤 分析의 범위를 水營野遊 兩班과장으로 한정지을때 필자의 분석에 의해 유출되어진 動作素들은 쌍뜀배김새(跳兩), 활개짓접음배김새(波閑) 평사위 딛음새(平蹈), 손툭떨어뜨리는 사위(降手), 팔굽힘사위(屈手), 마편 반회전 사위(圓半), 뛰는 배김새(屈跳)등이다. 이중에서 쌍뜀배김새는 수양반의 동작배열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모양새로써 兩발을 시차간격에 의해 뒤로 차는 동시에 내려딛으며 반주대사 바로 끝난 다음에 나타나는 첫 동작으로 집약된다. 이러한 動作素에서생성되는 構造美는 다음과 같다. 1. 首兩班은 쌍뜀배김새(跳兩), 활개짓접음배김새(波閑), 뛰는배김새(屈跳), 뒷배김새(屈後), 겹배김새(屈兩), 평사위딛음새(平蹈) 등으로 나타나며 육중하고 투박한 동시에 부드러운 조화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말뚝이춤에 비해 造形的인 생성감을 주는 動作들로써 그 모양새는 양 허벅지를 가볍게 치면서 활개짓접음배김새로 兩手를 위로 올리거나 내리접는 동시에 兩발을 뒤로 차면서 쌍뜀배김새로 左右足中 한쪽 다리를 뒤로 빼면서, 다른 발은 앞쪽 사선으로 내려딛으며 몸의 中心을 가져가는 모양새로 표현된다. 이러한 춤動作으로 首兩班의 춤이 형성되어 나간다고 할 수 있다. 2. 말뚝이는 首兩班의 춤에 비해 다소 가볍고 약동적이며 뛰는 배김새 형식으로 분류되며 직선적 날카로운 면을 지닌다. 대표적 동작은 마편반회전사위(圓半), 겹배김새(屈兩), 딛음새(蹈), 뛰는 배김새(屈跳)등이다. 마편을 들고 뛰어오름과 동시에 땅바닥을 탁을 니리치며 반굽힌배김새로 겹배김을 하면서 뒤로 뒤로 두 번 배긴다. 이때 모음사위로 나타난다. 이러한 모양새들은 말뚝이춤의 형상화된 動作要素로써 신체발현을 통해 강하게 표출된다. 이상과 같이 요약해 볼 때, 덧배기춤을 확실한 始源을 가름 할 수는 없지만 오늘날 우리 생활에서 표출되는 자연스럽고 순수한 感情發路의 象徵的 형태를 지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ⅵ Ⅰ. 序論 = 1 Ⅱ. 水營野遊 由來 와 現況 = 3 A. 水營野遊 由來와 덧배기춤 생성 = 3 B. 水營野遊 傅承 실태 = 6 C. 水營野遊 연희내용 = 10 Ⅲ. 덧배기춤의 象徵과 動作素 分析 = 19 A. 덧배기춤의 象徵 = 19 B. 덧배기춤의 動作素分析 = 22 C. 덧배기춤 舞跡法 = 32 Ⅳ. 덧배기춤에 내재한 動作美 分析 = 36 A. 덧배기춤 動作脈의 美的 구조 = 37 B. 덧배기춤 動作線의 內面美 = 41 Ⅴ. 結論 = 44 參考文獻 = 47 덧배기춤 舞譜 採錄 = 5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845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수영야유-
dc.subject덧배기춤-
dc.subject동작미-
dc.subject체육교육-
dc.subject.ddc700-
dc.title水營野遊 덧배기춤에 含有된 動作美 分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Aesthetics Seen in Dutbagi Dance : The Suyong Yaryu-
dc.format.page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