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8 Download: 0

結果知識의 形態와 結果知識後 遲延時間이 運動學習에 미치는 影響

Title
結果知識의 形態와 結果知識後 遲延時間이 運動學習에 미치는 影響
Authors
吳世賢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Keywords
결과지식 형태결과지식후지연시간운동학습체육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기웅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운동학습(motor learning)에 있어서 중요한 변인인 결과지식(knowledge of result : KR)이 어떻게 주어져야 운동학습의 효과가 높은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결과지식의 형태와 결과지식 후 지연시간(post knowledge of result delay : Post-KR delay)의 변화가 운동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려는데 있다. 운동학습에서는 일반적으로 연습시행시에 주어지는 결과지식은 언어적 형태로 주어지며, 결과지식 후 지연시간은 적당히 (2~3초) 긴 것이 학습효과를 증대시켜 주는 것으로 이론화되어 왔다. 그때나 만약 결과지식을 언어적 형태가 아닌 시각적 형태로 주어졌을 때에는 학습에의 효과가 상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결과지식 후 지연시간이 상이할 때에도 학습에 미치는 효과는 차이가 날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으로 1) 시각적 결과지식(visual knowledge of result)은 언어적 결과지식 (verbal knowledge of result)보다 학습효과가 높고, 2) 결과지식 후 지연시간은 적정길이일때 학습효과가 높으며, 3)결과지식의 형태와 결과지식 후 지연시간에 따라 학습에 상이한 효과가 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여자중학교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오른손으로 직선재정치기기의 손잡이를 잡고 결과지식의 형태와 결과지식 후 지연시간에 따라 목표점을 찾는 과제를 반복 수행하여, 그 오차를 측정하였다. 이때 40명의 피험자는 각 10명으로 구성된 네 실험집단으로하는 2×2피험자간 설계를 하였다. 이들 피험자는 연습단계에서는 30회의 시행을 하였고, 학습단계에서는 10회의 시행을 하였으며, 수행 결과를 기록하여 각각의 측정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다음 삼원변량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1)결과지식의 형태에 따른 학습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즉, 시각적 결과지식과 언어적 결과지식은 같은 학습효과가 나타났고, 2) 결과 지식 후 지연시간의 변화는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즉, 4초의 결과지식 후 지연시간은 2초의 결과지식 후 지연시간보다 학습에 효과가 있었으며), 3) 결과지식의 형태와 결과지식 후 지연시간에 따른 학습효과는 시각적 결과지식을 4초의 결과지식 후 지연시간동안 준 집단, 언어적 결과지식을 4초의 결과지식 후 지연시간 동안 준 집단, 시각적 결과지식을 2초의 결과지식 후 지연시간동안 준 집단, 언어적 결과지식을 2초의 결과지식 후 지연 시간동안 준 집단의 순으로 절대오차가 적게 나타났다. 즉, 결과지식 후 지연시간은 결과지식의 형태보다 학습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결과지식의 형태(시각 : 언어)에 따른 운동학습의 호과에 별 차이가 없었고, 결과지식 후 지연시간(2초 : 4초)은 2~3초보다는 차기 동작을 계획하는데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될 수 있는 4초정도가 운동학습에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결론을 제시해 주었다.;On the basis of a theoretical tenet that KR is an essential ingredient in motor learning,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which forms of KR as well as length of post-KR delay were manipulated to investigate their effects on learning a motor task in a lab situation. Fourty junior midd1e school girls were asked to reproduce accurately movements both in acquisition and in transfer stages, on the Linear positioning apparatus under 2×2(forms of KR×length of post-KR delay) between subject design ; that is subjects performed 30 trials of positioning movement with either visual or verbal KR combined with either 2 or 4 second post-KR interval. Analysis of movement error (measured in AE) as a function of experimental conditions revealed that; 1) no difference in AE existed between groups differing in the form of KR ;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differing in the length of post-KR delay both in acquisition and transfer stages ;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lock effect.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relative length of post-KR delay, is an important learning variable while forms of KR is not a significantly critical factor in motor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